图文:浙江公安厅销毁价值上亿元毒品



중국 저지앙에서 6월 26일 "국제 마약금지의 날"을 맏이하여, 약 1억원(한국돈 150억상당)에 해당하는 280kg의 마약류를 소각했다고 한다. 여기서 궁금한 것. 과연 저 마약을 삥땅이 친 공안이 있을까 없을까? 훗-_-


http://news.qq.com/a/20080627/002379.htm


도촬당한 여자 숙소 전경

女生宿舍内换衣遭偷拍 数十张照片被上传

여학생이 옷 갈아입는 것이 도찰되었다.


海师大女生被偷拍续:学校悬赏2万找线索(图)

여학생 도찰범을 잡기 위하여 학교에 붙은 대자보

海师大女生被偷拍续:学校悬赏2万找线索(图)

학생들이 이 대자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범인은 돌아온다는데 저 사진을 찍는 인간이 범인이 아닐까?


하이사범대학의 여대생 30여명을 도촬하고 인터넷에 사진을 올린 도찰범을 잡기 위해서 대자보를 붙었다. 무려 현상금 2만원(한국돈 약 350만원)이다. 우리 여기서 문제다. 30여명의 모든 도찰사진과 350만원을 고르라면 당신은 무엇을 고를것인가? 두둥--


http://news.qq.com/a/20080627/000054.htm


好莱坞“藏独明星”李察-基尔涉藏广告引激愤

티베트 독립에 관한 광고


好莱坞“藏独明星”李察-基尔涉藏广告引激愤

"티베트 독립지지 스타" 리차드기어가 인도 여배우에게 강제로 키스

好莱坞“藏独明星”李察-基尔涉藏广告引激愤

피아트 광고의 맨 마지막에 이런 맨트가 나온다 : 비범한 힘(The Power to be different)。


리차드 기어는 원래부터 티베트 독립을 공개적으로 지지하여서 문제가 많았다. 그런데 이번에 티베트 독립을 간접적으로 말하는 광고로 인하여 샤론스톤에 이어서 두번째 중국의 공적이 되었다.


“藏独明星”李察-基尔涉藏广告引激愤(图)

한한(韩寒)은 누구인가?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블로거라고 감히 단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작가이며, 레이서이기도 하고, 동시에 음악가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본인과 같은 82년생입니다.(이게 중요한게 아니잖아!)

그의 영향력은 생각보다 막강하다. 현재 중국에서 인터넷을 하면서 그를 모른다는 것은 마치 한국에서 인터넷을 하면서 아고라를 모르는 사람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이기에 이번에 샤론스톤에 대한 그의 발언에 대해서 인민일보라는 중국 최고의 신문에서 비평을 할 정도이다. 한국으로 따지면 본인이 어떤 발언을 했는데 그것이 조중동에서 평론을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는 작성하지 않도록 하겠다. 이 글이 말하고 싶은 주제도 아니고, 본인의 발언으로 인하여 선입관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에 대해서 알고 싶은 분은 http://blog.sina.com.cn/twocold 으로 가셔서 그의 글을 보시면 되겠다. 혹은http://baike.baidu.com/view/5972.htm 으로 가면 그의 약력이 작성되어있다. 아래쪽을 보면 그가 했던 유명한?! 말들이 적혀 있다.

 

본인이 주의한 것은 한국에 비해서 인터넷 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는 중국에서 이렇게 거대한 영향력의 블로거가 나올 수 있는 이유이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역시나 인구의 힘이다. 인터넷 보급율이 한국에 비해서 많이 떨어지지만 전체 인터넷 인구는 이미 미국을 뛰어넘어서 세계 1위가 되어버린 인구의 힘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 뿐일까?

 

1) 중국정부라는 요소

우리는 중국의 인터넷은 중국정부의 감독 아래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문제는 감독하에서 움직인다는 것은 정부의 입맛에 맞는 발언을 하는 사람은 일정정도 키워줄 수 있다는 말로 대변된다. 위에서 그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글을 써내려가려면 별 수 없이 본인의 평가를 조금은 작성해야될 것 같다. 그의 성향은 온건한 국가주의자 혹은 민족주의자로 생각한다. 본인의 생각으로는 이것이 그가 아직 뛰어넘지 못한 지점이거나 중국인터넷을 이해하고 고의적으로 그런 성향을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어찌되었든 그의 글은 분명히 중국정부에 대한 "사랑의 쓴소리"로 구성되어있다. 중국정부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언론자유의 상징으로 홍보될 수 잇을지도 모르겠다.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중국정부로서는 이미 풀뿌리 블로거들의 발언 하나하나를 통제할 수 없는 상태일수도 있다. 그래서 이렇게 자신들에게 크게 위협이 되지 않는 사람에게 몰아주기 식으로 생각을 집중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제 중국정부라는 요소를 제외하고 생각해보자.

 

2) 인터넷 논객들의 역사 

중국의 인터넷 문화의 발전 방향은 한국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나타낸다. 해당 분석은 어디까지나 본인의 주관적인 생각이다.

한국의 소위 인터넷 논객의 역사는 텔넷(키텔, 하이텔, 나우누리)시절로 시작된다고 본다. 인터넷이 떠오르면서 대부분의 논객들이 초기에는 딴지로 간다. 하지만 소위 황우석사태로 인하여 그 사람들은 여기저기로 흩어지게 되고, 그 중에 많은 수가 디씨로 흘러들어가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가끔 디씨를 보면 어처구니 없는 전문적인 발언들이 쏟아지고는 한다. 평소에 아햏햏 하던 인간들의 발언이라고 생각하기에는--) 하지만 디씨로만 유입된게 아니고 다른 여러가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어설픈 논객인 본인의 경우는 디씨와 성격이 맞지 않아서 블로그로 흘러갔다. 하지만 대다수는 블로그보다는 게시판과 같은 개인이 드러나지 않는 곳을 선호하게 된다. 요즘은 그 사람들이 아고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는듯 하다.

중국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중국에서 인터넷이 보급이 되던 때는 이미 세계에 인터넷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는 단계였다. 물론 초기의 논객들은 각각 학교의 BBS에서 토론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러던 것이 티엔야(天涯)로 달려가게 된다. 티엔야의 구조를 한국에 비유를 하면 텔넷시스템이 인터넷으로 이식된 모습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혹은 일본의 2CH과 같은 모습?!정도로 비유한다면 정확하지는 않지만 비슷하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 익명성으로 토론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그들은 당시에 막 떠오르던 블로그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들의 세력은 블로그차이나라는 곳을 통해서 뭉치게 된다. 또한 이런 블로그 그룹들에서는 소위 말하는 30대의 전문가 그룹이 많이 속하게 되고 평균적인 정보의 질이 점차 높아져간다.

물론 이러한 서술은 어디까지나 개략적인 부분만을 잡은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중국과 한국의 구체적인 차이가 보인다. 보편적으로 중국은 개인이 중심이 되는 블로그라는 기술에 논객들이 몰리는 반면, 한국은 게시판이라고 하는 일정정도의 익명성과 단체성이 있는 곳에 논객들이 몰린다는 점이다.

 

3) 결론 

이런 차이는 왜 발생한 것일까? 위에서 제거한 중국정부의 요소를 다시 도입해 보자. 중국은 언론통제를 받는 곳이다. 한국에서는 많은 블로거가 진보성향이고 모두가 다 같이 정부 비판을 하는 반면에, 중국에서의 정부비판은 매우 위험한 일이기에 몇몇의 한정된 사람만이 하게 된다. 그럼으로 인하여 몇몇 블로거가 많은 주목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런 집중성으로 인하여 영향력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런 현상의 문제점은 이미 일정정도의 사회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영향력이 주어진다는 점이다. 사실 유명하지는 않지만 상당한 수준의 블로그들이 있다. 그런 블로그들은 (개인적으로는) 블로그차이나에 상당히 많이 있다. 하지만 그들의 명성은 그리 높지 않다. 이런 것도 집중성으로 인한 폐해라고 생각된다.

 

4) 주절주절

개인적으로 게시판식과 블로그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둘 다 발전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블로그에만 집중해서 생각해본다면, 현재 중국은 몇몇 블로그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고, 이것은 단지 인터넷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이기에 쉽게 변화시키기 힘들듯 하다. 이것을 변화시키려면 중국 사회전반의 언론자유화를 이루어야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미 언론 자유화가 일정정도 되어있는 한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블로그를 출현시키려면 다양성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되지 않나 싶다. 다양성은 별것이 아니다. 본인의 일상을 조금 더 차분하게 적어 올리는 것만으로 다양성이 자동적으로 생긴다고 생각한다. 본인도 그냥 중국에서 지내면서 평소에 생각하는 것을 올릴 뿐이지만, 객관적으로 보면 다양성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한국블로그산업협회 주최하는 '비즈니스 블로그 서밋 2008'(http://www.bbakorea.org/5)의 일환으로 주최되는 "내가 추천하는 기업블로그와 그 이유"을 작성하면 무료로 참가가 가능(http://www.bbakorea.org/9) 하기에 나름 심혈을 기울여서 작성된 글입니다. 한국 기업블로그을 원하시는 것 같지만 주제를 확정하시지 않았기에 중국의 기업블로그 이야기를 해봅니다.


1 ) IT 기업 블로그 - 팬클럽을 거느린 기업블로그 "바이두"

바이두는 중국의 검색시장을 잡고 있는 IT계의 거물이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사용자들과 소통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기업이다. 무엇보다 신기한 것은 "바이두 팬클럽"이라는 "구글 팬클럽"과 같은 조직을 거느리고 있다는 것이다. 마치 후글님처럼 구글팬들이 구글에 대한 정보만을 전달하듯이, 바이두팬들은 바이두에 열광을 하고 바이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한국의 거대 포탈이라고 하는 네이버와 다음에게 이러한 "팬클럽"이 존재하는가? 본인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이러한 팬클럽이 가능한 이유는 바이두의 기업블로그"망"을 보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바이두는 공식블로그 외에도 CEO와 그 직원들 대부분이 블로그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블로그의 내용 중에는 아직 공식보도로 나오지 않은 정보나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이 담겨져 있다. 팬클럽들은 이러한 내용들을 지켜보면서, 문제가 있다면 비판을 하고 마음에 드는 것을 열광적으로 찬성을 한다. 그럼으로 인하여 비판을 피드백을 할 수 있고, 고객들의 여론을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 이와 다르다. 구체적인 예로 네이버 직원와 반네이버진영이 충돌을 하고 있다. 이런 차이는 어디에서 발생을 하는 것일까? 개인적으로 네이버직원 블로그의 반응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 지점이 바이두와 전혀 다른 지점이다.

바이두 블로그라고 안티들이 없겠는가? 중국에서도 구글팬클럽이 주축이 되는 세력들은 상당히 강력한 안티 세력이다. 핵심은 바이두 공식 블로그나 연관블로그 어디에서도 "고객에 대한 배려"을 포기하지 않는다. 고객 중에서는 "사랑의 매"을 드는 사람도 있지만, 감정적으로 "바이두 꾸려! 버려!"라고 말하는 고객들도 있다. 그리고 바이두는 이 모든 사람들을 포용하고, 감정적인 분들에 대해서도 "매너"을 잃지 않는다.

이제 유구히 내려오는 네이버 직원과 반네이버진영의 충돌을 되돌아보자. 길게 이야기할 것도 없다. 매우 건전하게 토론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인이 목격한 대부분은 원색적인 비난과 욕설이 오고가는 현장이었다. 이렇게 되면 반네이버진영은 더욱 더 인원이 늘어나고 안티의 강도가 더더욱 높이질 뿐이다.

한국의 IT 기업들도 이제 "직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교육이 받기 싫은 직원은 처음부터 자신이 "직원"임을 밝히지 않으면 된다. 하지만 밝혔다면 그에 대한 책임을 지어야 되는 때가 바로 지금과 미래의 기업환경이다.  

바이두 공식 블로그:  http://hi.baidu.com/baidu



2) 중소기업 블로그 - 쇼핑몰을 홍보하라! "알리바바"

알리바바는 한국에서도 이미 유명해진 인터넷 쇼핑몰이다.  그리고 "상인 블로그"을 운영중에 있으며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상인 블로그"의 대다수가 "중소기업"이기에, 그동안 한국에서 소홀했고, 문제로 제기가 많이 되었던 중소기업블로그의 한 모델을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한국에서도 다나와가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블로그에 리뷰를 쓰고, 그 리뷰의 추천수나 조회수에 따라서 해당 블로거가 운영하는 쇼핑몰의 신용도 혹은 평가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는 모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서 고객들은 해당 쇼핑몰에 대해서 신뢰를 얻을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당연히 쇼핑몰의 매출도 올라가게 된다.

이런 방식은 인터넷 서점에도 통용이 된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이 알라딘이나 YES24와 같은 곳에서 잘 사용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 폐쇄적이라고 생각된다. 외부블로그의 서평을 받아들이는 시스템적인 장치가 구비되어있지 않다고 본다. 사실 한 사람이 여러개의 블로그를 운영하기는 그리 쉬운 것이 아니다. 보통의 경우 똑같은 내용을 다음-네이버-야후-쇼핑몰등등에 올리고는 한다. 이것은 쓸데 없는 비용 낭비라는 것은 자명하지 않은가?

이러한 시스템적인 장치는 정부의 차원에서 다양한 쇼핑몰들을 교육시켜서, 서로간의 연결이 자신의 밥그릇?을 뺏는 행위가 아니라 더 거대한 밥그릇?을 만드는 것이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정부의 차원에서 중소기업 블로그 만들기를 도와주고, 이러한 블로그들을 다양한 쇼핑몰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본다.

물론 정부의 역할뿐만 아니라 기존의 포털들의 자성의 목소리도 필요하다. 또 다시 네이버를 언급하게 된다. (왠지 죄송하다....) 예전부터 문제시되어오던 "네이버 블로그의 운영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자신의 블로그에서 조금이라도 상업적인 행위를 못하게 만드는 정책이다. 예를 들어서 : 모모님은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그 글들을 모아서 책을 냈다. 그리고 그 책에 대한 홍보글을 네이버 블로그에 올리자 블라인드 처리를 받았다. 왜냐하면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상업적 홍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입장에서 이러한 홍보방식을 통하면 포털을 통한 광고료가 줄어들것이라고 염려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단기간의 생각일 뿐이다. 기업들은 홍보가 필요하고 어떻게 해서든지 홍보를 하려고 할 것이다. 지금 현재까지는 네이버가 한국시장을 독점하고 있어서 기업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네이버로 오지만, 네이버 제국이 흔들리는 순간 그동안의 불만들이 한꺼번에 터져나오며 이반을 하게 될 것이다. 조금의 수익이 먼저인가? 아니면 끈끈하게 연결되는 네티즌 민심이 중요한가? 선택은 네이버에게 있다고 할 것이다.

알리바바 상인블로그 메타 싸이트 : http://blog.china.alibaba.com/



3) 회장님 블로그 - 황밍(黄鸣)과 왕슬(王石)

본인 한국의 블로그 시장에 대한 정보가 어두운 것인지, 한국의 유명 대기업 회장이나 사장님들의 블로그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이 없다.  중국도 남방주말의 2006년 보도에 따르면 그리 많은 호응이 없지만, 소위 유명 블로거 중에서 상당수의 기업 회장들이 포진하고 있다.  (해당 내용은 IT 관련기업 회장을 일부러 제외하였다.)

구체적인 예를 한번 들어보겠다.

황밍(皇明)태양열그룹의 회장 황밍(黄鸣)

황밍은 황밍태양열그룹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블로그의 링크를 걸어두었다. 황밍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한다. 자신의 삶, 생각, 취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서 독일 월드컵 기간의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황밍은 브라질의 실패를 점치면서 호나우도를 거론한다. 그는 과거의 영광 때문에 호나우도를 어쩔 수 없이 대접한다고 말하면서 "우리 회사 내에도 뚱뚱한 호나우도가 있다"라고 말을 하였다. 그리고 이미 과거의 영광만 남은 뚱뚱한 호나우도가 기업의 발전에 발전이 되는 존재라고 말하였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를 많은 직원들에게 권유하고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서 직원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물론 기업과 블로그는 분명히 다르다. 기업은 민주적인 조직은 아니다. 하지만 자신의 목표나 정책에 대한 의견을 듣는다는 것은 요즘 유행어가 된 "소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그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고객들에게 직접 황밍 회장과 소통을 할 기회를 준다는 점이다. 고객들은 황밍 회장의 생활을 보고, 그의 생활을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친근함이 들 수밖에 없다. 이를 더 말해 무엇하리오.

황밍(黄鸣) 블로그 : http://blog.sina.com.cn/huangming


중국 부동산기업 완커(万科)의 회장이자 중국부동산협회 회장인 왕슬(王石)

왕슬은 매우 많은 네티즌 팬을 거느린 블로거이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 등산과 같은 자신의 취미를 올렸고, 많은 네티즌들이 그를 존경하고 사랑했다. 돈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즐기는 사람으로 인식이 되었다.

문제는 이번 사천 지진때 자신의 회사원들에게 "직원들보고 10원이상 지원하지 말라"고 블로그를 통해서 이야기했고 이것이 문제가 되었다. 부담이 되면 돈을 낼 필요가 없다는 의미였지만, 모님의 표현을 빌리면 네티즌들에게 죽도록 공격당했다.그는 결국 사과를 하고 1억원(한국돈 150억)을 성금으로 지불하고 지진현장도 방문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블로그를 함부로 하면 안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사건을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만큼 네티즌들이 그를 존경하고 사랑한다는 의미가 된다. 존경했기에 실망감이 더 큰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비록 말실수?!을 했지만, 그로 인한 네티즌들의 반응을 받아들여서 오히려 예전보다 더 큰 위명을 떨치고 있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소통이 아닐까? 기업이 내는 수 많은 광고비를 생각하면 150억은 그리 큰 돈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말실수 안했으면 더 좋았을터이지만...

