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 데이타 센터(CNNIC)에서 2007년 7월 18일에 20차 중국 인터넷 발전 현황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중국 대륙의 네티즌은 이미 1.62억명이 되었다고 하는군요. 전체 중국 인구가 12억에서 15억으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아직 단지 20%모 되지 않는 사람만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군요. 돌려 말하면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시장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군요.

주요 사항만 요약하면 :
1) 점차 여성 유저의 비율이 높아져서, 45.1%가 되었다. (하지만 역시 전체 보급율은 낮다)
2) 18세에서 30세가 전체의 53%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3) 네티즌의 학력은 전체적으로 고졸이나 전문대 수준으로 떨어지는 수준이다.
(그래도 전체적으로 학력이 높아지고 있다.)
4) 미혼의 비율이 57.9%이다.
5) 네티즌의 소득이 1500원(한국돈 20만원)이 안되는 사람이 5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학생의 비율이 아직 많은 상황이 반영되고 있다)
6) 대다수의 네티즌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7) .cn 도메인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8) 국제적인 연결망이 증가하고 있다.
9) 아직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데스크탑을 사용하고 있지만, 노트북을 이용한 접속이 늘고 있으며, 특히 25%의 네티즌이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며,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10 ) 피씨방을 통한 접속이 늘고 있다. 집과 사무실에서의 접속은 안정된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많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봐서는 아직 보급에 문제가 있다.
11) 아직 대다수의 네티즌이 일주일에 20시간 이하의 사용량을 보이고 있다.
12) 신문과 검색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msn나 qq와 같은 메신져도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외국과의 비교 사례에서 미국과 비교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한국과의 비교도 많이 첨가되어 있다. 한국이 인정받는 것인가? 흐음...그럴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 왠지 무섭게 느껴지는 것을 왜일까? ^^

아래쪽은 중국어로 보고서 전체입니다. 머....굳이 한국어판이 필요하신 분이 있으시면, 밥과 술 쏘신다고 약속하시면 번역해 드릴지도요^^:::
http://www.cnnic.net.cn/uploadfiles/pdf/2007/7/18/113918.pdf


중국어와 한국어는 닮은 점이 많습니다. 6~70%의 한국어 어휘가 한자에서 왔다는 것은 모르는 사람이 없잖아요.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를 기반으로 한 어휘들이 주로 고대 한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중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것도 있지만, 더 많은 어휘는 지금도 그대로 혹은 약간의 변화만을 거친 채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홍콩영화를

보 다 보면 한국어와 발음과 의미가 똑같은 어휘들이 자주 등장해 깜짝깜짝 놀라게 되는데요. 이는 북방유목민족의 남하와 관계가 있다고 하네요. 유목민족의 남하 전에 중원을 차지하고 한반도와 활발한 교역을 벌였던 한족 왕조에서 쓰이던 언어가 현재의 남쪽에서 통용되던 언어인 거죠. 허나 북방유목민족의 침입으로 중원을 상실하고 남쪽으로 밀려나면서 자연스레 한반도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끊기고 그 후로 북방계통의 중국어가 표준으로 굳어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답니다. 그래서 고대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한국어는 현 남방계열의 중국어와 더 비슷한 점이 많게 된 거죠. ( 중국역사 전공하신 바로님이 확실하게 알려주시겠죠...ㅋㅋ  )

아직 하얀눈님이 글에서 맘대로 가지고 왔습니다. -_
http://www.oh-bang.com/11?TSSESSION=3550d39959032ac9108c6dab3ed2d15b


적으라고 적고 있는 나도 문제이긴 하다.후....-_-
그런데 본인의 전공은 어디까지나 중국 고대사라는 말이다!!
이건 언어학적 문제인데!!! 잘 몰라! -_-!
그냥 여기 저기서 들을 이야기를 종합해 놓은거니까 알아서!!! -_-


일단 한글과 한국어의 언어체계는 기본적으로 알타이어족의 기본을 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몇 학자들이 한국어와 일본어가 알타이어족이 아니라고 부정하는데, 그 이유는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 속에서는 많은 "한자"요소가 포함되어있기 떄문이죠. 그래서 혹자는 알타이 어족에서 몽고계 언어로 한국어와 일본어를 분류하지 않고, 독립적인 한국-일본어 계열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 다음으로 북방 이민족의 유입과 한국과의 교역은 전.혀. 상관없는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예전부터 황해는 강력한 교역수단이 되었으며, 우리들에게 유명한 것은 신라방, 고려방, 표해록등을 참고로 할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내용은 윤명철 교수님의 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황해를 환지중해로 설정하는 재미있는 책들이랍니다. 어찌 되었든, 한반도와 중국 남부는 지속적인 교류를 해 왔고, 현재 한국에 있는 화교들의 대부분이 중국 남부에서 왔습니다.

