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도 이번 미디어 "악법"에 대해서 분명히 반대입장이다. 하지만 MBC의 동영상을 무조건적으로 찬양할 생각은 조금도 없다. 그리고 실제로 MBC의 동영상은...최소한 중국어 부분은 확실히..그리고 과감하게 쓰레기라고 말하고 싶다.


방현주 아나운서 (중국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13억 중국인들이여!!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항의해주십시오.
“왜 이래~ 아마추어 같이”
또 한 통의 항의전화를 해주십시오.
이번에 전화 걸 사람은 김형오 국회의장입니다.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허튼 짓 하지 마라.”


1) 기본적인 상황도 전달하지 않았다.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한국인이야 지금 상황에 대해서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중국인들이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면 과대망상이라고 해주고 싶다.

최소한 간단히라도
"자본계급이 인민들의 재산이 미디어를 장악하려 시도하고 있다"
资产阶级试图夺走人民的财产了 - 媒体!言论自由!

이렇게 못하나?! 중국인들의 관념에 침투시키는 최소한의 상황설명 말이다. 후..
(위의 예시가 결코 잘 된것은 아니다. 본인이 별 생각도 없이 10초만에 만든것이다..하지만 지금 MBC 동영상의 내용에 비하면 훨~~~씬 잘 된것이라고 자부한다.)


2) 지금 개그라고 하는건가?
"왜 이래~ 아마추어 같이"
.....정말 왜이러나 아마추어같이! 중국 사람들이 이 유머를 이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진짜 장난하나? 상대방이 알아듣지도 못할 유머를 유머라고 하나?


3)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이나 김형오 국회의장?!
이 사람들이 멀 했는지 알고 중국인들이 전화씩이나 하는가? 장난하나? 제발..ㅠㅠ
차라리 이 사람들 이름 말할 시간에 위에서 제대로 전달하지도 않은 상황 설명을 하지?!


분명히 다시 말하지만, 본인도 이번 미디어 악법을 반대하며, MBC의 파업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 동영상은 분명히 문제가 심각하다. 한마디로 이 상황의 중대성을 설명하자면...

본인 쪽팔려서 이 동영상을 중국 친구들에게 소개시키지 못하겠다. 일반 중국인들이 이 내용을 보고 과연 뭐라고 생각할 것인가? 웃기지도 않는 개그인가라고 생각할 것이다. 기본적인 상황전달도 하지 않은 이런 동영상. 그것도 중국어는 중간부분에서야 나오는 이런 동영상을 과연 외국인들이 얼마나 볼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응?!!



진심으로 묻고 싶다. 해당 동영상을 만든 분들이여. 당신들. 방송인 맞는가?! 아니. 최소한 보도국 사람은 아니기를 진심으로 빈다. 기본적인 보도의 기본도 모르는 사람이 MBC 보도국에 있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원할 뿐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진심으로 이 동영상이 해외로 퍼지기 않기를 바라며!
다시! 제대로! 동영상을 만들기를 바란다.


해당 글은 탐슨가젤님의 에? 중국에 민주주의를 구걸하다뇨? MBC 전국언론노조 영상 제대로 보셨나요? 에 대한 저의 반박글입니다.

일단 전 중국 현지에서 좀 오래 유학한 한국인입니다. 또한 현재 님이 언급하신 인터넷 통제에 한국 개인블로거 중에서는 최초로 걸렸으며, 지금까지도 중국에서의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사람입니다만...그래도 문제 삼으신 부분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들이 보이는군요.

1) 탐슨가젤님이 달으신 덧글 중에서 중국유학생들이 중국공산당만세를 부르면서 같이 외치게 했다고 하시는데...한국인들은 그것보다 더 심하거나, 잘 봐주어야 비슷한 수준입니다. 저 자신은 그런 양국의 모든 행동을 비판하지만, 현재 님의 덧글은 어디까지나 한국과 비교하여서 말씀하시며, 마치 한국에서는 그런일이 벌어지지 않는 것처럼 이야기 하시고 있어서 우려가 되는군요. 한국도 심각할 정도로 민족주의에 세뇌되어있습니다.