왕슬(王石) 블로그 : http://blog.sina.com.cn/wangshi

이제 한국의 상황으로 돌아와 보자. 한국의 어떤 기업 회장이 실제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지 자문해보아야할 것이다. 기업 회장은 단순히 그 회사를 경영할 뿐만 아니라 그 회사의 이미지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굳이 어려운 경제이야기나 민감한 정치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다. 독후감이나 자신의 취미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기에 "회장님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때가 아닌가 싶다.




중얼중얼 :

본 내용은 중국의 블로그문화 중에서 기업블로그와 관련된 사항을 추려서 만든 것으로 매우 조잡하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그래도 보통때와는 다르게 무려 1시간 반을 투자해서 작성했다. 이로서 보통때 얼마나 날려 쓰는지 알 수 있고, 돈없는 학생이 12만원을 내지 않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얼마나 발악하는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머...그런것이다...)

해당 글을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신 JACK님에게 감사의 인사를 보낸다.

본인 바로 어제 중국은 이미 사이드카 운영중 이라는 글을 올렸다. 지적했다 싶이 지금 현재 정부와 한나라당이 중국의 언론통제 정책을 따라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런 의구심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왜냐하면 지금 중국 UCC는 중국 정부와의 힘싸움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 UCC 싸이트에 강력 관리 시작.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었지만,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다시 한번 언급해보도록 하겠다.

중국정부는 3월 20일에 25개 동영상 UCC싸이트을 서비스 중지하였다. 또한 10개 싸이트에 대해서 경고 처분을 내렸다. 이것은 앞으로 중국 정부가 동영상 UCC에 대해서 더욱 강력하게 관리를 할 것이라는 의미이며, 특히 외국계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를 꽁꽁 얼어붙게 하는 처사이다. 또한 티베트 사태와 무관하다고 하면 웃길 소리일 것이다.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요즘들어서 "베이징 올림픽 저작권 문제"을 언급하며 다시 동영상 UCC싸이트에 대한 경고조치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해서 대부분의 중국인들도 이것은 과도한 탄압이라면서 반발을 하고 있다. 실제로 저작권법을 언급하며 UCC 싸이트에 경고를 보내지만, 실질적으로는 영상물로 슬슬 올라오기 시작하는 은근한 반정부영상물에 대한 경계라는 것이 중국쪽에서도 보편적인 인식이다. 그리고 예전에도 언급했지만 : "이런 중국 정부의 방침은 당장에는 언론의 통제용으로 유용하게 쓰일지는 모르나, 거시적으로 오히려 중국 정부의 목을 조이는 것이 아닐까 진심으로 중국 정부에 걱정의 눈빛을 던져본다. "


나는 지금 한국 정부에 진심으로 걱정스러운 눈빛을 던져본다. 왜냐하면 중국 정부의 행동도 겉으로는 "저작권 문제"을 운운하면서 사실은 언론에 대한 통제용이라고 모든 중국인들조차 입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똑같은 행보를 한국에서 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사이드카 사태가 발생하고, 대통령은 아직도 "신뢰없는 인터넷은 약아닌 독될수도"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대체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의 생각이 무엇인지 읽을 수가 없다.

국민들을 바보로 아는 것 같다. 신뢰가 없는 글의 내용으로 네티즌을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네티즌들은 누구보다도 의심병 환자들이다. "인증샷"이라던지 "링크"요구와 같은 것은 신뢰가 없는 내용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의심하고 또 의심한다. 본인 역시 그렇게 의심하면서 인터넷을 본다. 그리고 블로그가 대안이 되는 것이 대부분의 블로거가 자신의 이력을 공개하거나 지속적으로 글을 올림으로 인하여 네티즌에게 신뢰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그분들은 인터넷을 모른다. 후...



이대로 가면 염려가 되는 구체적인 예 :

1) 다음이 어느날 열리지 않을 것이다.

본인 지금 중국에서 자신의 블로그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농담같은가? 개인적으로는 다음보다는 올블로그(allblog.net)이 더 빨리 닫힐듯하다. 국회청문회에서 한나라당의 안티이명박의 결집지라는 위명을 떨쳤으니 말이다. 다음에 비해서 작은 올블로그가 시험케이스가 되기에는 딱일듯하다.


2) 촛불집회 실시간 방송같은 민감한 것은 서비스자에 의해서 차단될 것이다.

농담같은가? 중국은 이미 그러고 있다. 그리고 더 위험한 것은 처벌을 받을까봐 아프리카와 같은 서비스업체가 먼저 삭제신공으로 경고가 들어오기 전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될 것을 "사전검열"해버린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넘의 사전검열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3) 모든 덧글이 관리가 될 것이고, "위험분자"는 소환되어서 조사를 받을 것이다.

한국은 관리하기 더 편하다. 주민등록증이 있으니 추적하기도 쉽다. 그렇게 된다면 이제 사전검열은 이용자 자신부터 스스로 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작년 대선때 인터넷은 조용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체포될 수 있다는 두려움에 떨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블로거들이 선거법위반이라는 명목으로 법정에 서야되었고, 지금도 그 싸움은 계속되고 있다.



중얼중얼 :

아프리카 사태가 단순히 저작권의 문제라고 판단하기에는 1) 시기가 미묘하다는 점. 2) 구속수사까지 하지 않다고 된다는 점. 3) 나우콤의 공지에 따르면 기술적으로 가능한 수단을 충분히 동원했다는 점을 들어서 심히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본인 역시 피디박스나 클럽박스 혹은 아프리카의 저작권상의 문제를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불법행위에 서비스자가 가능한 기술적 처리를 했다면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어느 정도 인정해주는 것이 "상식"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올려주신 모모님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아직도 중국에서는 저의 블로그에 접속이 안되는군요. 후... 현재까지는 프록시로 접속을 해서 덧글을 보는 수준은 할 수 있습니다만, 속도나 안정성문제가 있군요. 그래서 이 글도 덧글에 답글을 달아드리지 못합니다. 죄송합니다. 조금 있으면 한국에 가니 그때는 마음대로 블로그를 할 수 있을듯 합니다.

한나라 당에서 무려 사이드카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사이드카란 무엇인가? 원래는 주식시장에서 쓰이는 말이다. 다른 신문을 인용하면 왜곡된 사실이라고 말할지 몰라서 우리의 조선일보의 기사를 인용하겠다.

사이드카’란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의 하나로 선물가격이 전날 종가에 비해 급등락을 보이면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제도다. 코스닥시장의 경우 스타지수선물중 전날 거래량이 가장 많은 선물종목(통상 최근월물)의 가격이 전날 종가보다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되면 발동되고 일단 발동되면 발동시부터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유가증권시장의 코스피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코스피200선물은 다른 조건은 같지만 전날 종가대비 변동비율이 5%이상인 경우에 발동된다. 그러나 ’사이드카’는 발동 5분이 지나면 자동 해제되며 매매종료 40분전(오후 2시20분부터)부터는 발동될 수 없고 1일 1회로 발동횟수도 제한된다.  -  코스닥시장 발동된 '사이드카'란 중에서...


이것을 지금 현재의 인터넷 상황에 맞추어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한나라당이 인터넷 여론 흐름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증권시장의 사이드카와 같은 개념의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만약 광우병이나 대운하 혹은 그 외의 인터넷의 큰 여론흐름이 생길 경우, 사이드카를 발동한다. 그렇게 되면 해당 주제의 토론은 정지되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야 다시 토론을 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의 경우 주식과는 다르게 토론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관련 키워드로 모든 인터넷망에서 동시에 금칙어로 지정하여야한다.
 
한나라당이 제대로 사이드카의 개념을 알고 있는지 의심스럽지만, 그 용어 자체를 생각한다면 위와 같다. 그리고 본인은 이런 제도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곳을 알고 있다. 중국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인이 예전에 올린 중국의 인터넷 감시 시스템 - GFW 을 참고하시면 된다. 이번에는 이번 사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만 다루도록 하겠다.

GFW는 Great Firewall of China의 약자입니다. 중국말로는 防火长城(만리장성 방어선) 이라고 불립니다. 해당 기능은 매우 간단합니다. 중국 정부의 의도와 맞지 않는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중국 내의 연결망으로 접속할 수 없게 만듭니다. 한마디로 중국 정부에 찍히면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체를 할 수 없습니다. 아예 중국에서 인터넷을 하는 사용자들이 해당 싸이트에 접속자체를 할 수 없게 만드는 막강한 기능입니다.

중국의 내부 싸이트들 사이의 덧글이나 글들중에서 민감한 사항에 대한 글은 실시간으로 관리됩니다. 만약 해당 민감한 문제들에 대해서 해당 사업자가 빠르게 조치(보통은 삭제처리)을 하지 않는다면 중국에서 IT 장사하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중국 인터넷에서는 정치 이야기를 보기 매우매우 힘이 듭니다. 정치 이야기가 많다면 많은 한국의 상황하고는 대비되는 현상이지요. -  중국의 인터넷 감시 시스템 - GFW 중에서...

 
앞으로 사이드카가 법률에서는 인터넷에 실제로 적용이 된다면 위의 상황이 올수가 있다. 이해가 안된다고?

1)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겠다. 지금 이 블로그는 주인장인 나도 접속하지 못하는 블로그이다. 중국쪽에서는 이 블로그에 접속이 불가능하다. 블로그를 운영중에 있다. 그런데 어떤 이유인지는 몰라도(의심되는 것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이유를 모른다.) 현재 접속을 할 수가 없다. 본인 뿐만이 아니라 중국에 있는 본인 친구들도 모두 본인의 블로그에 접속이 안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인의 글에 중국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중국어도 아니고 한국어로 작성되었으며, 중국정부를 단순히 모독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증거를 바탕으로 "사랑의" 비판을 하고 있다. 하지만 막혔다. (이 글은 본인이 아는 한국에 있는 분을 통해서 올리고 있다.)

이 일이 한국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날 우리가 알고 있던 수 많은 블로그에 접속이 되지 않을 것이다. 어느날 우리가 알고 있던 싸이트가 열리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몇몇의 프록시와 같은 우회방법을 아는 사람을 제외하면 모두가 정보와 차단되어버릴 것이다. 참 재미있는 상황이지 않은가?
 
2) 다른 예를 들어보겠다. 현재 Global Candles이라는 싸이트가 준비중이다. 해당 싸이트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현재 상황을 외국에 알리기 위해서 자발적인 참여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서 서버자체를 미국에 마련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이드카와 같은 일의 발생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유감스럽게도 현실화되고 있다.
 
3) 무엇보다 구글도 중국에 무릎을 꿇었다. 구글은 작년 7월 중국정부의 ICP을 얻었다. ICP는 중국의 인터넷사업자 등록이다. 그리고 이에 등록하지 않으면 아예 중국쪽의 접속을 차단해버리고, 등록을 하면 중국의 말에 따라서 검색결과를 조정해야된다. 그리고 구글도 무릎을 꿇었다. 그에 반하여 아직도 버티고 있는 위키에 박수를 보낸다. 그래서 가장 가까운 시절에 일어난 구글의 검색결과 조작은 "까르푸"와 "티벳사태"에 대한 중국어 검색에서 자의적으로 검색결과를 삭제하거나 아예 보여주지 않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금 사람들이 안전하다고 문서와 동영상을 올리는 유투브도 사이드카가 생기면 결코 안전하지 않다.
 
본인 한나라당 사람들이 멍청해서 "사이드카"라는 것을 잘못 생각했기를 바란다. 정말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한다. 아니라면 본인 끝까지 갈 것이다. 예전에도 말했지만 본인이 이번 촛불시위에서 가장 화가 난 이유는 무엇보다 언론의 자유를 막는 행위다.
 
 
 
-- 중국측 관계자분에게...

본인 해당 글을 올림으로 인하여 중국정부의 봉쇄가 계속적으로 풀리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혹시 이 글을 보고 있는 중국관계자가 있으면 분명히 알아야될 것이다. 동아시아의 화합을 목표로 하고 있는 본인은 가만히 놔두어도 일정이상의 비판을 가하지 않고, 문제가 될만한 글을 일정이상 "감추고"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나온다면 본인 펜끝을 날카롭게 만들 수밖에 없다. 어차피 막아도 프록시를 통한 방법이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글을 올릴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인이 소중히 생각하는 가치중에서 여론의 자유는 상당히 위쪽에 위치한다. 제발 부탁이다. 이쯤에서 그만 풀어주기를 바란다.

위에서 명시한대로 블로그가 막혀 있어서 여러분들의 덧글에 답변을 달아드리기 힘듭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요즘 들어서 한국에서 빠링호우(80后)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하지만 빠링호우를 80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으로 규정하는 것은 너무나 큰 문제이다. 빠링호우는 어디까지나 "80년대에 태어난 사람"을 지칭한다. 왜냐하면 중국에는 90后(지우링호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쓰여진 글이다. 얼마든지 다른 생각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말해둔다.


한 국에서 빠링호우를 중국의 경제개방의 축복을 받고 자란 세대로 평가한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지만 문제가 있는 말이다. 빠링호우는 경제와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사람들이다. 이런 빠링호우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그 전 세대를 살펴보도록 하자.

그 전대인 60~70년대에 태어난 세대들은, 특히 78 학번부터 80학번까지에 대학교에 들어간 세대들은 문화대혁명이라는 사회주의 이상과 현실과의 충돌을 경험함으로서 더욱더 민주화의 욕망을 가지게 되고 그것은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천안문사태(본인은 민주화항쟁이라고 표현하고 싶다)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세대의 특징은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현실에 참여하는 적극성으로 간략하게 요약해도 괜찮을 듯 하다.하지만 이러한 문화대혁명은 한국의 민주화항쟁시절과 같이 정부의 탄압으로 밟히게 된다. 그래서 이 세대들은 점차 자신의 모습을 감추지만, 속으로는 반중국정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이제 다시 빠링호우를 살펴보도록 하자. 그들이 세상에 눈을 뜨게 되는 90년대부터는 중국이 급속도로 변화해가는 과정에 있었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개 인의 자유을 높게 치고, 어릴때부터 보아오던 반일영화의 영향으로 반일정신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민족주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대학의 숫자가 늘어나서 기존보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대학교육을 받게 됨으로 인하여 중국의 현재 모습을 "부끄러워"한다고 나는 판단하고 있다.

민족주의와 부끄러움이 합쳐져서, 이번의 성화봉송의 와중에 위협적인 움직임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판단해본다. 하지만 이것은 본글의 주제가 아니기 더 깊게 이야기를 하지 않겠다. 결과적으로 이번 성화운동으로 빠링호우 스스로는 "주류"에 속하게 되었다고 판단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물론 개인중심을 유지하지만,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라고 불리우는 것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데 이런 빠링호우의 특징은 중국이 못 살던 시절도 경험을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의 과실만을 따먹은 세대가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지우링호우들이다.


지우링호우들은 9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을 지칭한 다. 이들의 존재가 생겨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중국 친구녀석의 경험을 그대로 이야기 하는 것이 좋을듯 하다. 친구녀석의 집은 현재 운남에서 사업을 하고 있으며, 군벌과도 인맥이 있는 상당히 부유한 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말하기를 자신이 어렸을 때, 초등학교를 가서 집에 돌아올 때면 언제나 할아버지가 배웅을 하고는 했는데, 자신은 당시에 인력서를 타고 싶어서 그렇게 졸라대었지만 정말 특별한 날이 아니면 걸어서 돌아와야했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의 여동생이 초등학교를 다닐 때에는 언제나 할아버지와 택시를 타고 돌아왔다고 한다.

이러한 지우링호우들이야 말로 발전된 경제를 제대로 향유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번 성화운동에서 주류로 편승한 빠링호우들에게 지우링호우들은 한마디로 "적"이 되었다. 이들의 싸움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인터넷의 곳곳에서 이러한 증후들이 나타난다.


한중일에 모두 나타나는 이런 새로운 10대들의 공통점은 무엇보다 개인주의일 것이다. 그리고 성 에 대해서 개방적인 본인도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만들 정도의 열린 사고?!들도 쉽게 보이는 모습이다. 자기 자신을 부풀리면서도 남들과의 소통에 문제가 있는 모습도 나타난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기존의 소통방식을 벗어난 자신들만의 소통방식을 만들었기에 기존의 세대들과의 소통에서 문제가 일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들은 얼마전까지만해도 빠링호우와 공유했던 모습이 많이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빠링호우가 전체적으로 주류로 편승함에 따라서 지우링호우는 이제 모든 "어른"들과의 싸움에 돌입하였다. 그들은 정치에 무관심하고, 민족을 우습게 생각한다. 스타들의 일상생활이 자신의 모든것이 되었고,  결혼은 바보들이나 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부모들이 돈을 언제까지나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현재 중국의 세대차이는 피우지 못한 열정이 있지만 경제성장의 주역이라는 자심감을 가지고 있는 30~40대(천안문세대) 민족주의를 무기로 주류로의 통과의례을 거치고 있는 20대(빠링호우) 그리고 어른들을 싸늘하게 비판하는 개인주의의 10대(지우링호우) 사이에서 전쟁이 아닌 전쟁 상태에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 중국어를 아시는 분은 20대의 대표 블로거인 韩寒과 무서운 10대 블로거 包包与阿紫을 살펴보시면 재미있을듯 하다. 양쪽에서 대표적으로 각 세대를 대표하는 문장들이 있는데 귀찮아서 번역을 안하고 있다. 생각이 있으신 분은 번역해보시길 바란다.