그러므로 고대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남방계열이 한국어와 비슷하다기 보다는, 예전부터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서 활용해오는 와중에 자연스럽게 고대 한어의 단어들이 들어간 것입니다. 문제는 이것이 언어를 구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인데, 어법은 중국어와는 완벽하게 다른 알타이 어족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어의 교류대상은 중국어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북방 민족들과도 빈번한 교류를 하여왔고, 고대 한국어와 현대 한국에서도 이런 흔적들이 남아있습니다.

아마 아직하얀눈님은 북방민족들은 낙후되고, 덜 떨어졌다는 생각으로 교류의 가능성을 조금 무시하지만, 사실상 북방 민족들은 세계의 다양한 문화 유산들을 받아들이고, 다른 곳에 전해주었던 전달사의 역할을 할 때가 많았습니다(물론 그 방법이 가끔은 약탈과 침입이긴 했습니다만, 그것도 문화 전파의 한 모습이죠) 이러한 예시로는 한국어에서 "강"이라고 말하는 단어를 예로 들 수 있겠군요. 강의 고대 한국어는 "가람"으로서(한가람 서점이 이것이죠^^ 한가람은 한강이라는 뜻이랍니다.), 표기 방법에서는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가람을 빨리 여러번 말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강이나 가람이나-_-; 그게 그 발음입니다. 그리고 이 가람은 알타이어 계열에서 강을 의미하는 보편적인 발음으로 통용됩니다.

정리하자면, 한국어는 어디까지나 기본적으로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북방계열 언어체계입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동안의 중국과의 교류로 인하여 많은 단어들이 흘러들어오게 되었고, 지금 현재의 한국어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혹자는 이러한 교류를 무시하고, 가장 순수한 한국어로 돌아가자는 운동을 벌이는데, 이는 분명한 오류입니다. 그것은 다양한 교류를 아예 무시하는 방식이기 떄문입니다. 물론 단순히 무조건적으로 받아 들이기만 한다면 하나의 문화가 사멸되는 것이죠.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긴 합니다만...이건-_ 별로 이야기 안해도 될 말이라서.....패스~

西藏自助游全攻略
2003年6月26日08:19


    西藏在许多人心目中是个遥远而神秘的地方,虽然渴望前去观光旅游,又害怕高原缺氧和路途风险。其实,西藏以她神奇的自然风光、独特的宗教特色和淳朴的民俗 民风成为国内独树一帜的旅游胜地。至于高原环境不必惧怕,环境恶劣的可可西里无人区只有探险、考察者才会光顾,普通旅游者所到之处都是环境优美、人口较密 集的地方,交通也越来越方便。

    路线选择:进藏路线有五条,每条道路大不相同。第一条是从新疆喀什经新藏公路入藏。此路线走的是 边境的公路,崎岖高寒且无班车,因而极少有游人问津。第二条是从成都经川藏公路入藏,第三条是从云南大理或四川的攀枝花经滇藏公路入藏。这两条路所经地区 地形较复杂,冬春多冰雪,夏秋游人较多。第四条是从成都乘飞机直达拉萨贡嘎机常这是目前最便捷的进藏方式。第五条是经青海西宁和格尔木,由青藏公路入藏。

    自助观光游,从青藏公路入藏是最佳选择。首先是省钱省时,路费仅为航空的1/5;历时约为走其他公路的1/3。其次是有几天对 海拔逐渐升高的适应过程,从而避免了突然飞抵高原后容易出现的强烈高原反应。最难得的是可以在沿途亲眼观赏青藏高原的自然风光,亲身体验经昆仑山口登上青 藏高原和翻越海拔5000米的唐古拉山口的特殊感受。

    旅游行程:乘火车到西宁,然后花一天的功夫游览塔尔寺、日月山、鸟岛等风 景,后乘火车到格尔木,换乘长途卧铺客车。日夜兼程约两整天才到达拉萨。出发前除准备一般旅游用品外,还应准备好防晒霜和太阳镜,以抵御紫外线;身份证照 片要带上,办理边境通行证时要使用;压缩饼干和饮料不能少,长途车上一定用得着。