2) 티벳폭동 당시 언론 통제를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정보통제가 있었습니다만, 당시에는 올림픽을 막 앞두고 있는 상황인지라, 금방 정보통제를 풀어버렸고, 실제로 많은 외국 기자들도 취재에 들어갔습니다. 무엇보다 당시의 상황은 인터넷을 통해서 다 유출되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교묘한 방법으로 한족주의를 부풀려서 관련 사태를 무마하는데 이는 정보통제와 직접 관련은 없으니 일단 패스)

또 한 전화선을 끊었다고 하는데...이는 전혀 사실과는 다른 사항입니다. 죄송하지만 와전된 이야기를 들으셨군요. 당시에 전화선을 끊지 않았고, 휴대폰도 제대로 작동하였습니다. 또한 군대로 밀어버렸다고 하시는데, 죄송하지만 당시에 문제가 되었다고 유출된 사진은 실제로는 과거의 사진입니다. 이번에는 올림픽이 걸려 있기에 실제로 군대는 출동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무장경찰이라는 조직이 일정정도 출동하였지만, 이는 말씀하신 군대이야기와는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무장경찰은 한국에는 없는 제도로서, 그 성질은 일단 치안조직일뿐입니다.

3) 중국은 일단은 어디까지나 "민주주의"국가입니다. 흔히 착각을 하시는데,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의 반대는 결코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자본주의입니다. 민주주의의 반대는 독재이며, 중국은 헌법에 민주주의국가라고 규정해놓고 있습니다. 물론 내부적으로 상당한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일당독재라고 불러도 할말이 없습니다만, 최소한 헌법이 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있기에, 얼마든지 국제적으로 민주주의에 대해서 호소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4) 가장 큰 문제는 중국정부와 중국사람들을 구별하지 않으시는 점입니다. 위에 terma님도 지적하신 부분입니다. 이는 마치 이명박 정부와 한국국민을 동일시하는 것과 같은 오류입니다. 중국 네티즌 중에서는 상당수가 자유로운 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광우병 사태에서도 내부적으로 음식위생 문제에 대한 운동을 벌이거나, 아고라 CSI와 같은 인터넷 수사대가 현재 운남정부의 어떠한 사건과 정면으로 대치하고 이것이 메이져 신문과 포털의 메인에 계속 있을 정도입니다. 또한 원래그런놈도 언급하셨지만, 중국본토에 있는 사람만 중국어를 쓰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저 자신이 중국정부의 인터넷 통제의 직격탄을 받고 있는 사람입니다. 실제로 한국 신문에 중국의 인터넷 통제에 대한 내용을 제 실명을 밝히며 기고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실이 왜곡하거나 잘못 알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정확한 사실을 기반으로 비판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한국에 보도되는 중국 관련 기사중에서 많은 수가 신문들이 팔아먹기 위해서 반중감정을 이용하여 사실을 교모하게 왜곡하는 내용이 많다는 점을 꼭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단! 제가 해당 동영상의 중국어 내용 자체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대체 정말 중국인민들을 생각해서 만든 것인지 심히 의문이 드는 대목들이 많이 있습니다. 중국사람한테 개그을 하는...그것도 통하지도 않을 개그을 하는 것 같습니다. 중국인들에게 통할 내용을 전달해야지! 대체 멀 하자는 것인지 모.르.겠.군.요. 그렇게 언론노조에 중국을 아는 분들이 없습니까?

농담 아니고.."왜이래 아마추어 같이?" 라니요?! 아..진짜 장난치나...
진짜 왜이래 아마추어 같이..
상황 설명은 딸랑 한국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쳐해 있다니? 장난해??

기본적인 상황설명을 하던가.. 중국의 사회주의 색채에 맞도록, "자본계급이 인민의 재산인 미디어를 장악하려고 기도하고 있다"라던지. 많잖아?! 장난해? 크어어어어!!!! 왜? 대본 만들어드릴까요?