잠깐! 그런데 이러한 지우링호우들은 현재 한국말로 "초딩"이라는 말과 비슷하다. 또한 일본의 "중2병"과도 비슷하다. 한국이든 중국이든 일본이든 발전된 경제성과만을 경험한 세대들의 생각은 비슷한듯 하다. 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의 촛불시위를 통해서 중고딩들에 대한 생각을 많이 바꾸게 되었다. 그리고 아직 한국에 희망이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하지만 분명히 무책임한면과 제대로된 사실을 바탕으보다는 감정적인면을 앞세우고, 우르르 몰려다니는 군중성도 있다. 이 점은 고쳤으면 한다.)


현재 중국의 물가 상승에는 중국의 상황상 중국 정부가 어떻게든 관련이 될 수 밖에 없다. 본인의 친구가 주장한대로 중국 정부가 일부러 농촌에 대해서 우혜정책을 사용하기 위해서 도시쪽의 부담을 늘린다던지 (이 부분은 오히려 농촌의 물가가 더 상승했고, 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인 효과밖에 보지 못한다는 점으로 본인은 반대이다) 혹은 중국정부가 기존의 사회주의적 물가통제를 자본주의적으로 개혁하려고 하고 있다던지(간단히 말하면 일종의 민영화) 라는 다양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서민들이 살기 힘들어지는 중국 - 물가 대란을 참고)


중국의 이러한 커다란 물가 상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88년 4월 1일, 국무원은 국가관련기관에서 오늘을 기하여 고량, 기름, 설탕등의 부분 농산품의 구매가격을 상향조정하였다. 4월 5일. 중국 국무원은 고기, 계란, 설탕, 야채을 제외한 다른 품종에 대해서 시장원칙에 따라서 가격을 정하도록 하였다. 5월 19일 떵샤오핑의 발표에 따르면 고기, 계란, 설탕, 야채까지 시장원칙에 맞추어서 풀어주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중국을 혼돈으로 몰아갔다.

8월 19일 정식으로 이러한 정책이 공표가 된 당일부터 사람들은 서로 물건을 사재기 하였다. 한 사람이 500kg의 식염을 사는등의 행위로 인하여 상점의 텅텅 비게 되었고, 그외의 가전제품까지 다 사재기를 하였다. 결국 8월 30일 이펑(李鹏)은 다시 물가 통제 정책을 기존의 방식으로 돌려놓게 되었다.(정확히는“市场经济和市场调节”로 변했지만, 예전의 “计划经济为主,市场调节为辅”과 실질적으로 다를게 없었다.)

본인이 여기서 주의깊게 본 것은 중국의 민주화 운동인 톈안먼 사건(천안문사건 天安門事件)이 일어난 것은 89년 6월 4일이라는 것이다. 이 운동의 주요 원인은 정치적불평등, 언론탄압과 같은 사항이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런데 혹시 이런 운동의 배경에는 88년의 물가파동으로 인한 국민들의 분노가 있지 않았을까? 어찌보면 막말인데, 대부분의 일상적인 서민들은 민주적 자유보다는 당장 먹고 사는 문제을 크게 보기 때문이다.


이런 가정속에서 생각을 해본다면, 중국도 물가상승으로 고통받는 서민들의 분위기 속에서 민주화 운동이든 시민운동이든 혹은 반정부운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물론 아직까지는 중국 시장에 그정도의 사재기 폭풍이 불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티벳문제, 사천지진 그리고 올림픽이라는 다른 사건에 의해서 감추어져 있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올림픽이 끝나고, 올림픽이 모든것을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추측해본다.

또한 같은 가정하에서 현재의 광우병사태는 단순히 먹거리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문제를 해결해주리라고 생각하고 뽑았던 이명박 대통령이 오히려 경제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다른 말로 이야기하면 먹고 살기 힘들어 졌다는 시민들의 분노가 배경에 깔려 있는 것은 아닐까?



중얼중얼

개인적으로 가장 떠오르는 말은 : "이게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다."

그리고 위의 사항에서 추측부분을 잘 구분하시기를 바랍니다. 사실이야 왜곡하지 않았지만, 추측부분은 어디까지나 추측에 불과한 사항이라는 것을 명심해주셨으면 합니다. 글을 읽으시고 당연히 중국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날 것이라고 단정 하지 않아주셨으면 합니다. 하나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일뿐입니다.

중국지진데이타센타에 의하면 베이징 시간 6월 10일 14시 05분에, 내몽고 으어룬춘 자치지역(鄂伦春自治旗 = 북위 49.0도, 동경 122.5도)에서 5.2급 지진이 발생했다고 한다.(출처 :内蒙古鄂伦春自治旗发生5.2级地震) 이 지진으로 사상자가 없기를 바라며, 혹시 있다면 애도를 보낸다. 그리고 2008년 중국은 정말 재난의 연속이로구나라는 말밖에 안 나온다.

동북쪽은 보통 지진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아는데(내몽골에서는 2003년 8월 이후 첫 지진임 한계례 참고) 지진이 일어나다니 중국도 올해 말리나 보다. 하지만 해당지역에 살고 있는 인구가 적기에 인명피해도 그리 많을 것 같지 않으며, 당연히 공장들도 별로 없는 지역이니 경제적 피해도 그리 크지 않을 것 같다. 문제는 저쪽이 산림지역이어서 산림자원의 피해가 예상되는데, 만약 대규모 피해를 입을 경우 한국으로 유입되는 황사량이 증가할 수도 있을 듯하다.

저 번 사천지진의 진앙지라는 원추안은 강족과 티벳인들의 자치지역이었다. 그런데 이번에 지진 역시 으어룬춘이라는 소수민족의 자치구역이다. 단순한 우연이겠지만 더욱 안타까운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악플러들에게 조용히 알려주고 싶다. 저번이나 이번이나 소수민족들이 주로 피해를 입었다. 또 다시 "잘 죽었다"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잘 생각해보고 해주시길 바란다.

우 리가 주의해보아야 될것은 지진 발생 위치이다. 이공계 지식이 빈약하여서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대륙판이 만난다는 중국 남부나 일본이 아니라 저런 곳에서 지진이 일어난다는 점은 한국도 지진에 안전하지만은 않다는 소리일 것이다. 그냥 가만히 놔두어도 다리가 무너지고 백화점이 무너지는 나라인지라 지진 대비 건물과 대책이 얼마나 수립되어있는지 궁금하며 불안하다.


그런데 말이다. 유언비어는 어디까지나 유언비어 이다.  예전에 8을 조심하라! - 중국의 유언비어 을 올린적이 있다. (제 글의 내용을 배끼신 기자분. 정신을 좀 차리시고요^^ ) 그런데 오늘은 6월 10일. 합치면 7일 되는 날이다. 고로 유언비어는 역시나 유언비어이다.


이 글은 어떤 조선족과의 이야기를 그대로 가져다 붙여 놓은 것입니다. 해당 이야기는 저의 현재까지의 생각일뿐이며, 다른 의견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채팅을 하는 것이라 이야기가 논리적이지 않고 띄엄띄엄 한 부분도 있습니다. 최대한 현장감?!을 살리기 위해서 수정 없이 그대로 가져다 붙이니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  무엇보다 다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단! 해당 내용의 조선족이 모든 조선족들의 생각을 대표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한명의 조선족의 의견으로 받아들여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역시나 등장할 우리의 악플러분들에게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익명의 공간이라도 리플은 당신의 인격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그리고 라면만 먹지 말고 밥먹으세요. 속 버려요^^

 
A 군 :
한국에서 중국 조선족 보는 시선이 어떤지 궁굼 합니다 ??/ 솔직하게 답변해 주실수 잇어요 부탁합니다

바로 :
으음....아실텐데요? 별로 안 좋습니다.

A 군 :
네 어느 정도는 알구 알아요 Daum 에 들가 중국방에 들가 보면 조선족 들으 사람 취급 안 하더군요 그정도 일 줄은 몰랏습니다 ..

바로 :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일단 중국자체가 못산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고, 조선족들이 잘사는 한국으로 와서 일한다는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92년 한중수교이후, 중국으로 와서 많은 한국인들과 조선족들이 서로 속고 속이는 예쁜짓을 해서 서로간의 감정도 안 좋고 말이죠. 같은 언어를 사용해서 서로 믿으면 오히려 서로 배신하는 웃기지도 않은 일이지요. 문제는 같은 한국인끼리나 같은 중국인끼리도 충분히 발생하는 일을 조선족에 대해서는 확대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군 :
네 안스럽네요 ~~~ 좋은 사람도 있고 나쁜 사람도 있는데 ........ 조선족들은 한국에서 일하면서 자기 로동력 팔아서 생계를 유지 하는것이 크게 잘 못 이 아니라고 보는데 거지 취급 하는 사람들은 참 나쁘네요

바로 :

또한 일반적으로 조선족중에서 나이 있으신 연배들은 한국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젊은 세대들은 한국을 하나의 외국으로 보고, 중국을 조국으로 보는 것도 어느 정도 일반적인 한국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한다고 봅니다.

머...대충 이정도가 제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0-

바로 :
머...한국의 나쁜 정신상태이고 바꾸어야된다고 생각하지만....이런 생각의 연원을 따지면 저 개인적으로는 박정희때의 왜곡된 역사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담나...머..--지금 당장 어떻게 변화시킬 방법은 생각이 나지 않는군요. 서로를 계속 알아가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하...후..--

A 군 :
어릴 적부터 학교에서 중국식 교육을 받다보니 ~~ 그리고 중국에 뿌리 내리고 4대 째 까지 살다 보니 모두 자연적으로 중국 인으로 생각 합니다 ~~~

그런데 ~~` 한국에대한 환상은 젊은 층은 갖고 있습니다 ~~ 한국 문화를 동경 하고 있습니다 ~~ 머 패션 이나 ~~ 음악 연예인 ~~ 아이돌 스타 좋아는 여학생들도 되게 많아요 ~~~ 조선족 들은 집집마다 한국 TV 시청 할수 있습니다 ~~ 지상파 방송 KBS SBS MBC 중국 티비 보다 훨씬 많이 즐겨 보죠 ~~~` 그래서 한국 현재 상황 을 잘알고 있고 소식이 참 빠르거든요 ~~~

바로 :
그런가요? 제 생각하고는 조금 다른거 같습니다^^::

아...-0- 이렇게 말을 해야겠군요. 50이상의 노년층과 20대이하의 젊은층에서는 한국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간계층이 조금 다르더군요. 또한 반대로 젊은 층중에서도 반한파가 만만치 않고, 이러한 반한파들의 힘이 또 무섭지요. 양국 언어를 다 아니 "악플垃圾帖子"만 골라서 번역하여 싸우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후....--

왜 저딴짓을 하는지 개인적으로 이해가 안됩니다. 저것은 서로 싸움밖에 안되는 것인데 말이지요. 서로서로 악플 번역해서 감정만 자극시키니 말이지요. -- 잘하는 "짓거리" 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후...

A 군 :
네 ~~ 그런 사람들도 많아요

----- 잠시 다른 잡담 ----

A 군 :
주변에 조선족 친구들이 있어요 ??

바로 :
네.-0-

 A 군 :
어때요 한국 분들이 생각 하는 것처럼 그런사람들은 아니죠

바로 :
저의 인간에 대한 언제나 생각은 똑같습니다. "한국인도 중국인도 조선족도 없습니다. 단지 사람이 있을 뿐입니다." 이런 사람도 있고, 저런사람도 있고요. 일본인도 여러사람이 있고, 미국인도 여러사람이 있고, 티벳사람도 여러사람이 있죠. 그것을 그냥 뭉뚱그려서 "조선족은 어떻게 어떻고 하는 것 자체를 거부합니다."

단지 상태를 분석할때에는 그룹화가 필요하고... 그럴때에만 사용할 뿐이지요 -0-


일부러 정리하지 않고 대화내용 그대로 올립니다.
이것저것 서로서로 생각해보도록 하죠^^


이유 있는 비판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저를 난도질하셔도 행복합니다.

해당 글이 반중국정서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국가를 매도하는 것이 아닌 비판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통해서 한국을 되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에 이 글을 올립니다. 의미없는 반중국정서의 덧글이 없기를 바랍니다.

8일 오후 그리고 지금까지 신랑의 메인을 장식하고 있는 것은 한국의 "폭력시위"이다. 중국은 왜 이렇게 보도를 하며, 그에 대해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보아야할 것인가?


韩国4万名示威者与警方发生激烈冲突(图)
2008年6月8日,示威者与警方对峙。2008년 6월 8일, 시위대와 경찰이 대치하고 있다.

韩国4万名示威者与警方发生激烈冲突(图)
8日凌晨,进行街头游行时受到警方阻拦,示威民众在光化门十字路口处同警方发生冲突。
8일 새벽, 거리 시위를 하다가 경찰의 제지를 받았고, 시위민중들은 광화문 사거리에서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韩国4万名示威者与警方发生激烈冲突(图)
示威者攻击警车。 시위대가 경찰차를 공격하고 있다.

韩国4万名示威者与警方发生激烈冲突(图)
防暴警察阻挡示威者。대테러부대가 시위대를 막고 있다.

출처 : 韩国4万名示威者与警方发生激烈冲突(图)


누가 보아도 폭력적이고 비이성적인 시위대의 모습이다. 특히 한국의 사정에 대해서 모르는 외국인이 보면 당연히 폭력적인 시위대로 알 것이다.

프락치에 대한 언급은 사절하겠습니다. 명확한 증거가 확보되기 전에는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는 시위대의 문제로 보일 뿐입니다. 저도 몇가지 심증이 가는 사진을 보았지만, 그것은 심증일뿐입니다. 확실한 증거가 있지 않는 이상 프락치가 아닌 시위대 자체의 문제로 생각하고 사건을 바라볼 생각입니다.


우선 배경지식이 없는 분들을 위해서 상황설명을 하겠다.
중국에서는 촛불시위가 발생하고서도 한참의 시간동안 해당일에 대한 보도가 사실상 전무하였다. 이는 중국의 언론시스템을 생각해보면 중앙정부에서 해당 사건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걸리는 시간이라고 추측된다. 그러다가 "중국언론 촛불시위를 폭력시위로 묘사하다. " 을 통해서 이미 이야기하였다 싶이 해당 사건을 폭력적인 시위로 몰고가는 듯했다. 하지만 한국에서 전의경에 의한 "폭력진압"이 이슈화가 되면서 잠시동안 기사가 올라오지 않았다.(5일저녁부터 8일아침까지) 그리고 8일에 기사가 나온다. 이 기간동안 중국정부에 의한 고민이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그런데 8일날 기사가 나왔다. 그리고 그 기사의 내용은 "시위대의 폭력행위"을 부곽시켜주는 내용이다.

이러한 원인은 이미 "중국언론 촛불시위를 폭력시위로 묘사하다. "에서도 기술하였다 싶이, 중국정부의 입장에서는 시민에 의한 대규모시위를 거부한다. 그래서 시민의 시위는 폭력적이고, 비이성적이어야되는 것이다. 문제는 그동안 한국 시위대는 상당히 평화적인 시위를 하였고, 이것은 중국정부의 입장에서도 고민이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몇몇 가지 일을 거론하면서 폭력시위로 몰고가려고 했으나 증거가 부족했던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젠 그것으로 고민을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중국에게는 한국과의 FTA을 앞두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일을 자유무역을 거부하는 한국인들이라는 이미지를 만들 계기로 사용하고 있다. 30개월 이상의 미국 소고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한국과의 FTA에서 하나의 압력기제로 작용하게 할 생각이라고 추측된다. 혹은 중국 내부에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광우병대책을 감추려는 생각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것이 아니다.


중국정부의 입장과 현재 이명박정부의 입장이 얼마나 다르다고 생각하는가?  여기에 핵심이 있다. 중국정부는 이 시위가 폭력적이어야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시위는 안돼"의 내용을 내보낼 수 있다. 이명박 정부의 입장에서 지금까지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한다면 강력하게 진압할 수 있는 명분을 얻게 된다. 이것이 폭력시위를 하지 말아야되고, 다른 사람이 해도 말려야되는 이유이다.

명분이라는 것은 매우 관념적이고 쓸모도 없어보일 때가 많다. 하지만 그러한 명분을 유지한다면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된다. 중국언론도 없는 사실을 만들어 내면서 조작하는것은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한국언론도 동일하다. 왜 조중동의 폭력시위 기사에 대해서 당당하게 비웃을 수 있었는가? 

우리 제발 명분을 잃지 않았으면 한다. 끝까지 비폭력 무저항이다.
제발...부탁드립니다...



중국인(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촛불시위 홍보를 위한 생각 :
현재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해당 사건을 자유무역에 반대하는 반미주의적 난동으로 판단하고 있다. 광우병에 대한 문제점을 모르고, 한국 시민들이 왜 이런 시위를 하는지에 대한 언론의 명확한 사건 해석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정부의 의도와도 관련이 있지만, 어찌되었든 가장 중요한 점을 모르고 있는 상태이니 그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아고라를 믿어보겠다. 중국을 비롯한 해외의 많은 사람들은 현재 한국인만큼의 관련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무것도 모르는 외국사람들을 위한 간단한 홍보동영상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아고라에서 이를 종합해주시면 본인도 소속되어 있으면서 암암리에 번역활동으로 이번 일을 지원하는 해외거주자 모임이 조용히 번역해서 전세계에 돌릴 것이다.

혹은 ddokbaro@gmail.com 로 정리된 내용을 보내주셨으면 좋겠다. 하지만 주의하셔야될 것은 기존의 한국의 홍보물은 어디까지나 한국인들에게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핵심은 아무것도 모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만든 홍보물이어야된다는 점이다.