    拉萨市的住宿条件不错,高档宾馆很多,但自助旅游只须选择市内中档旅馆即可。两人标准房每人/晚约为30—40元,交通便利又经济实惠。随后,你可以拉萨为中心前往各处游览。

    第一天:游布达拉宫、大昭寺、八角街。参观布达拉宫须在上午9∶00进入,不能迟到。八角街上可品尝正宗的藏式饮食。第二天:乘公交车游市内哲蚌寺、色拉 寺和罗布林卡。这一天最好安排在周三,因为周三有西藏最大佛寺哲蚌寺数百喇嘛会集一堂的壮观场面。罗布林卡也应在上午9∶00或下午15∶00入园。

    第三天:游东线。早晨乘班车到乃东县泽当镇,游贡布山上的比乌札普,即被教徒们视为圣地的猴子洞,相传为藏族发祥地。乘2路公交车游昌珠寺,这是当年文成 公主的冬宫,现保存着珍贵的“珍珠唐长”。后面路线可乘的士游雍布拉康,它建于2000年前,是西藏第一座宫殿建筑,最后游德县的藏王墓,共9座。返回泽 当或拉萨住宿。

    第四天:游西线。从拉萨或泽当乘班车到雅鲁藏布江大桥边,乘的士游西藏最大的淡水湖和三大圣湖之一的羊卓雍湖。再经浪卡子到江孜。游白居寺和宗山抗英炮台遗址,登高眺望“红河谷”。住宿在江孜或日喀则。

    第五天:游日喀则的扎什伦布寺、班禅新宫、夏鲁寺。下午乘班车经大竹寺新公路返回拉萨,沿途可观赏雅鲁藏布江河谷的旖旎风光。

    按以上行程安排既省钱省时,又可游历西藏主要名胜。对自助旅游者来说,最好邀集三四人同行,可以降低单人租车费用。如果游兴未尽,东线可继续坐车沿雅鲁藏 布江东下林芝,体验藏族“江南”的风光,但往返要增加两天行程。西线则可从日喀则继续西行至聂拉大的樟木口岸,但须事先在日喀则办好边境通行证。沿途游览 号称“敦煌第二”的隆迦寺。途经定日县的定日镇时可亲眼眺望世界最高峰珠穆朗玛峰的雄姿,在聂拉林县则可看到希夏邦马峰。在从聂拉大到中尼边界樟木的短途 中,海拔高度骤然降到1800米,可体验从寒带突然到热带的迅速变化。樟木口岸有交易市场和中尼友谊桥。此番路程的延伸往返需增加4天行程。

    离藏可经拉萨原路返回格尔木、西宁,也可以飞往成都,此时不会有高原反应。



来自于http://www.chinatibetnews.com/GB/channel8/57/200306/26/12608.html

'취미생활 >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하이에서 2일째...  (8) 2007.08.02
상하이 갔다 오겠습니다.  (12) 2007.08.01
07/15 델리 07  (0) 2006.09.23
07/14 델리 06  (0) 2006.09.22
07/13 델리 05  (0) 2006.09.21
선진시대와 그 뒤의 "동이족"개념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선진시대 혹은 시대를 조금 더 높여서 전국시대 전의 동이족은 현재 중국의 베이징과 산동반도에 있었던 동이족을 말하는 것이며, 그 뒤에는 요동반도 동쪽의 민족을 지칭하였습니다. 또 선진시대 전의 동이족은 진한시대를 걸치면서 모두 현재의 한족으로 포함되게 됩니다.

물 론 이에 대한 반론으로 선진시대전의 동이족은 산동반도와 현재의 한반도를 연결하는 거대한 영역권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 수도 있고, 실제로 그렇게 주장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오류가 있는데, 흔히 동이족이라고 말해지는 민족에게는 고서의 기록상에서도 9개의 분파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선진시대 이전의 이 분파끼리의 공통점은 매우 애매모호한 수준입니다. 단지 중화사상에 입각하여, 현재 중국의(당시의 서안과 장안일대)의 동쪽에 있기에 묶어서 같은 민족이라고 말을 한 것 뿐이죠.

예를 들어서 저희가 그냥 유럽이라는 지역적인 구별단위로 유럽사람이라고 하지만, 유럽사람중에서는 터키종부터 게르만종 아리안인종등등 수 많은 인종이 얽혀서 민족을 구성하고 있죠.