참고로 해당 동영상은 본인 중국친구들에게 보여줄 생각이 전혀 안 든다. 중국애들이 이걸 봐도, 먼 상황인지 이해도 못하고, 오히려 장난치냐고 할 것이 뻔하다. 제발...한국에 이렇게 지중이 없나?!

중국의 짝퉁 휴대폰 혹은 막가파 휴대폰인 샨자이(山寨)의 전체 매출액이 무려 2억위엔(200억원)이며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금융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매출과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비록 해외 매출에서는 일정한 타격이 있지만(약 50%의 매출감소),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사실 샨자이는 단순히 짝퉁이라고 번역하기에는 힘든 면이 있다. 사실 많은 샨자이들이 정식 허가를 받은 업체일 경우가 많이 있으며, 그들은 과거에 분명히 모방을 했고, 지금도 저작권 문제가 있을듯한 모방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새로운 개념 혹은 새로운 시도로서 자리잡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이 샨자이도 3G 시대를 맞이하여 매우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3G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로 인하여 휴대폰 상과의 연합이 필요하고, 대부분의 샨자이 휴대폰 회사들은 영세하기에 이동통신사와 협정을 맺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앞으로 3G가 더욱 보급이 된다면 이동통신사들도 보급형 3G을 원하게 될 것이고, 특히 농촌쪽에서는 값싼 3G휴대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샨자이는 사실 이제 더 이상 짝퉁이라고 부르지 못할 지도 모른다. 물론 샨자이 회사중에서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하는 회사들도 많이 있지만, 이제는 하나의 벤쳐기업들이라고 불러주어야되지 않을까도 생각해 본다. 그들은 자신들의 상상력을 그대로 휴대폰에 접목하여, 새롭고 개성적인 휴대폰들을 생각하고 있다. 한국의 휴대폰 시장이 이미 강자들로 점령당해있는 상태라는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부럽기까지 하다.


한 중 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 4점
이문기 외 지음/동북아역사재단


일단 해당 책은 작가들 스스로도 책머리를 통하여서 말하였지만, 상당히 실망스럽다는 말을 우선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는 한국학계에서 아직 해양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연구성과 역시 거의 없다고 막말을 해도 상관이 없을 정도로 황폐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의 시각에서 보면, 북방으로 "요동"과 남방으로 "동아시아해"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하게 교류와 교역이 이루어졌던 공간이었다. 북방의 "요동"은 한족의 중국과 몽골-만주 그리고 한반도등이 정치-경제-문화적으로 관계를 맺어왔던 공간이었다. 한편 남방의 "동아시아해"에서는 중국-일본-유구-동남아시아 제국과 한국이 활발하게 교류하였고, 16세기 이후에는 포르투칼-스페인 등 유럽 각국이 참여하면서 세계사적으로 비중이 높은 교류의 공간이 되었다.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새삼스럽게 북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도 집중되고 있지만,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또 하나의 중요한 공간인 "동아시아해"에 대한 사회적-학문적 관심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하짐나 북방의 요동과 남방의 동아시해, 즉 대륙과 해양에서 전개된 교류의 역사를 정합적으로 이해하지 않고서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전체상을 그린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 한중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P9~10


몇가지 이해가 안되는 점에 대해서 말해보면, 한국에서 해양사쪽으로 본인이 알고 있을 정도로 유명한 분이 "윤명철"교수님인데, 정작 이 분이 이 책의 필자 명단에서 빠진 이유에 대해서는 조금 이해할 수 없다. 집필자 명단이 모두 경북대교수로만 이루어진 점도 같은 이유로 심히 곤혹스럽다. 이러한 새로운 키워드에 대한 토론은 어디까지나 일정한 범위와 폭을 가지고 진행되어야되는데, 어디까지나 경북대 자체내에서만으로 정리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이책은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라는 점을 생각하면, 필진명단의 선정이나 심사부분에서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책머리에

1 9세기 신라의 해양을 통한 국제교류와 통제 / 이문기
1. 머리말
2. 9세기 신라의 국제교류 활성화의 시대적 배경
3. 해양을 통한 국제교류의 제 양상
4. 맺음말