한국의 수능고사처럼 중국에도 까오카오(高考)라는 대학입학에 매우 중요한 시험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시험의 문제에서 그 사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제대로는 번역을 해주어야겠지만 귀찮으니 중국말 아시는분만 보셔요^^


08年全国I卷高考作文:地震相关话题

2008年高考作文题陆续出炉,全国卷I高考作文题为给材料作文,话题与地震相关。参加全国卷I的省份:河北、河南、山西、广西
 


08全国卷II高考作文:老鹰和海龟

2008年各地高考作文出炉,全国卷II(参加全国卷II考试的省份有:贵州、黑龙江、吉林、云南、甘肃、新疆、内蒙古、青海、西藏)的作文题如下:

阅读下面的文字,根据要求写一篇不少于800字的文章。

南太平洋的小岛上,有很多绿海龟孵化小龟的沙穴。一天黄昏,一只幼龟探头探脑地爬出来。一只老鹰直冲下来要叼走它。一位好心的游客发现了它,连忙跑过去赶走老鹰,护着小龟爬进大海。可是,意想不到的事情发生了,沙穴里成群的幼龟鱼贯而出——原来,先出来的那幼龟是个“侦查兵”,一旦遇到危险,它便缩回去,现在它安全到达大海,错误的信息使幼龟们争先恐后地爬到毫无遮挡的海滩。好心的游客走了,原先那只在等待时机的老鹰又飞回来了,其它老鹰也跟过来了。

要求选择一个角度构思作文。自主确定立意,确定文体,确定标题; 不要脱离材料内容及做含意的范围作文,不要套作,不得抄袭。

자연의 질서, 사마리안의 문제등등?!


개인적으로 상당히 "......"했던 문제

2008年福建省高考作文题目:情景作文

三个人去商店买饮料,三人选择不同的饮料。第一个人选择了果汁,他说:“我喜欢甜的。”第二个人选择了咖啡,他说:“我喜欢又苦又甜的。”第三个人选择了矿泉水,他说:“我喜欢平淡无味的。”。

学生自拟题目,自定立意,文体不限,写一篇800字的作文。

장난해? 장난해??? 물론 이것을 보고 다양한 음료수들이 중국으로 유입된 역사적과정과 그를 받아들이는 중국인들의 인식체계와 미식에 대한 다양화..어쩌고를 생각하긴 했다만...이건 먼...


다른 재미있는 문제.

2008年北京市高考作文题目

1、材料作文:石头和杯子。
学生根据材料自选角度,自拟题目写一篇不少于800字的文章,除诗歌外体裁不限。
在课堂上,老师拿了一个玻璃杯,里面放了一个大石头,差不多和杯子一样大,老师问大家:杯子满了吗?
一个学生回答:没满,还可以放沙子。
待学生放完沙子,老师又问:满了吗?
全班同学回答满了,有一个男孩却回答没有满,还可以放水。
老师笑了,接着把沙子和石头倒出来,杯子是空的。
这回老师是往杯子里放沙子和水,然后问大家,杯子满了吗?如果要放石头进去,该怎么放?
男孩就把杯子里的沙子和水倒出来,先把石头放进去。

老师让学生们对此发表自己的看法,学生们各抒己见:

观点一“看起来到了极限,其实还有很大空间”

观点二,做事要有一定的顺序,应该先放沙子

观点三,对,分量重的事应该先做,比如大的石块应该先放进去

观点四,不一定吧,先放沙子和水也未必不可……

学生根据材料自选角度,自拟题目,写一篇不少于800字的文章,除诗歌外体裁不限。

머라 할말이 없다. 참 재미있다. 하하하....후..머..사실 여러가지 생각할거리를 주긴하다만...본인같으면 등장하는 유리컵, 모래, 돌, 물자체를 부정하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 돌은 돌이되 돌이 아니다. 유리컵은 유리컵이되 유리컵이 아니다? 머..간단히 말하면 유리컵을 깨버리고 그 사이에 모래 돌 물을 놔두면된다정도도 그 한 모습중에 하나정도? -- 머.....이러니 미친넘 소리를 듣지.


2、小作文:地震后的感想
今年考题中出现了关于地震的内容,语言表述题要求学生用45个字对一幅漫画写出自己的感想:地震的废墟中,一只时钟停在了2点28分



시험에서는 뻔한 대답이 나올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대답이 나올 문제

2008年辽宁省高考作文题目:最近有一则调查青年人的价值观:调查在车上让坐的行为有26%的青年人表示难以评定,对于在公共场合上大声喧哗的事情有28%的考生表示难以评定,对于随地吐痰的问题有25%青年人人不发表评价,对于闯红灯的行为有19%的表示难以评定。对此,有的人认为青少年现在价值观模糊甚至错误, 有的人认为青少年的价值观还很健康很阳光,有的人认为青年人之所以不发表评价是因为他们思想多元化,个性化。
请围绕材料自选角度写作,题目自拟,立意自定,体裁不限(诗歌除外)不少于800字。



그외에 다양한 문제를 보고 싶은 분은 :

http://edu.sina.com.cn/gaokao/08gkzw/index.html

http://learning.sohu.com/s2008/gkzw2008/


[머니투데이 베이징=송기용기자]한국과 중국이 고등학교와 대학교,대학원 학력을 서로 인정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국간 유학생 교류가 보다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2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한 후 '한·중 고등교육 학력학위 상호인정'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한·중 양국에서의 고등교육 학력,학위를 상호 인정하기로 함에 따라 양국 고등학교와 대학, 대학원에 재학중이거나 학위를 취득한 학생이 상대국으로 진학 또는 편입학할수 있게 됐다.

韓-中, 고등학교ㆍ대학교 학력 인정

 

본인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나오고 중국에서 대학교를 나온 뒤, 계속 중국에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짦은 지식으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1) 한국인들은 원래부터 중국 대학교 진학에 문제가 없었는데? 그리고 편입은 중국에 없다.

본인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나왔다. 그런데 문제 없이 중국 대학교에 올라갔고, 계속 대학원까지 다니고 있다. 그럼 나는 인정도 되지 않는 고등학교 졸업장으로 중국대학교에 들어온 것인가? 또한 중국대학교는 최소한 내가 아는 범위에서는 편입학이 없다. 제도 자체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무슨넘의 편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건지 이해가 안된다.

물론 해당 정책은 중국학생들의 한국유학을 촉진시키는 의미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현재 한국의 지방대들의 재정적인 부분을 보충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활로를 열어놓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류로서 양국의 우호를 증진시킬 수 있고 말이다. 그리고 중국쪽 대학들도 편입제도를 마련할지도 모르고 말이다. 하지만 이런 편입제도 개인적으로 그리 환영하지 않는다. 4년내내 공부해도 중국을 잘 모르겠는데, 편입으로 단기간 공부한다라...

 

2) 학위인정도 예전부터 되었는데?

여기서 석박사를 나와서 한국에 가는 분들 많이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학위는 한국에서도 인정받았다. 내가 잘못알고 있었던 것인가? 그동안 그 분들은 사기를 치고 있었던 것인가? 그런데 대학교수도 하는 분도 계시는데 말이다. 대체 과거와 무엇이 다른지 도무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부분이다. 여러분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3) 그동안 불허했던 의사(특히 한의사)가 허용되었다는 것인데....어???? 이건 아니잖아!

한의사들이 한국에 진출을 가로막는 장벽이 바로 이 "학위인정"문제였다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해당 일로 이제 중국의 한의사들이 한국에 들어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일이고 어쩔 수 없는 세계화 추세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의사의 경우 특별한 시험이 필요한 반면, 한의사는 특별한 시험이 필요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 이것을 이렇게 쉽게 풀어주어도 되는 것인가? 특히 이건 중국측에서 더욱 군침을 흘리는 대목이니, 협상카드로 쓸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냥 넘겨준것이 되는 건가? 흐음...

중국어를 아시는 분들은 아래쪽 기사에서 쉽게 촛불시위 관련 중국기사를 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모르시는 분은...죄송합니다...쿨럭...

해당 리스트는 6월 7일 오전 10시(베이징 표준시간)까지 나온 기사들입니다.

 

http://world.people.com.cn/GB/1029/7352257.html 

인민왕 韩抗议者要总统辞职 -  抗议活动将持续72小时,上万名警察总统办公室外戒备

韩国警方6日阻止约2000名试图接近总统府的抗议者

시위 인원이 2000명정도밖에 안되는듯이 서술하는 고전적인 기법.

많은 중국친구들도 시위가 몇벽명정도밖에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http://world.people.com.cn/GB/1029/7352258.html

인민왕  韩国总统秘书辞职

으음...--

 

http://news.sina.com.cn/w/2008-06-07/083215700068.shtml

시나왕 韩国数万人街头示威 总统幕僚集体请辞

世界动物卫生组织已经证明美国的牛农的卫生标准足以控制疯牛症的风险。不过,韩国民众似乎并不相信。

모르고서 쓴걸까? 아님 알면서 일부러 그러는 것일까?

 

http://news.sina.com.cn/w/2008-06-07/090015700155.shtml

시나왕 李明博9名高级助手集体递交辞呈

그런데 한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지금까지의 공통점은 시위대 인원을 아예 이야기하지 않거나 그 숫자를 줄이고 있다. 유일하게 시나왕의 기사하나만 몇만명이 시위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경찰 통계만 5만 이상, 대책위 통계 25만 이상인 상황에서 전적으로 경찰 통계만을 인정하는듯 하다. 혹은

 

http://news.qq.com/a/20080607/000870.htm

텅쉰왕 韩国出现牛肉危机 数万民众示威总统幕僚辞职

내용은 같은 중신사여서리 별 다를것이 없다.

지금 현재 이 기사가 대부분 8시가 지나서 나온지라 아직 많은 덧글이 없는데, 이곳에서는 덧글 두개가 있길래..-0-

 

1) 这样的明主由此可见,我们不得不服。

 

2) 辞职??!

....................................................

多么遥远...

 

머..일단 부러워하는 쪽이긴 하다.

 

 

현재까지의 결론으로 중국사람들을 설득하려면 "특히" 30개월 이상의 소가 왜 위험하며, 미국의 소가 왜 위험한지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듯하다.

5년간의 쾌속 발전을 통해서 중국의 휴대폰 시장은 이미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2007년 약 1.5억개의 휴대폰이 팔렸으며, 23.1%의 성장율을 기록하였다. 판매액은 무려 1661억 인민폐(한국돈으로 약 25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저급휴대폰 판매의 확산으로 매출액은 전년도에 비하여 0.3%떨어졌다.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과 3G기술 그리고 휴대폰허가제를 취소함와 같은 국가 정책이 중국의 휴대폰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주의 : 해당 글은 4월달에 작성했습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폐기처분되었다가 이제야 올립니다. 그동안 몇가지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전체적인 사항은 큰 변동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중국시장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충분히 유용한 글이라고 판단됩니다. 그 동안 변동된 사항에 대한 수정사항을 덧글로 지적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1) 노키아, 삼성, 모토로라의 삼국지. - 세계 시장

1000만대를 팔아라!

현재 세계 휴대폰 시장은 점차 노키아, 삼성, 모토로라, 소니와 같은 몇몇 기업이 독점을 하는 양태로 변해가고 있다. 2007년 전세계 휴대폰 판매율은 11.5억대이다. 하지만 상위 4대기업을 제외한 다른 휴대폰 기업들은 단지 1%, 곧 1000만대조차 판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부분의 중국 휴대폰 기업들은 이 1000만대의 생명선에 도달하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 규모가 작고, 상품의 질이 떨어지며, 브랜드의 힘도 없는 상황에서 매우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

필자의 예측으로는 비록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휴대폰 브랜드를 양성할 정책을 내어놓고 있지만,  많은 중국 휴대폰 업체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1000만 생명선을 넘어가기 위해여! 계속 뭉쳐나아가 하나 혹은 두개의 그룹이 결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2위의 삼성 - 아직은 멀었다.

2007년 삼성은 드디어 치열했던 전쟁끝에 모토로라를 2위 자리에서 밀어내었다. 이로서 삼성의 앞에는 휴대폰 제국 노키아만이 남아있게 되었다. 하지만 진정한 전쟁은 이제부터이다. 노키아의 2007년 세계 시장 점유율은 38.1%이다. 삼성은 채 14.5%였다. 너무나 까마득한 차이이다.  그러기에 2008년 삼성의 목표는 세계 점유율 20% 달성일 정도이다. 하지만 삼성전사 업무부장 최계성씨는 "우리가 노키아를 따라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라는 패기에 가득한 소리를 한다.

하지만 이제 최종 보스인 노키아로 가는 중간보스가 되어버린 삼성에게는 CEO을 갈아치우면서 이를 갈고 있는 모토로라의 반격도 예상된다. 지금 현재 모토로라는 전세계적인 규모의 구조 조정을 하고 있다.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생명선을 차지하려는 군소 업체들의 패기 넘치는 도전도 기다리고 있다. 

이 모든 것을 뛰어넘어서 노키아의 절대제국을 무너트릴 수 있을 것인가?


2) 앞으로 5. 마지막 기회를 잡아라!

위의 표는 2008년부터 2012년 중국 휴대폰 시장의 판매액과 성장율 예상이다. 표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기존의 빠른 성장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된다. 이는 시장이 포화상태로 가고 있다는 말이며, 난세가 끝나가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2012년을 기점으로 정해진 점유율은 거의 변화가 없을듯 보인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일반적인 휴대폰 구매자는 처음 사용했던 휴대폰에 불만이 없을 경우,그대로 같은 회사의 휴대폰을 다시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2012년이 되면 사실상의 신규구매자가 대폭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2007년 삼성은 모토로라를 누르고 중국시장 2위로 등극하였다. 이에 대해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중국대표 노기학(卢基学)씨는 그러한 순위변동보다는 삼성 자신과의 싸움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쟁과도 같았던 2007년의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 그것도 노기학 대표의 말과는 다르게 분명히 서양쪽으로 역량을 더욱 투자하는 삼성이 이러한 순위변동을 이루어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며, 기념할 만하다.

물론 중국시장 일위인 노키아의 시장점유율 40%라는 경악적인 점유율을 생각하면 아직 축배를 들기는 어렵다. 

영웅은 난세를 부르고, 난세는 영웅을 부른다고 했던가? 이제 난세가 끝나가는 2012년을 향하여서 모든 휴대폰 업계가 마지막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노키아에게 계속 밀리고 있는 삼성도 이 5년을 잘 잡아야 한다. 그래야 절대 군주가 되어서 앞으로 중국 휴대폰 시장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이다.


3) 중국 시장 쟁탈전 - 여기 또한 전국시대

한국에서는 거의 한국 휴대폰만 사용한다. 그래서 노키아라던지 모토로라와 같은 휴대폰에 대해서 한국에 사시는 분들은 의외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저번 편과 같이 로고를 이용해서 해당 회사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려고 한다.

노키아
세계 휴대폰시장의 절대 강자이며, 중국 시장에서도 절대 강자의 위치에 있다. 비록 한국시장은 아예 포기해버려서 한국인들에게는 그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키아의 한걸음 하나에 세계 휴대폰 시장이 움직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노키아는 그 특유의 튼튼한 판매구조로 중국의 사실상 모든 지방에 판매상을 확보하고 놀라운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특히 노키아는 중국을 비롯한 인도, 남미, 아프리카와 같은 휴대폰 수요가 급증하는 곳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삼성
2007년 모토로라를 쳐부수고 세계 시장과 중국 시장 모두에서 2인자로 올라섰다. 원래 유럽과 북미에 중점적으로 힘을 투자해왔지만,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중국을 비롯한 국가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말로 하면 유럽과 북미에서 애니콜이 어느정도의 고급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정착시켰기에 이제 적극적으로 저가 휴대폰 시장에 뛰어들려는 것으로 보인다. 

모토로라
2007년 삼성에 패하여 3인자로 물어난 뒤, CEO을 갈아 엎었다. 현재 전세계 규모의 구조조정을 준비하여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다. 혹자는 2008년이 진정한 삼성과 모토로라의 전쟁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매각설이 나오며,소니에서 인수하고 싶다는 의향을 보일 정도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리엔시앙(联想)
원래는 컴퓨터를 조립 판매하는 회사이다. 휴대폰 시장에 군침을 흘리고 사업을 발족하지만, 2007년의 중국 휴대폰 시장 전쟁에서 참패를 하고 현재 휴대폰사업을 포기할 것인가로 고민중에 있다. 중국 시장만 한정해서 본다면, 워낙에 중국인들에게 좋은 이미지, 국산이미지가 있기에 그리 쉽게 물러날 것 같지도 않다. 

그외...(애플, 소니 에릭슨,LG그리고 중국의 짝퉁기업)
요즘 가장 떠오르는 것은 누가 뭐라고 해도 애플을 뺄 수 없을 것이다. 아이폰은 순식간에 세계를 휘어잡았다. 하지만 휴대폰의 판매는 제품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튼튼한 판매구조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애플은 초기 사업자로서 어쩔 수 없는 약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현재 모토로라를 인수할 것이라는 소문이 흐르는 세계 점유율 9%의 소니 에릭슨이 있다. 만약 정말 두 기업이 합병이 된다면 삼성을 다시 추월해서 세계 2위가 된다.

한국의 다른 상표인 LG의 경우 중저가형으로 발전하는듯 하다. 세계시장 점유율 7%으로 4위를 하고 있다. 약자라고 하면 우습지만, 무엇인가 획기적인 돌파구를 만들지 않으면 안될 시기인듯 하다.그리고 그동안 많은 짝퉁제품을 양산해온 중국 휴대폰 기업들이 이제는 양지로 떠올라서 적극적으로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한국이 일본 반도체의 "짝퉁"을 만들다가 지금은 오히려 한국이 앞서가는 것 처럼, 그동안 짝퉁으로 기술력을 축적한 이런 중국 휴대폰 기업의 반격도 무시할 수만은 없다.