지역적인 구별과 인종/문화적인 구별을 명확히 하지 않은 실수라고 생각됩니다.^^

(그런 이유에서 중국학자들도 동이족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자유롭게 말하는 것입니다. 이미 학계에서는 선진시대 이전의 동이족은 화하족과 융합하여 현재의 한족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주류니까요. -_- 이것을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중국의 학자들도 별 수 없이 동이족의 위대함을 인정했다는 식으로 글을 쓰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물론 선진시대 이전의 동이족의 개념에서 새 토템에 대한 숭배가 나옵니다. 그것을 보통 화하족과 구별하는 중요한 포인트로 삼고, 동이족의 실체를 밝혀 냈다고 합니다만....새 토템은 전세계에 매우 넓게 퍼져 있는 샤마니즘 신앙입니다. 심지어 아메리카의 잉카제국에서도 새토템(그것도 새토템의 전형인 태양 새 숭배)가 이루어지고 있었죠.

또 이렇게 말하면 위대한 동이족이 이를 전파했다고 말하는 분도 있지만, 이것은 지금은 저물어 가는 이론체계인 전파론입니다. 어느 한 곳에서 문명과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현재 계속되는 인류학적 연구를 대표로 하는 다양한 비교연구를 통해서 허구성이 들어나고 있는 이론입니다.



...그냥 갑자기 어느 동이족 문명설을 토대로 전개시킨 글을 보고 써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토리를 말해 버리면 다른 분들에게 폐가 되는 것이기에, 직접 본 분만이 글을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친님의 간곡한 협박?!에 보게 된 커피 프린스(줄여서 커프라고 한다고 하더군요) 는 역시 한국 드라마의 강력함을 보여주는 것 같더군요. 상당히 재미있는 소재 설정과 탁탁 치고 나오는 대사가 압권이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한국 드라마의 구태의연한 모습을 절실히 보여주더군요.

개인적으로 참 재미있었습니다.
저희 커플의 여러 모습이 이 속에 보이더군요.-_-;;

특히 1화에서 뽁뽁이를 건내어 주는 은찬 역의 윤은혜의 모습에서 참 많은 것을 느껴버렸습니다. 그런데 뽁뽁이가 얼마나 즐거운 것인지 모르시는건가요? 그게 부끄러운 일입니까? 저희 커플은 서로 더 뽁뽁 할려고 난리를 치는데 말이죠. 하이힐을 신지만.........(중간생략).....여친님의 모습과 왠지 너무나 잘 어울려 보여서, 저도 모르게 저 윤은혜 머리 어때라고 했다가...이미 해보셨답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미소년 소리를 들으셨다 하더군요. 하긴-_- 제가 심심하면 미소년이라고 부르는 저의 여친님이시는 하지만...

생각해보니 제 주위의 애들이 저희 커플을 이리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극중에서 한결이 29살, 은찬이 24살로 설정되어있더군요. 앞으로 3년뒤면 딱 이 모양 이꼴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거기에 성격 설정도...비슷.....음...;;;

그리고 다른 쪽, 유주와 한성쪽은 정말.....저희들의 싸움과 비슷하더군요. 유주의 겉으로 보기에는 냉철한 모습....인데...-_- 여러분 진짜 아셔야 됩니다. 겉으로 슬퍼하지 않아 보이는 사람이 더 문제라는 사실을요. 심리학적으로도 검증된 사실인데, 오히려 안에 쌓아놓고 있는 사람들이 정신병이 일어날 확율이 높다고 합니다. 그냥 쌓아놓는 것 뿐입니다. 하하하;;; (네ㅠㅠ 제가 유주랑 거의 비슷한 행동양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하하..ㅠㅠ )


부언으로, 한결과 은찬이 맞선자리에 맞추어서 입고 나간 양복패션은 상당히 마음에 드는군요. 양복을 싫어하는 제가 그리 생각할 정도면 정말 대단한거죠. 특히 윤은혜가 입은 양복은 전체 블랙에 화이트 넥타이가.......하지만...제 여친님과 같이 입고, 다니기에는....정말 미소년이신지라...-_-;; 그건 참아야 될거 같습니다.