2 고려시대의 대외교섭과 해방 / 장동익
1. 머리말
2. 중원과의 교섭과 황해. 동중국해
3. 일본과의 교섭과 남해. 동해
4. 고려시대의 해방
5. 맺음말

3 조선 후기 해금정책의 내용과 성격 / 우인수
1. 머리말
2.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해금
3. 해금의 실제와 해금정책
4. 해금의 성격과 변화
5. 맺음말

4 청조 해금정책의 성격 / 홍성구
1. 머리말
2. 송 이후 해양통제정책의 추이
3. 청 초 해금의 목적
4. 강희 23년 이후 해금의 목적
5. 해금정책을 둘러싼 논쟁
6. 맺음말

5 '진사'와 '위사' - 무로마치 막부의 정권체제와 조선왕조의 통교 통제 / 이에나가 쥰지
1. 머리말 : 조선왕조의 통교 질서와 '위사' 문제
2. '진정한 막부사절'의 주변사정
3. '위사' 파견에 있어서 중앙정계와 해협역 지역세력의 연관
4. 맺음말


지난번에 소개해드렸던대로([중국이야기/중국 이슈] - 유물 도둑 프랑스에 분노 중인 중국) 중국 원명원의 12지신의 석상중에서 쥐와 토끼의 동상이 프랑스 경매에서 팔렸습니다. 구매가격은 각각 1400만 유로로서, 한국돈으로는 270억원에 이르는 거액에 판매되었습니다. 해당 가격을 부른 사람은 어디까지나 전화를 통해서 거래를 하였기에 누구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중국이 개혁개방 이후 부를 축적했던 것을 생각한다면, 중국측 인사가 해당 동상들을 가져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중국원명원 관리소는 "분명히 역사적으로 침탈당한 문물을 해외에서 경매를 하는 것 자체를 반대한다" 그 뿐만이 아니라 " 이런 문물을 구매의 방식으로 가지고 오는 것도 반대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개인적으로 그나마 해당 동상은 경매라도 나왔으니 중국의 부로 지를 수나 있지. 직지심경이 반환되는 것은 요원한 일로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언제든지 전쟁이 날 수 있는 한반도의 상황에서 차라리 잘 된일로 생각되는 점도 분명히 있다.

중국 반응은 말해서 무엇하랴. 동아일보가 언급한 한국 명동 상인들이 "도둑질 금지(禁止偸盜)’라고 써 놓아서 반한감정이 쎄지고 있다는 재~미있는 이야기와는 다르게 진정으로 강력한 반응을 보이면서 감정을 발산 중에 있다.

(개인적으로 동아일보의 해당 뉴스는 어디까지나 조그마한 일을 크게 만든 것이다. 최근 중국 내에서 중국인의 질서의식(素质)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편인 상황에서 이런 뉴스는 오히려 반한이 아니라 스스로를 반성하는 계기가 된다. 실제로 본인도 "상인들이 미쳤다고 아무 이유없이 고객을 불쾌하게 하겠어?"라는 덧글을 많이 보았다. 물론 소수의 극도의 반한사람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사람이야 한국에도 많잖아? 극도의 반중)

본인의 학술적인 쪽에서는 돈황문서가 문제가 많이 되기는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환요구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왜냐하면 일단은 정식적인 계약과 탐사로 해외로 반출된 케이스이기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원명원 동상은 분명한 침탈행위이니 본인이 생각해도 왠만하면 반환하는게 좋을듯 싶다. 안 그래도 프랑스와 중국간의 관계가 안 좋은 마당에 말이다 -_-;;



추가 : 해당 동상의 구매자가 당 경매업체인 Christie’s의 현대예술과 인상자작가 전문가인 Thomas Seydoux라고 미국의 BloombergL.P.가 보도하였다. 이로 인하여 안 그래도 Christie’s 에 대한 중국 정부의 압박이 강하였는데...더더욱 강력해 질 것으로 보인다.