4) 중국시장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현재 중국이든 세계이든 휴대폰 시장은 두가지 큰 흐름이 있다. 리엔시앙이나 TCL  혹은 도시바, 파나소식 처럼 기존의 휴대폰 시장의 한 부분을 차지하던 회사들이 휴대폰 사업에서의 한계를 느끼고 포기하는 흐름이다. 위에서 말했지만 1000만대의 벽은 생각보다 높다. 그와는 반대로 휴대폰 시장에 밝은 미래가 있다는 생각으로 뛰어드는 애플이나 구글 그리고 중국의 짝퉁기업들이 있다. 이런 격변의 순간!

노키아는 인터넷과의 연결을 최우선과제로 여기는듯하다. 어차피 기존의 튼튼한 판매구조에는 더이상 손을 댈 것이 없을 정도이고, 문제는 사용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이용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듯 하다. 제국으로서는 당연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은 중국시장의 강력한 판매상들(中兴,华为)등과 손을 잡고 노키아에 비해서 부족한 판매구조를 세우려고 노력하는 듯 하다. 그리고 올림픽을 맞이하여 중국에 대한 홍보를 강화시키는 분위기이다.하지만 정작 햅틱의 발매가 미국에 비하여 중국에서 늦게 하는 것 자체가 아직은 중국 시장을 그리 크게 보고 있지 않다는 말이 되기도 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삼성은 중국의 시장에서는 햅틱과 같은 고급휴대폰보다는 삼성의 표현대로라면 "고급 저가휴대폰"을 주요 판매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고급 저가휴대폰이란 같은 저가의 휴대폰 중에서 비교적 높은 성능을 지니고 있는 휴대폰이라는 의미이다. 기술력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소리로 들리지만, 결국 중국 시장에서는 가격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소리가 된다. 나쁘지 않은 생각이라고 생각된다.하지만 중국의 상위 10%을 대상으로 하는, 그리고 기술력을 뽑내는 햅틱과 같은 상품의 발매도 빠르게 하는 것이 좋지 않나 싶다.

모토로라는 스스로의 구조조정에도 정신이 없고, 소니 에릭슨의 인수설도 있기에 상반기 특별한 대책은 보이지 않고 있다. 여름시즌쯤이 되어야 미래에 대한 청사진이 나올듯싶어 보인다.하지만 상반기내에 안정을 찾지 못한다면 빠르게 변화하는 휴대폰 시장에서의 앞날은 없다.


-- 중국시장의 복병
중국시장의 숨은 복병은 짝퉁 회사들이다.짝퉁을 만들어서는 사용자들에게 제대로 팔리지 않는다. 당장은 속아서 살 수도 있겠지만, 그것도 한두번인 것이다. 이제 짝퉁회사들도 환골탈태하고 있다. 중국 소규모 휴대폰 회사들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국산"이라는 점이다. 한국에서나 일본에서 수 많은 외국 휴대폰 회사들이 참패를 하는 이유중에는 분명히 "국산"이 아니라는 문제도 포함이 되어있으리라 여겨진다. 중국 휴대폰 회사들은 이 "국산"이라는 강력한 카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카드를 가지고 있다. 어마어마하게 "싸다". 필자의 경우 휴대폰은 전화번호, 알람, 전화걸고 받기, 문자면 된다. 다른 기능들이 필요가 없다.(라고 자기위안을 한다.) 물론 MP4도 있었으면 좋겠고, 터치 스크린은 군침이 뚝뚝 떨어진다.하지만 현실에서는 돈이 없기에 눈물을 삼키며 "싼"휴대폰을 사야될 경우가 많다.중국 휴대폰 회사는 기능을 떨어트리더라도 최대한 싸게 공급을 한다. 만약 중국의 휴대폰 회사가 "AS"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면 강자가 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또한 중국에서는 아직 사회주의적 경제체제가 남아있다. 직접적으로 말해서, 중국정부가 소규모 휴대폰 회사들을 모아서 하나 혹은 두개의 기업으로 합병시킬 여지가 남아있는 것이다. 보통 시장경제에서는 말도 안되지만, 만약 이렇게 된다면 상당히 강한 힘을 가지게 될것으로 보인다.휴대폰 회사 이름이 "중국 휴대폰" 이렇게 나오고 싸고 AS도 보장이 된다면 일반 중국 소비자의 마음은 어디로 가겠는가?


5)미래를 위한 키워드 - 인터넷과 오픈휴대폰시스템

두 키워드는 전혀 다른것 같지만 결국 하나를 말하고 있다. ---- "사용자"

사용자가 지금 현재 원하는 것은 누가 뭐래도 "내가 원하는대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구글의 안드로이드라는 오픈휴대폰 시스템이 나왔을 때 그렇게나 말이 많았던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다 싶이 노키아가 지속적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노력을 기울이면서 휴대폰과 인터넷과의 연결을 꾀하는 것도 사용자가 그러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중국의 통신회사들을 통합시키면서 "휴대폰 + 인터넷"을 모두 가지고 있게 만든것도 퍼즐맞추기가 아닌 것이다.

삼성도 이에 대한 대비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개인적으로 인터넷 강국이라는 한국에서 인터넷과의 연결이라는 다양한 실험을 하면서 세계 시장에 투입시키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본다. 특히 터치폰이라는 햅틱의 새로운 인터넷과의 접목가능성을 모사해보는 것도 좋을듯 하다. 터치가 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훨씬 쉽게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이런 조정을 더욱 강력하게 발휘하기 위한 부대적인 UI에 대한 준비와 그런 터치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더욱 많은 서비스들이 나오기를 바란다.





주제와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6.4 재보선 한나당 참패!!! 만세!!!!
하지만 민주당이여. 방심하지 말고 똑바로 하세요
당신들이 예뻐서 뽑은게 아니라는 것 명심하세요.



중국에도 여러가지 인터넷 뉴스 매체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매체는 실질적인 영향력이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본인은 기본적으로 "인민왕"과 "시나왕"을 기준으로 생각한다. 인민왕은 중국정부의 겉모습이 들어나는 곳이라면, 시나왕은 중국정부의 속마음이 들어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인민왕은 관보의 성격상 정치색을 띄울 수 밖에 없지만, 시나왕은 일단 명목적으로는 일반 기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사람들은 다 안다. 입김 다 들어간다.) 그래서 한국의 촛불시위에 대한 뉴스가 다른 쪽에 올라갔을때도 본인은 무시했다. 그쪽은 요즘 유행어?!로 듣보잡이기 때문이다.


시나왕에 올라왔다는 사실은 중국정부가 해당 뉴스에 대한 입장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 글과 다른 글 한개를 통해서 추측해 보면, 일단 민중의 시위인만큼 사회주의국가라고 외치는 중국에서 완전히 부정적으로 말하기는 힘들어서 모호하게 처리하면서도 "부분 시위대는 청와대로 향하는 과정에서 경찰버스의 유리창을 부수는등의 폭력적인 모습을 보였다"라는 식으로 해당 일이 "인민들의 혁명"이 아닌 "일부 사람들에 의하여 폭력시위로 변질"되었다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중 국 정부로서는 이 방법이 최선의 방식이라고 생각된다. 중국에서는 노동자와 인민의 힘을 최고로 친다. 하다못해서 중국의 헌법 1조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노동자계급의 영도와 노동자 농민연맹을 기초로 하는 인민민주 독제정치의 사회주의국가이다"라고까지 규정해놓고 있다. (사실은 아니지만) 겉모습에서 인민들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문제는 정작 중국이 제일 두려워하는 존재가 이 인민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특히) 천안문사태 이후로 인민들의 시위가 반정부적인 것은 아예 사전에 차단해버리고, 설사 시위가 반정부적이 아니더라도 일정이상 사람이 모인다면 해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천안문사태도 처음에는 단순한 추도모임에서 반정부시위로 발전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요인외에도 한중간의 FTA 협상을 압두고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관망하는 태도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건 본인의 관점에서는 중요해보이지 않는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중국정부는 인민들의 시위라는 것을 최대한 무시하며, 폭력시위라는 것을 강조하여 중국인민에게도 해당 일을 벌이지 말라는 암묵적인 세뇌를 계속 할 것으로 추측된 다. 중국쪽에서 이번 촛불시위를 지원할 것이라는 꿈은 아예 버리는게 좋을듯 싶다. 어차피 기대도 안했지만 예상대로 되니...중국도 아직 멀었다. 하긴 지금 중국 걱정할때가 아니다. 한국도 멀었다. 폭력진압하면 알아서 겁먹고 해산하겠지라는 생각을 가진 어떤 "80년대식 무대뽀 뇌"을 가진 사람을 어찌한단 말인가....후...


(추가)굳이 직접 이야기 해주어야 알아먹는 사람들을 위해서! 

위의 보도내용은 어디까지나 중국정부의 판단에 의한 기사 내용입니다. 이것은 중국인들의 마음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이야기 해드리죠. 지금 현재 이명박정부를 보면서 다른 나라 사람들이 "한국인들 다 개새끼"라고 한다면 어떻겠습니까? 중국 정부와 중국 사람을 일단 구별을 하고, 중국 정부는 왜 저렇게 해야되는지 생각을 좀 해주셨으면 하는군요. 서로 자라온 문화와 시스템이 다른것일뿐 사람은 같습니다.

비 판할려면 이런 시스템을 비판을 해야지 인격적으로 상대방을 모욕하시는군요. 계속 악플을 달려면 다십시오. 하지만 전 그런 쓰레기글에 답글을 달아줄 생각이 없다는 것만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왜냐하면 나름 세계를 여러군데 돌아다니고, 여러 나라 사람을 만난 제 결론은 사람은 다 똑같다라는 것입니다. 그 시스템이 다를 뿐입니다. 그래서 전 그 시스템을 비판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런 글에 적힌 중국 사람들의 덧글이 다. 너무나 재미있게도, 어릴때부터 인민(특히 노동자의) 혁명은 무조건 지지라고 거의 세뇌되다 싶이 배워왔기에 많은 이가 한국의 시위를 지지하고 있다. 물론 그 속에서는 반미적인 요소도 일정부분 작용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냥 미국산 소고기 안 먹으면 되는거 아냐? 라는 식의 발언을 하고 있다. 이건 한국사람들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으니 답답할 뿐이다. 

미국산 소고기는 실제로 스테이크 식으로 먹는 것 외에 라면과 같은 식품류를 제외해도 당장 "생리대"나 "화장품" , 심지어 "분유"속에도 들어간다. 그리고 그런 방식으로도 광우병이 옮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긴 이제 문제는 미국산 소고기만이 아니다. 대운하도 안한다고 거짓말 하고 뒤에서 몰래하다가 김이태박사님의 양심선언이 있자 "그런일 없다"고 잡아 때더니, 이젠 강행동파하시겠단다. 국민을 우롱해도 정도가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무리보아도 비폭력 평화시위를 폭력 진압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화염병이 있었는가? 쇠파이프가 있었는가? 맨손의 시위대를 방패로 찍고 발로 까고...살수차까지 동원하더니, 심지어 "대테러부대"까지 동원하고 있다. 지금을 80년대로 착각하고 계신 이명박 대통령이시다.


본 인은 광우병에 대해서 전문가 수준으로 알지 못한다. 그래서 조용히 침묵을 지킬 생각이었다. 그리고 현재 광우병에 대한 사항이 어느 정도 부풀려져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물론 광우병에 대한 이야기의 많은 부분이 사실이지만 조금은 감정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를 침묵에서 끌어낸 것은 "비폭력 평화시위"을 깔아 뭉개는 그들의 "폭력 진압"이다. 이명박 정부. 너희는 대화하자는 시민을 뭉개버렸다. 이제 시민의 힘을 느껴보아라.

나 는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그 의견 때문에 박해를 받는다면, 나는 당신의 말할 자유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다." - 볼테르 (프랑스 계몽사상가) 하지만 가슴은 화산처럼 불타더라도 머리속의 이성은 얼음처럼 차가워야한다. (한명의 시민 바로)


중얼중얼

본 인 최대한 빨리 귀국하도록 해보겠다. 하지만 본인이 귀국하기 전에 이 일이 마무리 되었으면 좋겠다. 나의 자리가 없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나의 자리가 남아있다면 또 한명의 "비폭력 평화 시민"이 탄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 학기가 끝나면 귀국할 수 많은 유학생들의 파도가 간다.

중국어 원본과 번역은 패스다. 보고 싶은 분은 직접 아래 주소로...

http://news.sina.com.cn/w/p/2008-06-02/145115666495.shtml

http://news.sina.com.cn/w/2008-06-02/075513958282s.shtml

http://tv.people.com.cn/GB/14645/25060/7328419.html


http://nc.people.com.cn/GB/7332697.html

본인의 생각이 일정부분 틀렸을지도 모르겠다. 물론 본인이 제시한 "인민의 시위"을 일정정도 막으려는 사항은 있다. 하지만 3일자 인민일보 기사는 상당히 객관적으로 서술되었다고 생각된다.

물론 아직 "甚至发展到与警察发生暴力冲突 심지어 경찰과 폭력적인 충돌이 있었다"라는 부분이 아직도 보인다. 하지만 "试 图进入青瓦台总统府的示威者们还与用高压水枪驱散抗议人群的防暴警察发生暴力冲突。정와대로 돌입하려는 시위대들은 살수차를 이용해서 항의하는 사람들을 물리치려는 경찰특공대와 폭력적인 충돌이 있었다" 는 부분은 충돌부분을 나름 사실대로 서술했다.(물론 해당 충돌이 일방적으로 시위대가 당했다는 부분을 서술하지 않은 부분은 에러)

 하지만 "局 在最后一刻决定妥协,延长禁令,但没有表示,禁令延长时间将会有多长. 당국은 마지막 순간에 타협을 하여, 수입금지시한을 연장하였다. 하지만 수입금지 연장 시간이 얼마나 될지는 발표하지 않았다"라는 부분을 보면 은근한 까대기까지....음....


못보고 지나친 연합조보의 1일자 기사

 连日来的抗议活动造成了几百人被捕,不过警方至今仍避免动用武力镇压示威.(계속된 항의운동으로 몇백명이 연행되었다. 하지만 경찰은 지금까지 무력으로 시위를 진압하려는 것을 계속 피하고 있다. )

이미 예전 날짜이긴 하지만 무력진압이야기가 돈것이 이미 25일부터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해당 뉴스가 조중동의 보도를 그대로 인용했을 것이라도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방향이 오늘자 인민일보에서 점차 흐려지고 있다. 이것이 잠시 보류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의도인지 생각해봐야겠다. (어차피 연합조보야..........듣보잡이니...살짝 무시해도 되긴 하다만...--)

아무리 조중동만으로 판단했다고 해도, 해당 뉴스가 조중동에 올라온것만 해도 26일쯤으로 기억하는데 이건 너무 느린게 아닌가 싶다. 다른 뉴스는 훨씬 더 빨리 올라오는데 말이다. 흐음...



느린 속도때문에 글 추가하다가 전체 내용이 날라갔습니다. 그동안 이 글을 보신분들 죄송합니다. 아우...이 너무나 빠른 인터넷 속도는...ㅠㅠ


http://world.people.com.cn/GB/1029/7337596.html
인민일보 4일자 기사
기본적으로 사건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려고 했다. 특히 경제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개인적으로 지적하고 싶은 사항은...

경찰의 폭력진압과 같은 문제는 여전히 서술되지 않고 있다.(이건 분명히 한국에서 그만큼 논란이 되고 조중동도 서술할 정도이니 논란이 되고 있는데 작성하지 않고 있다. 이건 어느 정도 고의로 보이는데...)

반광우병에서 반정부시위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아직 서술하지 않고 있다.

"중국의 통신시장은 현재 침묵의 전쟁중이다." 이미 관련 인사들은 물론이고, 관심이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들려오는 말이다. 중국 정부의 주도아래 기존의 6대 통신 기업들이 서로 뭉치고 흩어지게 된다. 마치 전국시대를 떠오리게 하는 이런 이해집산은 앞으로 중국의 통신 시장을 뒤흔들 것이라는 것은 모두가 공감하는 이야기이다.

 주의 : 해당 글은 4월달에 작성했습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폐기처분되었다가 이제야 올립니다. 그동안 몇가지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전체적인 사항은 큰 변동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중국시장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충분히 유용한 글이라고 판단됩니다. 그 동안 변동된 사항에 대한 수정사항을 덧글로 지적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나저나 2월달부터 돌던 소문내용 거의 그대로 진행된 것으로 봐서는 역시 당시의 소문은 단순한 유언비어가 아니라 시장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판단되는군요.

1) 2007년 중국 통신시장의 성적표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동의 천하제패정도로 생각하면 될듯 하다.

런민요우띠엔(人民邮电)의 통계에 따르면, 2007년까지 중국 통신서비스는 총 19360.5억원의 자산을 구축하여, 작년대비 26.4%의 성장을 하였다. 그 중에서 통신산업은 18545.4억원으로 작년보다 27.1%의 성장을 보였다. 통신산업의 구체적인 성적표를 살펴보자.

2007년 중국 통신사용자는 8389.1만명이 증가하여, 9억명의 고지를 돌파하여, 91273.4만명이 되었다. 그 중에서 이동통신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의 60.0%을 차지하여서 이동통신사용자와 고정전화사용자의 차이가 18183.8만명으로 늘어났다.