그럼 이제 3화 보고, 나가서 일처리 해야겠습니다^^
이제 밤샘족 생활을 접기 위하여!
오늘은 하루 종일 잠을 안잘 예정이랍니다^^



四川“考霸”张非又被清华录取


온라인 게임에 빠지고도 북경대 청화대 합격한 천재. 에서 소개해 드렸던 짱페이를 청화대에서 받아들이기로 했답니다. 짱페이는 매일 일상이 온라인게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수능시험인 까오카오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북대에 합격했다가 짤리고-_-; 청화대에 합격했다가 다시 짤리고-_-;; 이번에 청화대에 집어넣었는데, 결국 청화대도 별 수 없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천재가 있긴 있군요. 공부 하나도 안하고 오락만 하면서 저게 가능하다니..하하하;;;;

北京是最大受歧视也排斥它地的地方

国人癖好搞地域歧视,有目共睹。目前的地域歧视却逐渐把风向刮向了北京,难道这背后有什么问题?有句谣谚说:北京人对非北京人统称为外地人;上海人 对非上海人统称为乡下人;广州人对非广州人,统称为北方人。我想这里面的因素至少是这样的,对于北京来说,是因为政治中心的优势,有点皇权意识在里面。对 于上海来说,我想有点遗传贵族的味道,你看俺十里洋场、风华绝代、佳人才子、商家巨贾多“资本”啊?而一切外地人无非穷困潦倒的土老冒,有得一说,搞得像 “刘姥姥进大观园”似的!而广东人,大抵则在精于算计、善于商计,北方人在其眼里不过是不势变通、拘圃。于此讲来却真有点玩味了。

北 京确实愈来愈遭遇国人的口诛笔伐了,早前一段时间,有北京某些公园禁止售予外地务工人员月票。结果可想而知,遭遇媒体一顿“乱棍打之”。试想,老祖宗留下 的古迹遗址难道就是北京人炕头上的“夜壶”吗?想怎么把玩就怎么把玩?好歹都是炎黄子孙,大家都应该有份吧?可是北京的管理部门偏不,这样会搞乱了北京游 园里的文明的。这个话说起来,好像只有北京人才善良可佳、文明可规,从没有妓女事件发生似的。我偏偏看到北京也有这样的场所,曾有一个什么书记就是在北京 嫖妓时被抓的。怕是因为“京城大,京城贵”,才勾引这够“档次”的人消费吧?难道不是这个意思吗?

日前,据《京华时 报》报道,北京市今年将严控“双外生”进京,朝阳区更是“原则上不审批”。所谓的“双外生”,指的是外地生源或外地高校毕业生,“外”当然是首都之外。当 然这里涉及到最敏感的一个话题“户籍改革”以及“自由就业”,而关于这两者也早已被媒体批得滥不可勘,多言无益。但是从这里看来,北京比较好搞地域歧视确 实是真的。动不动把北京的交通压力、住房压力、就业压力归到别地头上确实是不大厚道的,这也明显折射出,作为中国首都,缺乏首善之心。据4月24日零点集 团公布《中国公众城市宜居指数2006年度报告》中显示,在城市包容性排行榜中,三亚、成都和深圳居前三,而上海、北京和大连分列倒数前三。

为 什么啊?因为北京对于外地人的包容性,实在够狭隘的,理当作为“首善之都”榜样的北京城,应该做好示范,给全国的所有大中小城市一个交待。可事实恰恰相 反,就拿北京的城管与小摊小贩之间的“恶斗性质”的新闻来看就可以看出一二来。当然,按照北京管理者的说法,这是维护首都的光辉形象,或说迎接奥运会,要 建立一个文明、清洁、绿树成荫的首都,欢迎各国友好人士的到来。早前有媒体传闻,说奥运会期间限制外地人进京,后来有北京政府官员站出来解释,奥运会期间 不会禁止外地人进京。怕是迫于舆论的压力吧?不巧的是,一则关于美国白宫周围小摊小贩的新闻报道流传甚广:每天早晨五六点钟,先生就“上班”了。他的工作地点就在距白宫约两百米远的街道边。先 生的货摊是向市政当局申请来的。在华盛顿、纽约等美国许多城市的一些重要景点周围和主要街道上,市政当局都会规划出一些露天的摊点让民众申请,甚至在白宫 和国会等国家机关周围,也有数十个这样的摊点。这北京比得起吗?又拿什么比包容度?如此一个狭隘、小心眼的首都,自然离首善之都遥远而不可及。

这让我想起,今年春晚一个诗朗诵《心里话》节目,几十个农民工子女站在舞台上,稚气的朗诵着——

要问我是谁,过去我总不愿回答,

因为我怕、我怕城里的孩子笑话。

我们的校园很小,放不下一个鞍马。

我们的校舍简陋,还经常搬家。

我们的教室很暗,灯光只有几瓦。

我们的桌椅很旧,坐上去吱吱哑哑。

但是我们作业工整,我们的成绩不差!