추가 : 한 중국 블로거에 의하면, Thomas Seydoux은 어디까지나 대리인이고, 실제 구매자가 누구인지는 모른다고 합니다. (http://finance.sina.com.cn/g/20090227/02202698222.shtml)

직권상정 미디어법 핵심 법안과 내용[연합뉴스]
MB 취임 1주년, 언론법 기습 상정 [미디어오늘]
미디어법 기습상정에 '유·무효' 논란 가열 [CBS노컷뉴스]
'뉴스데스크' 앵커 코멘트, 중징계 받나 [미디어오늘]

그만님의 상식이 엎어진 대한민국, 언론법 직권상정

에헤라 디야~ 언론법 기습상정이로구나~
에헤라 디야~ 나라꼴 잘 돌아간다~~

본인 노무현 전 대통령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의 이 말이 왜 이렇게 그리울까? 정말 "상식이 통하는 나라"에서 살고 싶다. 이렇게 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은 한국도 닌텐도를 만들자고 하고, 홍보 블로그에서는 닌텐도를 만들 수 있다고? 게임을 비롯한 3차산업이 얼마나 많은 "창조력"이 필요한 것인지 알까? 그리고 창조력은 속박 없는 "자유"에서 나온다는 것도 알까?

아! 자유롭기는 하구나. 민주주의 절차고 머고, 그냥 막가라 정신?! 역시 "방종"과 "자유"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를 굳이 해야되는건가?! 무엇보다 이번 막무가네 상정으로 인하여, 다른 법안 처리가 정지될 것임은 한나라당 국회의원들도 분명히 알 것이다! 경제 법안에 최선을 다하신다면서요. 심히 모순되지 않으시옵나이까? 왜? 민주당 의원들이 찌질대서 통과 못시켰다고 하시게요?

긴 말을 해야 무엇하리오. 나라 꼴 잘 돌아간다~
1주년 기념으로 아주 현.명.한. 판단을 하시었구먼~


본인 언론법 자체에도 반대하지만, 이런 기습상정은 더더욱 반대한다. 언론법은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인 다수결에 따라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다른 기본원칙인 절차와 "소통"이 없는 이러한 폭력행위에 대해서는 무조건 반대한다.
 

본인 욕이 튀어나오는 것을 겨우겨우 참아내었다. 제발 내 입에서 욕이 튀어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아. 욕 튀어나오면 사이버모독죄로 잡아가겠구나. 거기에 난 아직 군대도 안갔네? 오호~ 그렇다면?! 옛날의 삼청교육대가 부활한다면 끌려가겠네~ 우후우후....후....제발 본인이 어디까지나 독설 수준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해주었으면 한다. 욕 하기 싫다.

이세돌이 제 2국에서도 패배함으로 LG배는 구리가 가져가게 되었다. 일단 기력은 싸울 수 있는 수준도 되지 않는 초보바둑애호가로서 이제 좀 재미있어지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솔직히 그 동안 한국바둑계가 실질적으로 세계를 완전 점령함으로서 얼마나 재미없었는가?! 몇 년전부터 들은 이야기가 "한국이 바둑대회 우승해도 기사에 낼 필요가 없다. 당연한거니까"라는 말을 들었으니 말이다.

한국은 이번 일을 반갑게 받아들여야된다고 본다. 서로 경쟁하면서 발전하게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인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는다면 마치 중국장기나 한국장기처럼 자신들만의 틀 속에서 세계로 뻗어나가지 못하게 된다. 패배를 즐겁게 받아들이고, 새로운 경쟁자를 맞이하는 것이다.


각설하고!
중국의 반응은 참 다양하다. 일단 인기있는 덧글들은 대부분 이세돌이 "너무 무리한거 아닌가?" "그렇게까지 몰아붙일 필요 없이 그냥 마감해도 될 것 아니었나?"라는 소리가 대부분이다. 물론 대부분이 이번 구리의 승리를 기뻐하고 있다. 단지 구리의 실력이 세계 1위가 되었냐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의심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시나에서는 이번에 인터넷 투표를 하나 하고 있다.