전국이동통신사용자가 8622.8만명이 증가하여서 54728.6만명이 되었다. 2007년은 이동통신 사용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한해로서 10월달에는 무려 813.2만명이 늘어나서 한달 가입자수 기록을 갱신하였다. 현재 이동통신 보급비율은 41.6%로 100명중 42명정도가 이동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고정전화 사용자수는 233.7만명이 감소하여 36544.8만명이 되었다. 이것은 1968년이래 최초로 사용자 숫자가 감소한 것이다. 그 중에서 도시 사용자는 273.5만명 감소하여 24859.4만명; 농촌 사용자는 39.9만명이 증가하여 11685.5명으로 기록되었다. 고정전화의 보급율은 현재 27.8%로서 100명중 28명만이 고정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공중전화와 사무실전화사용자의 숫자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가정전화 사용자가 비록 매년 비중이 떨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고정전화 사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2007년 7300만명이 증가하여 2.1억에 달하였다. 인터넷 사용자수로 세계 2위의 기록을 달성하였다. 그에 반하여 보급율은 아직 16.0%에 불과하다. 모뎀사용자는 695.7만명이 감소하여 1949.0만명이며, 전용선 사용자는 1561.1만명이 증가하여 6646.4만명이다.

 
 

2) 지금까지의 중국 통신 시장 - 6대 강국의 출현
이번 중국 통신 시장의 침묵의 전쟁을 설명하기 위해서 간단하게 기존의 중국 6대 통신 기업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 우선 알아두어야 될 점이 해당 기업들은 반국영기업이라는 점이다. 통신사업은 국가의 중대산업이고 주요 기관을 장악하는 중국의 현실상 통신 업체를 자유롭게 놔둘 수가 없는 것이다.
 

차이나텔레콤(중국전신)은 한국으로 따지면 한국통신과 같은 존재이다. 국가의 기본 통신망인 고정전화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재 차이나 텔레콘은 고정전화 사용자 2.26억명과 인터넷 사용자 3817만명을 을 가지고 있다.


CNC(중국왕통)은 한국의 메가패스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고정전화 사용자 11878만명과, 인터넷 사용자 2868만명을 데리고 있다. 비록 전통의 강호 차이나 텔레콤보다는 약하지만 중국의 북쪽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CNC을 사용할 정도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호시 탐탐 남쪽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이동통신 사업의 발달과 함께 막강한 제국으로 떠오른 CHINA MOBLIE(중국 이동통신)은 현재 GSM방식으로 67614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교환기와 30.7만개의 GMS 기지을 가지고 2007년에는 다른 통신사의 수익을 가뿐히 뛰어넘는 11619억원의 연간매출액을 보이고 있다. 이동통신 사용자가 38660만명에 달하는 막강 제국이다.


CHINA UNICOM(중국리엔통)은 비록 중국이동통신에게 밀리지만 총 이동통신 사용자 16249만명으로 그 중 GSM 사용자가 12056.4만명이고 CDMA사용자가 4192.6만명을 가지고 있는 강자이다. 현재 1.12억명을 수용하는 GSM 교환기와 4893.8만명을 수용하는 CDMA 교환기를 운영중에 있다. 2007년에 957.5억원의 수익을 올리며 이동통신서비스 수입비례 22.5%을 달성하였다.


변방의 약소국가인 중국티에통은 2007년 166억원의 수익을 올렸고, 고정전화 사용자 259만명, 인터넷 사용자가 161만명이 증가하였다. 현재에는 인터넷 쪽으로 힘을 기울이고 있다.


CHINA SATCOM(중국위성통신)은 이름만으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위성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기업이다. 중국 유일의 위성운영기업으로서 中星6B(쭝씽6B)위성의 발사 성공으로 300개의 티비채널과 음악채널을 보유하게 되었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 지리적조건으로 고정전화의 설치가 힘들었던 지역에 위성전화를 개설할 방침이다.


3) 침묵의 전쟁중...

2007년 12월 9일, 중국 국가개발위원회 위원장 马凯(마카이)는 전국의 발전 및 개혁 방안 회의에서 2008년에는 통신사업체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 방안을 연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 뒤 12월 26일, 정보산업부 부장 王旭东(왕지우똥)은 2007년 전국 통신산업회의중에 통신사업체에 대한 친시장성 운영구조에 대한 방안을 곧 제출할 것이라고 발표한다.

이에 따라서 중국의 주식시장은 통신 산업체의 미래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한다. 2008년 1월 10일 新浪(신랑)은 침묵의 전쟁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보도한다. 중국에서 보도매체가 사실상 정부에 예속되어있는 현실을 생각하면, 이러한 보도는 중국 정부의 떠보기 전략으로 여겨진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

티에통을 이동으로 병합하고, 리엔통과 왕통을 합병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들리는 소식으로는 정보산업부의 고급간부회의에서는 이미 통과된 사실이라고 한다. 또다른 소식통에 의하면 리엔통과 왕통의 합병은 리엔통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하지만, 리엔통의 CDMA사업은 중국띠엔신으로 넘어간다고 한다.

이러한 방안은 기존의 6대 기업들을 3+1의 구조로 만드는 방안으로 중국이동, 리엔통, 중국띠엔신은 모두가 고정전화, 이동통신산업, 그리고 인터넷 산업을 모두 가지게 된다. 물론 각기 통신사들의 고급간부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도 예고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계획이 늦어도 올해 말 전에는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여러분들이 더욱 쉽게 알기 하기 위해서 로고를 이용해보겠다.  다음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대충 생각해보아도 새로운 3대 제국이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대충 중국 정부가 그리는 그림이 떠오르지 않는가?!

  

 
개인적으로는 이동통신과 티에통 연합에 한표를 던져주고 싶다. 2007년 중국 통신시장 성적표에 선명하게 드러나다싶이 현재 이동통신시장의 발달 속도는 하루에 천리를 간다는 천리마 같다. 그러한 이동통신계의 절대강자에게 무서울 것이 있을 수가 없다. 삼성 또한 베이징 올림픽에서 이동통신과 손을 잡았다.

리엔통과 왕통의 연합은 왠지 불안해 보인다. 막말을 하자면, 이인자는 어쩔 수 없는 이인자일 뿐이다. 비록 CNC가 인터넷쪽으로 발전하는 중이라고 하더라도 이인자끼리 모여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중국띠엔신은 몰락해가는 제국의 석양를 보는 것만 같다. 본인도 천천히 몰락해가고 있는 와중에 리엔통의 계륵인 CDMA까지 떠맡아버리고 말았다. WCDMA을 이용한 과거 제국의 반격을 기대해보아야 할 것이다. 삼성이 이미 이동통신과 손을 잡아버렸기에 그의 입장은 더욱더 위태로워 보인다. 호시탐탐 중국진출을 노리는 SK와의 연합을 주시해봐야할 것이다.



4) 진짜 전쟁은 이것이다! - 누가 미래를 잡을 것인가?!

문제는 중국위성통신이 골치거리로 남아버린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상식적으로 알다 싶이, 위성통신산업은 통신산업의 미래라고 불리운다. 디지탈 티비산업부터 시작하여서 이동통신 그리고 기존의 고정전화서비스까지 포함하는 모든 산업을 품을 수 있는 것이 이 위성산업이다.

 
그런데 소문으로도 중국위성통신에 대한 미래가 발표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만약 위에 언급된 어떤 기업이라도 중국위성통신을 잡게 된다면 미래의 절대제국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물론 중국 정부의 입장에서도 해당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생각된다. 최소한 이미 펑황(凤凰)이라는 미디어그룹을 산하에 두고 있는 이동에게는 결코 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위성통신만을 독립된 사업체로 놔두기에는 홀로 너무 외로운 것이 사실이다.

위성통신사업이 그 발전성을 인정하더라도 아직은 초기적인 단계에 불과하다. 설령 10년뒤에 티비, 통신, GPS등등의 다양한 산업으로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된다고 하더라도, 지금 당장은 어린 아기에 불과하다. 이 천재 아기를 누가 돌볼 것인가? 중국 정부의 결정을 기다려보자.


 
중국이동이 진시황이 되어서 천하를 통일하는듯 보였다.
하지만 중국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업체간에 금을 그어주고 있다.
앞으로 중국 통신 산업의 미래는 2007년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해당 글은 실제 티베트인을 만나고 장시간 대화를 나눈 뒤에 작성된 글이다. 하지만 누구와 이야기 했는지는 비밀로 하겠다. 본인 해당 티베트인에게 어떠한 피해도 돌아가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할 수 있는 말은 본인을 믿으시는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믿지 않으신다고 해도 할말 없다.

단지 해당 인물은 티베트인중에서 엘리트쪽이라는 것만 말해두고 가겠다.


예전에 티베트 독립 가능성 검토 에서 언급하였다 싶이, 본인은 티베트 독립주의자가 아니다. 본인은 그들이 무엇을 원한다면 그것을 지원해주겠다는 입장이다. 그들이 독립을 원하면 지원을 할 것이고, 그들이 독립을 원하지 않으면 독립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아무리 객관적으로 그들을 보려하여도 어디까지나 외부자일뿐이다. 그래서 이번 대화는 단지 티베트인 한명과의 대화였지만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다.

해당 티베트인이 모든 티베트인을 대표하지 못하겠지만 이런 의견이 있다는 식으로 들어주셨으면 한다. (사실 본인 인도부터 시작해서 운남 여행을 하면서까지 다양한 티베트인들을 이미 만나왔었다. 단지 이번에는 현실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대화를 나누었던 것이다.)
 

1) 달라이라마가 원하는 것은 독립이 아니다.
Free Tibet 프리티벳 운동이 한창이더라. 그런데 대체 누구를 위한 프리티벳인지 묻고 싶다. 달라이라마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티벳의 지도자이다. 그런데 달라이라마가 원했던 것이 프리티벳이었는가? 달라이 라마가 이번에 중국에 특사를 보내면서 요구했던 것이 독립이었는가? 아니다.

달라이라마가 원한 것은 고도의 자치이다. 그리고 프리티벳을 원하는 집단은 중국에서는 藏青会(쨩칭호이)라고 불리우는 "티베트 청년회"이다. 이 둘은 분명한 노선의 차이가 있다. 왜 그런 노선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는 먼저 티베트 청년회의 존재에 대해서 알아야 된다.

티베트 청년회의 주맴버는 기존의 라마교을 이용해서 지방에서 특권을 누리었던 사람들이 주축으로 되어있다. 독립을 하지 않고 자치를 하게 되면 이들은 돌아가도 자신의 원래의 권리를 누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대부분은 감숙지방에서 온 사람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로 인하여 그들의 주장은 지금의 티베트지역이 아닌 사천과 감숙 그리고 운남 일부를 포함하는 "대 티베트"지역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의 권력을 얼마나 되찾을 수 있는가에 있다. 이들에 대한 가치적판단은 하지 않도록 하겠다. 본문과는 상관없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달라이 라마가 생각하는 것은 기존의 권력을 되찾는 것이 아니다. 달라이 라마에게는 기존의 권력이 보다는 티베트의 종교적 자유를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달라이 라마가 중국측에 가장 원하는 것은 스스로 라사로 돌아가서 종교적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2) 티베트인들은 달라이 라마가 돌아오기를 바랄 뿐이다.

행복이란 무엇일까? 갑자기 뜬구름 잡는 소리같지만 살만큼 산다는 한국이나 일본의 행복지수가 바닥에 가깝고, 우리가 생각하기에 불쌍하게만 보이는 부탄(라마교가 성공적으로 발전되었다는 국가)의 행복지수는 너무나 높다. 그렇다면 티베트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달라이 라마가 돌아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같은 라마교인 부탄의 경우, 국민들은 왕의 궁전을 돌면서 그렇게 행복해 한다. 국왕부자는 이 나라에 "선거"을 도입하려고 했다. 자신들의 권력을 다양하게 분배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런데 부탄 국민들의 반응은 매우 회의적이었다. 그래서 무력을 동원해서 강제적으로 투표를 하게 했다. 그렇게 선출된 두 당수들도 국민들과 그리 다른 생각이 아니었다. 우리는 여기서 과거 봉건제도의 잔재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문제는 부탄 국민들은 지금 행.복.하.다.는. 것이다.

티베트 인들을 만나보신 분들은 모두 아시리라 생각한다. 그들의 주변에는 반드시 "포탈랍궁"이나 "달라이라마"의 사진이 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그냥 포탈랍궁에 있는 달라이라마를 보는 것이다. 그들에게 독립같은 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달라이 라마이다. 그것만으로 행복할 수 있다는 말은 좀처럼 와닿지 않지만, 이해할 수는 있을거 같다.

무엇보다 어차피 누가 통치를 하던간에 티베트인들에게 중요한 것은 현실이 아니다. 내세를 위해서 얼마나 덕을 쌓을 수 있는냐가 문제인 것이다. 독립이라던지 물질적인 풍요라던지는 세속적인 일들은 전통적인 티베트인들의 관념에서는 너무나 먼 이야기이다. 그냥 자신과 가족들이 먹을 음식과 누울 자리, 그리고 자식들을 키울 돈만 있으면 만족을 하는 사람들인 것이다.(주제와 조금 상관이 없지만, 개인적인 기분으로는 이런 그들의 삶이 조금은 부럽기도 하다.)


3) 현실적으로 티베트인들의 경제문제도 심각하다.

지금 현재의 시위의 발달은 여러가지로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인이 추측했던 것과 티베트친구가 생각했던 최대의 이유는 같았다. 바로 경제문제였다. 위에서 전통적인 티베트 사람들은 아주 기본적인 생계만 유지하면 만족한다고 했지만 그런 기본적인 생계조차 유지하기가 힘들어져 가는 것이다. 또한 외부에서 들어온 한족들이 돈을 버는 것을 보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게 되었고, 일정정도 중국의 사상을 받아들인 젊은이들에게는 이러한 "재산"이 점차 중요해지는 가운데, 정작 청년실업으로 일자리가 없는 것이다.

한마디로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농촌문제" "빈부격차" "청년실업"과 같은 많은 문제들이 티베트라는 한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세계 인류의 전통적인 고질병인 관리에 의한 "부폐"까지 합쳐졌다. 그로 인하여 일거리가 없어 불만에 찬 젊은이들이 달라이 라마에 대한 전통적인 감정이 합쳐져서 이번 티베트사태가 벌어진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런 문제는 중국 중앙정부가 나서서 티베트에 대한 정책적인 투자와 비리 척결에 나서야하겠지만...티베트친구의 말에 따르면 그러기에는 의지도 없고, 실제로 하기도 힘들 것이라고 한다.


4) 그리고 티베트인 민족의식이 강해졌다.
흔히 민족의 형성요인 중에서 외부적인 충격이라는 것이 있다. 기존에는 엉성하게 따로 떨어져서 살았던 사람들이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민족 혹은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고등학교 시절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어도 그러니 마니 하지만, 다른 학교와 문제가 발생하기라도 하면 당장에 "서울고!" 라면서 달려갔다는 이야기 같은 것이 이런 것이다. (꼰데스 데쓰까....음....--)

사실 티베트인들의 민족의식은 종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기존에는 라마교의 다양한 교파에 따라서, 우리가 티베트인이라고 불리우는 사람들 내부에서 상당한 분리된 상태로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오면서 더욱더 가속화되는듯 했다. 그런데 이변이 발생했다.

이번의 티베트 사건을 중국언론이 크게 다루기 시작하면서, 일반 한족들이 인터넷이나 기타 여러가지 방법으로 티베트인들을 욕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민족이나 국가적인 개념이 없이, 단지 라마교를 믿고 있던 일반적인 티베트인들은 실망감을 느끼면서 급속도로 서로 뭉치게 된 것이다.

한 티베트인에게 한족 친구가 있었다고 한다. 둘 다 더욱 건전한 애국주의를 지향하고 정부의 문제등에 대해서 터놓은 대화를 했다. 그리고 이번 일이 발생하고서 티베트인이 한족친구에게 전화를 해서 해당 일을 이야기 하려고 하자. "그건 다 니네 티베트인들이 잘못한거야. 그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지 않아." 라고 말하며 전화를 끊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티베트인은 친구를 잃은 슬픔과 한족에 대한 원망과 분노가 생겨났다고 한다.


5) 앞으로는...
비록 민족의식이 강해졌지만, 본인이 만나보았던 대부분의 티베트인들은 그들의 삶에 만족하고 있다. 그들에게 중요한것은 아직도 달라이라마이다. 독립은 아직 그들의 머리속에서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본인의 판단으로는 그러하다.

그렇다면 외국인들은 어떻게 해야될까? 한국인들을 어떻게 해야될까?

본인이 생각할 때 프리티벳 운동도 충분히 괜찮을 것 같다. 그것은 중국정부에게 충분한 압박기제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운동을 하시는 분들도 지금 현재 티베트인들의 상황과 생각에 대해서 한번 쯤 생각해보았으면 한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티베트인들이 원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달라이라마와 소박한 식사라는 것을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것으로 그들은 충분히 행복하다.



주절되는 티베트 잡사와 현실
89년 우리에게는 천안문사건으로 잘 알려진 북경 대학생들의 민주화시위가 한창이었을때, 티베트에서는 대규모의 달라이 라마를 그리는 모임이 있었다. 이것이 점차 커져가자 당시 티베트지역의 총괄하던 "어떤 사람"은 중앙정부에 보고도 하지 않고 자의적으로 군대를 동원해서 발포를 한다. 학살을 자행한 것이다.