要问我此刻最想说什么?

我爱我的妈妈,我爱我的爸爸!

因为是妈妈把城市的马路越扫越宽,

因为是爸爸建成了新世纪的高楼大厦。

北京的2008,也是我们的2008。

老师把它谱成了歌,同学把它画成了画。

作文课上我们写下了这样的话:

别人和我比父母,我和别人比明天!

……

“别 人和我比父母,我和别人比明天”,拿什么比明天啊?抛开北京人所特有的优惠待遇,北京本地学生考北京院校普遍要比外地学生的分数低得多。在我看来,外地孩 子在如此简陋的场所真努力学习、奋发图强,也未必赶得上北京孩子的前景?你看北京已经下令禁止“双外生”留在京城了。这已经在自由公平的竞争环境里给你套 上一个枷锁。

要说北京才真是最大受歧视也排斥它地的地方,大抵是不会错的。但是一 切表面的现象并不能够给予我一个真实的答案,这种排斥北京或北京排斥外地的根源在哪里?或许就纠缠于一个“政治”词汇上吧?北京是中国政治的心脏,就像人 的心脏和大脑一样,是人的一切器官的指挥、支配者。看新闻,据7月15日《大公报》报道:中国宣布暂停进口美国数家主要肉类加工商的产品。然后浏览新闻留 言时,有几个读者如此辩论:

甲:有点骨气的中国人!宁可吃北京的纸板箱,也决不吃美国的猪肉!

乙:你北京算个■啊?京痞子,垃圾,全世界最大的吸血鬼集中地。

丙:你真聪明。

不禁莞尔一笑。


来自于 http://vip.bokee.com/20070716327722.html
User inserted image

잠이 안와....잠이 안와....
연말 포상금을 2번이나 세어보고는...
잠이 든다...



 公司刚发了年终奖金,
  张小盒发现,
  拿到的钱比预想的多。
  张小盒拿的钱其实很少。
  多和少不在于实际数量,
  而在于心理预期,
  所以,
  张小盒心情有一点点激动。
  张小盒不知道,
  应该是觉得多还是少。


회사에서 연말 포상금을 줬답니다.
도시락이 생각했던것 보다 더 많은 돈을 받았습니다.
비록 도시락이 받은 돈은 사실 상당히 적은 액수이지만
많고 적음은 실제 액수보다는 예상했던 금액으로 판단하는 것이죠.
그래서 도시락의 마음은 콩닥콩닥 거린답니다.




User inserted image

모든 아름다운 여성의 뒤에서는 상처 받은 남자가 있다.


 莉莉盒小的时候也看过武松打虎,
  不过,
  莉莉盒对武松不感冒,对潘金莲更感冒一些。
  小的时候,
  莉莉盒认为潘金莲是个坏女人,西门庆是个坏人。
  长大以后,
  莉莉盒认为潘金莲不一定是坏女人,西门庆依然是个坏人。
  莉莉盒总结了一下,
  男人分三种类型:
  要么是西门庆,
  要么是武松,
  要么武大郎,
  莉莉盒还没决定应该嫁给谁。

....그 아래부분 해석은....패스-_-
일일이 인물 설명을 해야되서요..하하하....../먼산-_;;  

'중국만화 > 도시락(张小盒)'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락] 월급날  (0) 2007.07.22
[도시락] 불면증  (4) 2007.07.15
[도시락] 호랑이 언덕에서...(2)  (0) 2007.07.14
[도시락] 호랑이 언덕에서...(1)  (0) 2007.07.13
[도시락] 도시락을 따르자!  (0) 2007.07.13
하여간 심심할땐 안나오고 오늘 약속 잡아서 놀러 나갈까 하는데 이런게 뜨네요. 텍스트규브 베타 2버젼입니다. 이번부터 슬슬 지역화작업을 해야되서 중국어 작업을 시작하고 있는데, 짜증나는 부분이 몇가지 있네요. 새벽이 되서 속도가 되야지 베타 2을 올려서 설치해봐야 알 수 있는 기능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낮에는 ftp로 올리는게 거의 불가능합니다. 밤에도 2시간 걸리는걸-_-;;)


모듈을 번역하긴 했지만, 대체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메타 싸이트라는 건 무슨 기능인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플로그인이었던 그것이 이제 메인으로 올라간건가요? 그럼 예전에 그 메타 싸이트 플로그인에서 썻던 중국어 번역을 그대로 올리면 될거 같고요.