구리는 이미 세계 1위인가?!
총 참여자 12000명인 상태에서 42.0%가 "아니다, 이세돌과의 경쟁은 아직 오랜 시간 계속될 것이다"에 투표를 했고, 28.9%가 구리가 세계대회1위를 차지한 횟수는 이세돌보다 적지만, 실력은 이미 이세돌을 넘었다라는 의견이었다. 14.6%가 세계 1위이지만, 이세돌이 아직 바짝 추적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고, 10.1%가 아직 기다려봐야된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4.4%가 아직 이세돌이 1위라고 말하고 있다.

주소 : http://sports.sina.com.cn/go/2009-02-25/14494238446.shtml

우리는 이 투표가 구리가 승리한 날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된다. 한마디로 일정정도 격동된 마음으로 투표를 한 것이다. 그런데도 대다수가 구리는 아직 세계 1위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 한국의 바둑계는 천하무적이라고 해도 될 것이다. 진정한 실력은 라이벌이 인정하는 실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은 프로기전들의 시스템이 잘 되어있고, 많은 차세대 주자들이 한국유학을 비롯하여 다양한 루트로 기력을 높이는 상황이다. 그리고 본인은 이를 매우 즐겁게 받아들인다. 원래 막상막하여야 재미있는 거다 -_-!

단지...본인의 바둑수준은 겨우 돌만 올려놓을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바둑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에게 단지...단지!! 한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같이 바둑 두자는 제의는 쫌...ㅠㅠ 한국인이라고 바둑 다 잘두는 건 아니라고!!!! ㅠㅠ

그나저나 세월 참 빠르구나...세돌군?!이 이제 노땅이 되어가네...--;; 창호횽?!....흑..ㅠㅠ


书名:
民族志:步步深入
图书编号:2246829
出版社:重庆大学
定价:25.0
ISBN:756243996
作者:(美)大卫·费特曼 著,龚建华 译
出版日期:
版次:
开本:25cm

简介:
民族志不是闲暇一日的丛林漫游,而是在社会交往的复杂世界的探索之旅。本书介绍了此类旅行中的一条道路,目的是让其他研究者享受他们的旅行并抵达目的地。
  本书如同一次旅行见闻讲座,它标示并探讨了每个民族志学者即将面临的主要界标。
  这本书对于初学者而言是有用的指南,于经验丰富的民族志学者而言则是令人愉快的知识更新。
   这一版本让我们进入了一个新的领域一一网络。网络是民族志学者可以利用的最丰富的资源之一。该版本提供了关于利用网络资源的方法,包括搜索主题或网页、 搜集人口普查资料、利用”聊天”和视频软件进行访谈、与同事通过网络及在线杂志辩论观点,以及下载有用的资料和分析软件等。这些都正在迅速成为当下民族志 学者不可或缺的工具。

평 : 어디까지나 개론서이다. 개론서로서 정말 충실하게 작성되어있다. 특히 컴퓨터를 비롯한 새로운 도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을 하지만...원래 글이 1998년에나 쓰여진 글이라는 점에서 하루면 달라지는 아주 낙후된 컴퓨터 기술적 방법이 적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인류학의 기본적인 개론서로 아주 좋다....하지만! 난 대학교부터 인류학 수업만 몇 개를 들었는데!!! 크어어어!!! 참고서적에 있다고 내용도 안보고 일단 지른 내가 잘못이다!!! ㅠㅠ