중앙정부의 입장에서는 현재 천안문사건으로 복잡한데 이런일이 터지니, 문제가 되면 해당 인물을 처리하면 되고, 문제가 되지 않으면 냅둔다라는 방침으로 갔다. 결국 천안문사태로 급박하게 돌아가는 와중에 외신이라고 해당 사건에 크게 귀 기울이지 않았고, 해당 인물은 손에 총을 들고 인민일보에 실리며 중앙으로부터 인정을 받는데.......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이 사람이 지금의 중국최고통수권자인 "후진타오"이다. 그의 출세는 티베트에서의 학살이 큰 역할을 하였다. 그렇기에 본인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달라이라마 특사와 중국정부간의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으리라 장담한다. 단지 올림픽까지의 시간끌기에 불과한 것이다.


이 글을 작성하기까지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다른 것이 아닌 어떻게 하면 "한국"을 이쁘게 포장하고 보호해 줄 수 있을까로 고민했습니다. 그만큼 (막말로) 쪽팔리는 일입니다. 보다마나 터져나올 말들을 대비해서 한마디만 하면, 이 일을 가지고 중국에 있는 한국유학생이 모두가 이렇다고 생각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5월 19일은 한국에서는 성인의 날이었습니다. 현재 한국의 성인식의 분위기는 "술 먹고 죽기"로 요약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대해서 여러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는 5월 19일은 중국에서 지정한 사천지진 전국민 애도일이었다는 것입니다. 중국 전체에서는 이 기간동안 오락행위를 금지했고, 오락행위중에서 당연히 술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런 과도한 정부의 관여가 좋고 나쁘고를 논하지 않겠습니다.

단지 성인의 날과 사천지진애도가 충돌을 했습니다.



1) 묵념하는 옆을 웃고 떠들고 지나는 한국 유학생.
현재 저는 중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제가 다니는 학교의 BBS는 한국인을 성토하는 내용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한국에서 있었던 중국인의 한국인 폭행사건이 와전되어도, 그 외에 다른 일이 있어도 이렇게까지는 아니었습니다. 나름 중국에서 엘리트라는 녀석들이 있는 학교입니다. 그런데 왜??

19일 오후 2시 28분부터 3분간 전국민의 사천지진피해자를 위한 묵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희 학교의 상징적인 장소에서 중국 학생들이 모여서 묵념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옆에서 큰 소리로 웃으면서 지나가는 한국 학생들이 해당 사건의 시발점이 됩니다.

한국인이 왜 중국인의 애도 묵념에 참가해야하냐고요? 참가 안해도 됩니다. 하지만 조용히 묵념하는 곳을 큰 소리로 떠들고 웃으며 지나가는 것은 대체 어디의 예의일까요?

몰랐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두명도 아니고 몇 백명이 단체로 모여서 조용히 묵념하는 모습에서 아무것도 못 느낄 정도입니까? 그 정도로 눈치가 없는 것입니까?

그런 사람은 소수이라고요? 네 소수 맞습니다. 그리고 중국시위대중에서 정작 한국인을 때린 사람은 소수입니다. 사실 이번 일로 유학생 성금 모금으로 좋은 이미지를 가져가나 했던 와중에 이런 사건이 터지는군요. 그 소수분. 감사합니다. (유학생 성금 모금에 대한 사항은 조만간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사건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2) 우다코우에서의 난장판.
우다코우는 중국 베이징에 있는 두 한국인 집단 거주지중에 한군데 입니다. 다른 한쪽인 왕징이 주재원들이 주로 머무는 것에 반하여, 주위에 대학교가 밀집된 우다코우는 학생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인식날에 열심히 죽도록 술을 마시고 거리에서 떠들다가, 그것에 대해서 무엇이라고 하는 중국인과 패싸움이 날뻔 하다가, 공안이 출동하자 "날랐다고"합니다.

성인식인데 즐기지 못하냐고요? 즐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술집에서 혹은 기숙사에서 조용히 즐길 수도 있는 것 아닙니까? 제가 아는 동생중에서도 이번 성인식을 치루는 사람이 좀 있었습니다. 그들도 상당히 많은 술을 먹었지만 술집 안에서 떠들고 놀았습니다.

왜 술집 안에서 조용히 먹어야되나고요? 왜냐하면 우리는 지금 한국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중국이라는 타국에 와 있습니다. 여러분의 행동 하나하나가 한국을 대표하는 외국땅에 와 있습니다. 당연히 스스로 행동을 조심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이 상황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상가집 옆에서 북치고 장구치면서 노는 짓"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의라는 것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제발 인간 대 인간으로 기본적으로 지켜야 될 예의를 지켜주셨으면 합니다.



한마디만.....
이 글을 올리면 몇몇 사람들은 저에게 왜 스스로의 얼굴에 침을 뱉는 내용을 올리냐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전 숨기면 해결될 문제도 해결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입니다. 잘못을 스스로 인정할 때에야 비로서 발전이 있다고 믿습니다.



추가 :

일단 많은 의견을 주신것에 대해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제 공부로 시간이 많이 않아서 죄송하게도 하나하나 답글은 달아드릴 수 없지만, 여러분이 달아주신 하나하나의 덧글을 다 보았습니다. 많은 생각이 머리 속에서 움직이는군요.


이 글에 반대하시는 분의 대부분의 논지는 "중국도 그랬는데, 우리가 그러는게 어때서?" 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더욱이 그런 글을 달아주신 분들의 대부분은 "위대한 대한민국"을 말씀하시더군요. 그 분들의 입장에 서도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 생각입니다. 정말 강력한 한국을 꿈꾸신다면 누구보다 더 스스로에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상대에게는 관용을 배푸는 "대국"의 풍모를 보여야 되는 것이 아닌가 싶군요. 단지 상대방을 억누르는 것이 대국이고, 조금만 상대에게 잘해주면 소국이며 패배주의라는 발상은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

지나가던행인 님이 남기신 백범 김구 선생님의 글을 보고 진정한 민족주의가 무엇인지, 애국주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었으니 그것은 공상이라고 하지 말라. 일찍이 아무도 한 자가 없기에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 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 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나는 우리 나라의 청년 남녀가 모두 과거의 조그맣고 좁다란 생각을 버리고, 우리 민족의 큰 사명에 눈을 떠서, 제 마음을 닦고 제 힘을 기르기로 낙을 삼기를 바란다. 젊은 사람들이 모두 이 정신을 가지고 이 방향으로 힘을 쓸진댄 삼십 년이 못하여 우리 민족은 괄목상대하게 될 것을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 백범일지 중...

 

제가 이 블로그을 운영하는 첫번째 이유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생각을 담은 소박한 일기장입니다. 그래서 블로그의 제목도 "중얼중얼"이라고 정한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의 목적이 있다면, 제가 경험하고 제가 느끼는 것을 전달시켜드리고 싶다는 소망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전달하고 싶은 것은 한국의 위대함이 아닌 한국의 문제점입니다. 위대함은 저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말씀하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어떠한 것도 사람이 만든 이상 문제가 있을 수 밖에 없고, 한국에도많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러한 문제점을 알리고 사람들에게 생각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점을 고치면 보다 좋은 나라가 될 것이라는 생각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글의 내용이 한국의 문제점을 밝히는 내용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이런 글을 보시고 한번쯤 한국과 자신을 되돌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国际铁公鸡”排行榜
> NO1:三星 (삼성)
> NO2:诺基亚 (노키아)
> NO3:大金 (일본기업인데 한국이름 모름)
> NO4:LV
> NO5:可口可乐 (코카콜라)
> NO6:麦当劳 (맥도날드)
> NO7:肯德基 (KFC)
通报这些公司让大家记住.不是不让大家去消费. 而是要铭记心中:这是没有良心的企业!在中国发大财而又不捐款的"国际铁公鸡发给更多的群 给他们压力 用我们的力量去感化他帮个忙好吗?把这个发给其他人。“四川发生大地震 大家有钱出钱 有力出力!为同胞们出点力”把这完整地发给30个以上的网友。不在线的也算。


위의 문장은 현재 중국의 인터넷에서 퍼져나가고 있는 불매운동리플이다. 대충의 내용은 삼성, 노키아와 같은 외국기업들은 중국에서 큰 돈을 벌어놓고서는 이번 사천대지진의 성금을 모금하지 않았다면서 불매운동을 하자는 내용이다.

위의 내용에는 없지만, 또 다른 문장에서는 중국기업들은 모두가 거액을 모금하는데, 외국기업들은 기부하지 않는다면서 국산을 애용한자는 소리로 연결한다. 해당 내용에는 부과적으로 타이완도 우리의 동포라면서 타이완 기업이 기부한 금액을 이야기 한다.


이야기를 하기 전에 본인도 모금했다. 본인의 경제사정을 생각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돈이다. 그것도 지진이 일어나고 바로 다음날에 직접 적십자에 "익명"으로 보냈다. 그런데 그 뒤에 몇 번이나!!! 중국친구들, 북경대학교 모금 프로젝트, 역사과 모금 프로젝트 하다못해서 유학생 모금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층에서 모금하라는 압력이 들어온다. 개인적으로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모금 혹은 성금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하는 행동이다. 하지만 지금 현재 중국에서는 각계각층에서 모금을 강요하는 분위기에 있다. 그리고 서로가 얼마를 모금했다고 경쟁하는 분위기이다. 바이두라는 중국 최대의 검색싸이트에서는 "기업의 재해성금 액수순위"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재해복구 비용을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인간은 어디까지나 이기적인 동물이다. 지금 현재의 이런 미친듯한 모금활동은 "같은 중국" "같은 민족"이라는 사상의 기반하에서 이기성을 이타성으로 바꾸어 놓고 있다. 좋다. 여기까지는 민족주의의 이상적인 면으로 보인다. 하지만 맨 처음에 소개 시켜드렸다 싶이, 이런 민족주의 운동은 쉽게 "타자"에 대한 배척으로 나타난다. 쉽게 말해서 외국기업에 대한 배척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지난번의 까르푸의 경우와는 다르게 지금 현재 중국에서도 "과도함"을 지적하는 유명 블로거들의 글들이 많이 올라오는 관계로 일정 이상 과열되지는 않을듯 하지만, 1위로 뽑힌 삼성은 어느정도의 타격을 받을 듯 하다. 사람들은 1등만을 기억할 뿐이니 말이다. 왠만하면 후딱 "거액"의 성금을 지불하는 편이 좋을듯 하다.


추가 : 일단 삼성이 모금에 참가한 내용을 제대로 찾아 보지 않은 점 사과드립니다.
변명같지 않은 변명을 하자면, 해당 글은 14일에 작성되었습니다. 위의 리플과 그 외에 비슷한 내용의 리플을 보고 이 사실을 알려야 되나 말아야되나 고민을 하다가 조금 있으면 괜찮아지겠지라는 생각으로 놔두었습니다. 그런데 어제까지도 계속 해당 리플이 보이고 친구들이 관련 휴대폰 문자를 받았다고 이야기 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15일에 삼성이 성금에 참여했다는 점을 제대로 알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마지막 확인을 위의 본문에 있는 바이두 성금 순위표만을 참고해서 생긴 문제입니다. 하지만 삼성이 조금 더 빠른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해당 리플이 지금까지 떠돌아다닐 정도는 아니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재 중국 네티즌들에게 아직도 이렇게 퍼지는 것은, 특히 (네티즌들의 기준점이 되는) 바이두의 순위표에 이름이 없습니다. SK가 이미 있는 것에 비하여 삼성이 없다는 것은 마케팅쪽의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본문은 불매운동 자체가 주제가 아님을 직접적으로 말해야하는군요. 제 글솜씨가 미숙해서 글의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듯 합니다.




추가로 13억 중국 감동시킨 日구조대 라는 글을 올린 기자님에게 바친다.


기자님은 이 사진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급속도로 퍼지면서 13억을 감동시켰다고 했다. 해당 사진이 어떻게 유포가 되었는지 알 사람은 다들 아시리라 생각한다. 시나왕을 비롯한 대형 포털에서 메인으로 올려져 있었다. 이는 중국정부에 의해 계획적으로 일본 우호 정서를 퍼트리려는 것이다. 중국의 보도통제와 사진의 유포과정을 조금만 생각해보면 나오는 상황판단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기자라면 이러한 중국정부의 일본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를 만드려는 모습에서, 현재 동북아의 정세변화를 생각하고 논평을 할 수 있어야 된다고 본다. 최소한 본인이 생각하는 기자의 모습은 그러하다.


5 월 16일, 중국의 포털중에서 막강한 힘을 자랑하는 시나왕(sina)에서 정식으로 영문 싸이트를 개설하였습니다. 이로서 중국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었지만, 중국어를 모르시는 한국분들에게도 쉽게 중국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통로가 생겼습니다.

http://english.sina.com/



바로의 부언설명 :

시 나왕의 뉴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중국정부의 통제를 받습니다. 나쁜말로 하면 뉴스통제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 아는 상태에서는 반대로 중국 정부의 속내를 알아 볼 수 있는 중요한 통로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시나왕의 메인에 뜨는 기사는 기본적으로 중국 정부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고, 집중해주었으면 하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기사를 띄우는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재미있는 결과가 나오고는 합니다.

天安门广场下半旗哀悼汶川地震遇难同胞(图)

중국 국무원이 19일부터 21일까지 국가적인 애도기간으로 선포하였다. 그리고 5월 19일 14시 28분에는 전국적으로 3분간 묵념을 하며 이때에는 방공경보가 울리게 되고 , 무엇보다 자동차, 기차, 선박등이 동시에 클락션을 울리게 된다. 그리고 공공장소에서의 오락활동이 금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영화연극의 상영이 되지 않으며, 인터넷에서 오락관련싸이트의 접속을 하지 못한다. 한국으로 따지면 루리웹같은 싸이트는 접속이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위의 사진에 보이는대로 국기를 조기로 계양 하게 된다. 조기는 1612년 영국에서 선장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서 처음으로 사용된 이후에 지금은 세계적인 애도방법중에 하나가 되었다. 중국의 경우 1990년에 관련 법안을 만들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상무위원장, 국무원총리, 중앙군사위원회주석과 같은 높은 직위의 인물이나 중화인민공화국에 커다란 공헌을 한 사람 그리고 세계 평화나 인류의 발전에 위대한 공헌을 한사람이 사망한 경우 행한다. 단지 특별한 사건으로 인한 대량 사망이나, 거대한 자연재해로 인한 대량 사망시에도 조기를 계양 할 수 있다고 한다.

그 외에 A4 님의 검게 물든 중국 사이트을 보아도 알수 있다 싶이 현재 중국 대부분의 웹싸이트 들은 검게 물들어 있다. 중국 내부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몇몇 블로거들은 애도를 하는 것은 좋으나, 서로 경쟁적으로 성금을 모으고, 이러한 성금의 액수를 비교하면서 누가 더 애국적인지 따지는 인터넷상의 분위기에 대해서 비판을 가하고 있다. 본인도 애도를 표시하는 것은 좋으나, 이것은 해도해도 너무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 글을 쓴 목적은 이런 정보를 주려는 것만이 아니다.


이 기간에 한국사람들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조문객 방명록 "을 작성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은 각국의 대사관과 영사관에서 조문객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주 한국 대사관에서도 조문객 방명록을 작성중이다. 이번 사천지진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애도하며 조문록을 작성해 보는 것은 어떨까?

주한국 중국대사관   
조문시간: 5월19일 ------5월21일 10:00 -------17:00

http://www.chinaemb.or.kr/kor/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 2가 50-7번지
지하철 4호선 명동역 3번 출구 남산 방향으로 400M 지점
(남산 케이블카 매표소 부근)

왜 이렇게 해야되는지 묻는다면, 개인적으로는 같은 "인류"의 대량 사망이기 때문이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현실주의자로서는 현재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중정서와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한정서가 강해질 수록 양국 모두에 피해가 있을 수 밖에 없고, 특히 요즘처럼 동북아 외교의 왕따로 전락한 한국에게는 다른 나라의 일정한 우호여론이 필요하다. 아님 한국 혼자 말라죽을까? 광우병에 대한 운동, 본인도 지지한다. 하지만 이명박대통령이 당선되고 지금까지 벌여온 외교적인 난장판을 한번 살펴보셨으면 한다.


논란이 될거 같지만 한마디 하고 싶다.
한국인들이여! 제발 넓은 마음을 가집시다!
비판할건 비판하고 애도할 건 애도하지 않겠습니까?



中国13亿人,每人去韩国吐口口水也能淹掉韩国棒子呲牙呲牙

일부러 해석하지 않으려 한다. 해석할려면 단어 설명 몇개는 달아야될듯 하고 말이다. 지금 현재 중국의 인터넷에 달리고 있는 반한정서의 악플중에서 참 "재미"있는 리플이어서 소개해본다. 저런 창의력을 다른 곳에 쓰면 오죽 좋을까나...


본인 어쩌다보니 대충 중국어 하고, 대충 일본어 하고, 대충 영어도 찌질거린다. 그런데 세계의 어떤 인터넷망을 가도 똑같은 사람들을 발견하게 된다. 다름이 아닌 악플러들. 그들은 너무나 막강해 보인다.

한국의 DC
일본의 2CH
중국의 天涯(티엔야)

이들의 공통점은 각 나라에서 상당한 파괴력을 지닌 인터넷 싸이트라는 점이고, 동시에 상당한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DC와 2CH의 전쟁은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중국의 티엔야까지 합쳐져서 3파전을 이루게 될듯 하다. 그리고 다양한 번역기의 발달과 외국어를 적당히 아는 열혈 악플러들로 인하여 국제적으로 동시간에 싸우고 있다. 잘하는 짓들이다.


악플러여. 내가 이런말 한다고 제대로 듣지도 않을듯 하지만, 니들의 한마디 한마디가 이제는 다른 나라에도 퍼지고, 그러한 한마디가 니네가 그렇게 사랑하는 한국을 욕먹이는 길이 될 것이다. 작작해라.