오픈 아이디의 경우, 한국쪽 유저 말고 중국쪽 유저는 아예 쓸 수 없겠군요. 안철수쪽에서 중국어버젼으로 오픈아이디 신청을 지원하지 않는것으로 아니까요^^:: 그런 이유로

위임주소는 먼지 아예 이해가 안됩니다. 이것도 설치해서 좀 디벼봐야겠네요.

포매터도 제대로 이해가 안되서 그냥 영어로 적어놨습니다. 이해가 되야 번역을 하던지 말던지 하죠-_-;;

앞부분에 있
//$__text['Chinese'] = ''; 것으로 대표되는 영어로만 된건...번역해야되나 말아야되나 심히 고민중입니다.-_-;;

새로 추가된 문장에 //$__text['태터툴즈 로고'] = ' Tattertools Logo'; 이게 왜 있는지 모르겠군요 -_-;; 이제는 텍스트큐브아닌가요?;;; 아..그리고 따로 중국이름 지을 생각은 없으신지 궁금하군요. 태터툴즈니 텍스트큐브이니;; 다 영어로 적어놓는 수밖에 없군요. 지금 상황에서는요.




아래쪽에 있는 것은 대충 초벌입니다. 다하지고 않았지만..... 하다가 친구와 놀기 위해서 나갑니다. 혹시 좋은 생각이나 번역을 도와주실 분은 언제든지 덧글로 달아주셔요. 하하하^^:::

오늘 열심히 술마시고, 내일 일어나서 완성하고, 재벌까지 한뒤에 중국분들에게 문의해서 다시 니들웍스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오늘 술 너무 마셔서 뻗어서 내일 혼수상태가 될지도???:::




현재 문제가 되는 3가지 !!

//$__text['두루마기'] = '';

//$__text['색동'] = '';
//$__text['임의로 생성'] = '临时';

두루마기는 새로운 큐브에 아예 빠져있는데, 대체 머하는 기능인지 궁금합니다. 아예 모르는것을 번역할 도리가 없군요.....큭;;

색동의 경우 아마 메타페이지의 이름일것 같은데, 이것을 메타 페이지로 그냥 번역할까요? 아니면 색동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서 번역할까요? 이건 제작자분들의 의견을 들어야 될거 같아서 말입니다.

그리고 임의로 생성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대체 임의로 무엇을 생각하는지 잘 몰라서 일단 놔두었습니다. 대체 멀 생성하는거죠??::



현재 문제가 되는 3가지 !!

//$__text['두루마기'] = '';

//$__text['색동'] = '';
//$__text['임의로 생성'] = '临时';

두루마기는 새로운 큐브에 아예 빠져있는데, 대체 머하는 기능인지 궁금합니다. 아예 모르는것을 번역할 도리가 없군요.....큭;;

색동의 경우 아마 메타페이지의 이름일것 같은데, 이것을 메타 페이지로 그냥 번역할까요? 아니면 색동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서 번역할까요? 이건 제작자분들의 의견을 들어야 될거 같아서 말입니다.

그리고 임의로 생성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대체 임의로 무엇을 생각하는지 잘 몰라서 일단 놔두었습니다. 대체 멀 생성하는거죠??::


일단 inureyes님의 답변을 토대로, 색동은 Metapage나 剪纸중에 중국 사용자를 보고 정하라고 할 생각입니다. 剪纸게..머냐면....중국의 종이짜르기 공예인데, 아마 본적이 있으신 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 색동이 아마 색동저고리에서 나온거 같아서, 가장 중국에서 느낌이 비슷한것으로....맘대로 번역한겁니다. 음하하하--;;; (머..나름 메타 싸이트를 이리저리 구성하고 짜르고 가져다 붙이고 하는 거니까....나름...생각하기는..했기는...했지만-_- 먼산;;)


임의로 생성은 대충 하겠는데.....두루마기는 아직도 무슨 기능인지 모르겠네요. -_-;;

그냥 두루마기가 멀 의미하는지 아직도 혼동스럽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