目录:
1 概览
 问题
 基础研究或应用研究的定位
 理论
 研究设计:田野作业
 正式分析
 民族志
 本书安排
2 依着节奏行进:人类学概念
 文化
 整体论视角
 情境化
 主位观及多重现实
 客位观
 价值无涉的取向
 文化间和文化内的多样性
 结构和功能
 象征和仪式
 微观与宏观的研究
 操作主义
3 荒野中的指南:方法和技术
 田野作业
 选择及取样
 进入
 参与观察
 访谈
 清单及表格
 调查问卷
 投射技术
 其他的导引手段
 不打扰人的方式
4 加快步伐:民族志装备
 笔和纸
 录音机
 照相机
 录像带
 电影
 电脑:手提式和台式
 因特网
 数据采集软件
 虚拟办公室和文件共享
 数据库软件
 打印机和扬声器
5 走出森林之路:分析
 思考
 多方检测
 模式
 关键事件
 地图
 流程图
 组织机构图
 网络图
 内容分析
 统计
 结晶化
6 记录奇迹:写作
 研究计划
 田野笔记
 田野笔记的组织
 备忘录
 中期报告
 最终报告、论文和书籍
 深描和逐字引用
 民族志现在时
 民族志在场
 民族志研究的信息报告
 文学作品
 校订和编辑
7 轻轻地走过荒野:道德
 民族志学者的角色
 学术型的和应用型的民族志研究
 研究的生命周期
 结论
人名英汉对照表
参考文献
최근 중국에서 두오마오마오(躲猫猫)사건([중국이야기/중국 이슈] - 술래잡기가 살인게임으로 변모한 중국 - 네티즌조사위원회))과 같은 죄수들의 인권상황에 대한 문제가 화제가 됨에 따라서, 죄수들의 일상 생활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죄수들이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벌을 받아야됨은 당연한 일입니다. 문제는 죄수들에게 단순히 "처벌"만을 강요하며, 교도소의 이름의 원래 뜻인 "교육"의 측면을 강과한다면, 다시 말해서 감옥에 들어온 죄수가 새로운 삶을 살지 못하고 오히려 경범으로 들어왔다가 중범죄자의 기술?!들을 배워서 나가는 사태에 대해서는 분명히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죄는 미워하지만,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엉터리 말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닙니다. 단지 어차피 죽여버리지 않을 거, 세금으로 그들을 먹이고 살린다면! 다시는 사회에 문제가 되지 않게 "교육" 시켜야 된다는 것입니다.



한겨레에서  ‘08헌장’ 대처…둘로 쪼개진 중 지도부 라는 기사의 신문을 내보냈다. 이 기사에 대해서 비판을 좀 해야될듯 하다. 한겨레의 성향이 진보계열이라는 것은 알지만, 정확한 상황판단 위에 진보적인 생각을 해야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겨레는 해당 기사를 통해서 " 학자와 변호사, 저술가 등 303명의 지식인들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08헌장은 최근 10년 사이에 제기된 정치 개혁 요구 가운데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인터넷 서명운동에 지금까지 8500여명이 동참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헌장에서 공산당 일당독재는 비극을 가져다줄 뿐이라며, 언론의 자유 보장과 직접선거제 도입 등을 요구했다."라고 적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08헌장 외에도 중국에서는 상당히 많은 다른 주장들이나 요구들이 있었고, 더욱 큰 반응이 있었던 것도 본인 기억에 2~3개는 된다. 예를 들어서 본인도 올렸던 민주계열 정당의 논지라던지 하는 것 말이다.

또한 서명운동으로 지금까지 8500여명이 동참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하지만, 본인이 알기로 3차까지 1000명도 안되는 인원이었다. 또한 한국에서도 인터넷 서명이 만명도 안되는 것을 크게 보지 않는 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정도는 별 영향력도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08헌장 자체가 개념적일뿐 실질적인 내용도 없고, 내부 논리 자체도 충돌하는 웃기지도 않는 내용이다.

사실 이 이야기는 과거 [중국이야기/중국 시사] - 중국의 08인권헌장은 없다. - 한겨레의 오도?을 통해서 과거에도 한번 비판을 했는데 또 동일한 이야기가 나온다. 개인적으로 베이징 특파원이시라는 유강문씨를 만나서 진지하게 이야기 해보고 싶다. 대체 어떤 근거로 이번 08헌장이 성공적?! 혹은 영향력?!이 있었다고 생각하는지 말이다.

"진정 영향력이 있는 일은 최소한 남방주말과 같은 진보계열의 메이져매체, 아니! 인민일보와 같은 중국정부의 관방신문도 언급을 할 정도가 되어야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단지 과대포장밖에 되지 않는다고 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