일반적인 분들은 조심스럽게 생각해보시길 바란다. 비록 인터넷의 시대라고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 인터넷에 쉽게 리플을 달지 않는다. 소위 "눈팅"을 하는 사람이 훨씬 많다. 그런 의미에서 대부분의 리플은 극단적인 분들이 더 많다는 점을 생각하고, 신문도 조심스럽게 읽는 것처럼 리플도 조심스럽게 읽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인도 막말 좀 해보고 싶다.
민족주의로 서로서로 싸우겠다고 하는 각 나라의 악플러들아.
진짜 싸우면 먼 아름다운 풍경이 나올거라고 생각하니?
정말 서로서로 피튀기게 싸워볼까? 그럼 만족할래?
다 같이 서로의 머리에 총을 쏴볼까?


해당 내용은 어디까지나 중국의 "유.언.비.어."일 뿐입니다. 이런 사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런 유언비어를 알려드리는 것은 중국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코드로 받아들였으면 하는 것입니다.  중국사람들이 이런 유언비어를 진심으로 믿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중 국에서는 8이라는 숫자가 어마어마하게 사랑을 받습니다. 8의 중국어 발음은 "ba 빠"입니다. 이것은 "돈을 벌다"의 “发财 fa cai 파차이”의 fa와 발음이 비슷하기에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자동차 번호판의 8888은 한국돈 1000만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가 되며, 휴대폰의 끝자리가 8888인 것도 보통 한국돈 100만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됩니다. 무엇보다 베이징 올림픽이 8월 8일 저녁 8시에 시작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중국인들의 8에 대한 사랑을 절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8"을 주의하라는 유언비어가 퍼지고 있습니다. "8"이 왜 갑자기 중국인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을까요? 이유를 들어보면 참~ 재미있습니다. 그 전에 2008년초부터 발생한 중국내부의 문제들을 생각해봅시다. 폭설, 수족구병, 티베트, 철도 그리고 이번의 지진. 그런데 이런 일들이 언제 발생한지 아십니까?

1월 25일 폭설
3월 14일 티베트
4월 28일 철도
5월 12일 지진

눈치가 빠르신 분들을 알아차리셨을 것입니다. 철도를 제외하고 월일의 숫자를 합치면 "8"이 됩니다. 폭설이 있었던 1월 25일은 1+2+5=8 이 됩니다. 티베트는 3+1+4=8이 됩니다. 어? 그런데 철도사건은 4+2+8=14 라고요? 그건 마지막자리가 8이라서 그렇답니다.

그런 이유로 오늘이 5월 15일이니, 앞으로 5월 21일, 5월 30일, 6월 2일, 6월 11일, 6월 20일, 7월 1일, 7월 10일에는 조심 또 조심해야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베이징 올림픽이 개최되는 8월 8일에 최악의 사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어엉? 8월 8일은 합치면 16인데 먼 상관이라고요? 이것만은 다른 해석을 적용합니다. "8"이 두개가 있으면 2제곱이라고 합니다.


유언비어는 어디까지나 유언비어입니다. 과학적 근거가 없다면 믿지 말아야 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유언비어의 유포에서 중국인을 이해하는 하나의 단편을 보게 됩니다. 간단하게만 정리하면  "숫자"의 힘을 강력하게 믿고 있으며, 사회주의가 없애버렸다고 생각하는 미신적인 요소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으며, 무엇보다 은근히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반감이 있는듯 합니다. 더욱 자세한 분석은 각자 생각해보는 것이 재미있을듯 합니다.



通过短信捐款:中国移动、中国联通手机用户以及中国电信、中国网通小灵通用户均可编辑短信1或2,发送至1069999301,即向“红十字救援行动”捐款1元钱或2元钱。

문자로 성금을 모금합니다. 어떤 핸드폰 사용자든지 1069999301로 1 혹은 2라는 숫자를 보내지면, 자동적으로 "적십자 구호활동"에 1원이나 2원을 기부하게 됩니다.

관련 링크 : 中国红十字总会联合搜狐公布救灾专用帐号热线

이 모금 활동은 생각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인은 여기서 몇가지 점을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이 글을 쓰기 전에 다시 한 번 경고하지만, 자신이 인간임을 포기하고 "잘됐다" "훈훈하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인간 취급하지 않을 것이다.

1) 1원짜리 팬티를 한명씩에게 팔아도 12억이다.
위의 말은 심각한 문제가 있는 말이다. 하지만 이 말을 잘 뜯어 보면 중국의 미칠듯한 인구를 알 수 있다. 현재 휴대폰을 사용하는 인구는 54728.6만명이다.이 중에서 30%만 운동에 (1원씩) 참여했다고 가정했을때, 16419만원이 생긴다. 1억 6천 인민폐는 한국돈으로 계산하면 약 256억이 된다. 쩝...

2) 중국의 결제수단의 향상
과거에도 휴대폰을 이용한 이러한 소액 결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의 전국적인 모금 운동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은 소액 결제 경험하게 되었을 것이다. 중국의 인터넷 산업에서 가장 큰 문제가 어떻게 결제를 시킬 것이냐라는 문제인데, 휴대폰 결제가 (기존에도 강력했지만) 더욱 강력하게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3) 티베트...
이번에 중국 짱깨넘들 잘 죽었다라고 말하는 쓰레기들이 많은데,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지진이 발생한 사천지방에는 티베트족도 많이 있는 지역이다. 특히 지진의 진앙지인 원조우현은 중국의 소수민족중에 하나인 강족(羌族) 이 몰려사는 지역이다. 그리고 티베트 족도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다. 반중국이더라도 티베트 독립을 지원하는 분들은 최소한 이 사태가 "잘됐다" "훈훈하다"라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四川汶川发生大地震各地网友称均有震感



4) 반중을 해도 이성적인 반중을 하기를 바란다.
반중? 좋다. 중국 정부 비판?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런데 "짱깨" 다 죽어라고 하는것은 미친소리이다. 이해할 분들은 다 이해하리라 생각한다. 우리 "상식"적으로 생각하자. 예전에 쓰나미로 동남아시아에 대규모 피해가 있자, 어느 목사가 이야기 했다. "죽어도 싸다고". 보통의 악플러들은 "개독"이라면서 기독교를 욕하는데, 지금의 모습에서는 악플러들이 말하는 "개독"이나 "악플러"들이나 똑같다.

감정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图文:四川南充医院将新生儿转移到空旷地带避险

위 사진을 보고 "죽어도 싸다" "훈훈하다" 말해보아라.




북경A4 님의 사천성 구조작업 모금 벌써 424억 원 넘다.을 보시면 기업 차원에서의 성금을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 기업은 기본적으로 사회환원보다는 홍보와 정부의 압박이 더 있을 것이라는 기업에 대한 삐뚜러진 생각이 있기에 본인은 위에서 말한 휴대폰을 이용한 민간의 모금을 주의깊게 볼 생각이다. 물론 기업이 사회에 마땅히 해야될 일이라면서 쾌척한 기업이 대다수 일 것이라고 믿고 싶다.^^::

어제 쓰추안(사천)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해서는 여러분도 잘 아시리라 생각한다. 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검색을 이용해주시고, 여기서는 정말로 일상적인 반응들을 소개시켜 드리려 한다. 그리고 이번 지진으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를 빌며, 행방불명자들이 살아 돌아오기를 기원한다.

 
시작하기 전에 본인은 베이징에 거주중이다.

오후 2시쯤. 둔한 본인은 아무것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조금씩 시간이 지나자 문자들이 왔다. "너 떨림 못 느꼈어?" 으응?? 떨림? 하지만 보도매체는 조용하기만 했다. 하다못해서 저녁 뉴스에조차 어떤 일인지 알려주지 않았다. 단지 원쟈바오 총리가 쓰추안으로 날라간다는 소리밖에...그리고 저녁 9시가 되자 대대적으로 이 사태를 알리기 시작한다.


문제는 오후 2시부터 저녁 9시까지의 공백의 7시간!
베이징에서는 유언비어가 나돌기 시작
한다.

“5月12日晚22时至24时北京局部地区还要发生2至6级地震”
"5월 12일 저녁 22시부터 24시까지 베이징의 몇몇 지역에서는 2에서 6급의 지진이 또 발생한다."

그리고 이 유언비어는 사실상 거의 모든 베이징 시민이 듣게 되었고 대부분이 이 사실을 믿고 베이징을 벗어날려는 사람과 공황에 빠진 사람들이 있었다. 상식적으로 지금의 현대 과학 기술로 저정도의 정확한 지진발생시간까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정부에서 공개적으로 강력하게 사실이 아님을 밝힌 뒤에도 많은 사람들이 불안에 떨었다. 왜냐하면 베이징은 지진에 대한 아픔이 있기 때문이다. 

1976년 베이징에서는 진도 7.8의 강진으로 24만명이 사망되었다고 추정된다.(중국 정부 발표는 3명, 당시 중국 정부는 대외 지원을 받지 않아서 정확한 수치를 알기 어려움. 하지만 3명은 완벽한 거짓말)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지진에 대한 고통을 가지고 있는 베이징 시민들은 이 일에 대해서 놀란 가슴을 진정 시킬 수가 없었다. 중국 친구가 뼈 있는 유머로 해주는 것이, 흔들림이 느껴지자 다들 허겁지겁 뛰어내려가서 집에 들어가지도 않고 밖에서 두런 두런 공포에 떨면서 모여 앉아 있었다고 한다.

 
사천의 지진으로 지금까지 9219명이 사망했고, 6만명이 행방불명이 되었다고 보도가 나오는 판에 이런 말을 하면 안되겠지만, 베이징에서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중국 정부는 발표했지만, 2007년에 7월과 2008년 3월에 위구르에서 강진이 있었고, 5월에는 쓰추안에서 강진이 있었다. 그렇다면 역시 지반이 강하다고 할 수는 없는 베이징도 불안해진다. 솔직히 본인은 살짝 불안하다.

그나저나...이거 과거 시대였으면 왕이 하늘의 죄를 빌던가, 아니면 책임을 물어서 자리에서 쫒겨날 일들이 계속 발생하는구나. 거..참....베이징 올림픽이라는 경사를 앞둔 중국의 액떔이려나?




잡설 :

1) 룸메이트의 쓰추안친구녀석이 저녁 9시쯤 전화가 왔다. 사천대학교 학생인데, 지금 붕괴위험때문에 비가 주륵주륵 내리고 있는데 건물 밖에서 자야된다고 한다. 그래도 죽지 않은게 다행이려나...

2) 한 초등학교는 수업중에 건물이 폭삭 내려 앉자서, 안에 있던 수 많은 아이들이 죽었다고 한다. /애도

3) 룸메이트 녀석이 해준 말인데, 유언비어를 듣고 같은 반 일본여자애는 일본에 전화를 하면서 엉엉 울었다고 한다. 으음;;

4) http://news.sina.com.cn/z/08earthquake/index.shtml (시나왕의 스추안지진 특집)

5) 이 글을 쓰는 현재까지 한국대통령의 위로성명이나 지원성명이 없다. 장난하냐? -_- (본인이 모르는 것이길 바란다.) 오늘 오후 이명박 대통령의 위로 성명이 있었다고 한다. 더 빨리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것을 가지고 왜 그래야 하냐고 하는데, 이기적으로 생각하면, 이런 일에 도와주면서 상대국가 국민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재고할 수 있으며, 외교에서의 기본적인 상식이다. 위로 성명한다고 돈 들지 않는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면 상대방도 똑같은 인류이다. 인류의 고통을 모른척 하고 싶은가? 그러고 싶은 분들이 많은듯 하다.



이 글 만은 악플을 삭제할 것입니다. 같은 인간으로서 슬퍼해야 할 사건에 슬퍼하지 않는 자는 인간으로 보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중국인들은 지금 돌아버리는 기분일 것이다. 베이징 올림픽이라는 큰 행사를 앞두고 온갖 일들이 다 생겨나고 있으니 말이다. 가장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


물가상승-폭설-티벳-기차사고-수족구병-지진


이쯤 되면 나올 수 있는 것은 다 나왔다고 생각될 정도이다. 이제 다리나 건물정도 무너진다고 별 문제도 없어보일 정도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방점을 찍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으니!

위구르인들에 의한 폭탄테러이다. 솔직히 그 동안 위구르인들이 조용한게 더 신기하다. 그리고 만약 폭탄테러까지 발생한다면 베이징 올림픽은 망했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자연재해을 빼면, 그 동안의 중국 속에 잠재된 문제들이 터져 나왔다고 판단한다. 물가상승은 예고된 것이었고, 티베트 문제도 어차피 예상했던 일들이다. 기차 사고도 보고 내용을 보면 한국에서도 자주 말해지는 안전불감증이 만들어낸 사고였고, 수족구병도 처음의 예방단계에서 제대로 막지 못한 행정시스템의 문제일 것이다.
 

이 모든 문제가 액땜일 뿐일지, 아니면 더 큰 사건을 예고하는 조그마한 일일지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 문제들 중의 "무고한" 사상자들에게는 애도의 뜻을 표한다.




중국 정부는 그 동안 생필품 물가를 확실히 잡을 것이라고 몇번이나 말해왔다. 하지만 이번 중국통계청의 12일 보고에 따르면 4월의 중국의 물가는 예년에 비하여 무려 8.5%나 올라갔다. 더욱이 중국 정부의 나쁜 통계는 숫자를 줄인다라는 의혹을 언제나 가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이건 너무 심하다. 일단 이 수치를 믿고 구체적인 수치를 보도록 하자.

이번 물가 상승에서 도시는 8.1%, 농촌은 9.3%가 올랐다.(농촌문제로 신음하는 중국에게 이 숫자는...) 구체적인 품목으로는 식품부분에서 22.1%가 오르고 비식품부분에서 1.8%가 올랐다. (일단 먹을 것은 어떻게든 올리면 안되는 것인데, 오히려 무지막지 올라갔다) 소비품가격을 10.6%가 올랐고, 서비스산업 가격은 11.7%가 올랐다. 이것은 3월대비 물가가 0.1%올랐고, 식품가격은 오히려 0.1%가 떨어졌고, 채소가격은 9.2%, 계란가격은 0.5%가 떨어진 것이라고 한다.(못믿겠다.)

특히 이번 상승에서 가장 압권이었던 부분은 식품류의 상승일 것이다. 그 중에서 육금류 가격은 무려 47.9%가 상승하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육금류중에서 돼지 고기 가격은 무려! 68.3%가 올랐다. (장난해!!!) 채소가격은 13.6%가 올랐고, 양식가격은 7.4%가 올랐다. 유지류는 46.6%가 올랐고, 수산물가격은 16.1% , 과일가격은 12.1%, 계란 가격은 3.6%, 조미료 가격은 5.1%가 올랐다.

그 외에 특별하게 오른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 문제일 것이다. 나라의 안정을 책임지는 것은 식품가격이다. 막말로 복지 안해주고, 교통도 엉망이어도 밥만 먹여주면 폭동이 일어나기 힘들다. 하지만 이건 해도 해도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배고픈 유학생의 입장에서 앞으로 학생식당 가격도 또 오르거나, 고기 찾으려고 풀들을 뒤져야 되겠구나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추가 :
앞으로 재미있게 지켜볼수 있을듯 하다. 기존의 중국의 내부문제중에서 큰 문제인 농촌문제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되는 식량문제와 물가 문제까지 중국의 발목을 잡고 있다. 중국 정부는 어떻게 이 문제를 돌파해 나갈 수 있을까? 결국 양극화 현상은 "자본주의의 어쩔 수 없는 결과"일까? 끙...


출처 : http://finance.sina.com.cn/china/hgjj/20080512/10074857162.shtml


추가 : 중국사람들의 리플중에서...

我觉得统计的不对,我们这里的猪肉是13元一斤,去年是六元一斤.
내가 볼때에는 통계가 틀렸다. 여기의 돼지고기값은 작년에는 6원에 한근이었는데 지금은 13원에 한근이다.

为什么物价一直在涨,而工资一点都不涨,这样正常吗??
왜 물가는 계속 오르고, 월급은 하나도 오르지 않았다. 이게 정상이냐??

学校食堂的饭菜也涨价了,吃不起饭了。。
학교 식당의 음식 가격도 올랐다. 돈이 없어 밥을 먹을 수가 없다...
(우아아아앙!! 절실히 동감해.ㅠㅠ)


2007년은 중국에서는 개인 블로거의 폭팔기였다. 너도 나도 블로그를 개설하기 시작했으며, 시나, 소후, 왕이와 같은 기존의 무료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던 곳에서도 무료 블로그 서비스를 공개하기 시작하였다.

아래쪽은 중국 국내의 블로그 서비스를 기본으로 해외의 블로그 서비스들을 소개하고 있다. 대충 보았지만 빠진 블로그 서비스도 많이 있고,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아닌 곳도 포함되어있는 등 문제가 있지만, 일단 도움이 되시라고 올려 놓는다. (잘 찾아보면 올블로그, 블로그코리아, 오마이뉴스, 조인스, 그리고 이올린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라이브 스페이스는 왜 해외표시를 안한건데??)


나중에 방학정도 되면 상위 10위 서비스에 대한 소개를 해볼까 한다. 지금은 공부!!! -0-(옆에 번호에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좋을듯 싶다. 마음대로 붙여넣은 경향이 강하다고 할까...)




    1 博客网 http://www.bokee.com
  2 新浪博客 http://blog.sina.com.cn
  3 搜狐博客 http://blog.sohu.com
  4 Live Spaces http://spaces.live.com
  5 天涯博客 http://blog.tianya.cn
  6 中国博客网 http://www.blogcn.com
  7 网易博客 http://blog.163.com
  8 QZONE http://qzone.qq.com
  9 网商博客 http://blog.china.alibaba.com
  10 百度空间 http://hi.baidu.com

출처 : ramb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