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15일 이관구워지(易观国际 Analysys International의 발표에 의하면 2010년 3분기 중국 모바일 IM(메신져)시장의 누계 사용자수는 4.375억명에 달하여 연계지수성장률이 4.97%으로 발전속도가 저하되고 있다.

2009년 3분- 2010년 3분기 중국모바일IM 누적사용수
파란색은 누적사용자수(단위 : 억명) 노란색은 연계지수성장률


이관구워지는 중국의 모바일IM 사용자수는 이미 폭발적인 성장시기를 지나서 안정적인 성장기로 접어들었으며, 이후로는 5%미만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그리고 모바일IM 활동사용자수도 2010년 3분기에 2.196억명으로 연계시주 성장률이 8.9%에 달하였다.

2009년 3분- 2010년 3분기 중국모바일IM 활동사용수
파란색은 활동사용자수(단위 : 억명) 노란색은 연계지수성장률


바로바로의 중얼중얼 : 위의 수치들은 중국의 모바일 IM 시장이 이미 안정기에 들어섰으며, 시장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부터 중국모바일 IM 시장의 관건은 빠른 신규사용자 확보가 아닌 어느 IM이 보다 더 뛰어난 기능과 환경으로 사용자들을 끌어모을 수 있느냐로 전환되었다.



2010년 11월 15일 "중국 갑부작가 순위"가 발표되었다. "중국 갑부작가 순위"는 우화이야오(吴怀尧)가 2006년부터 매년 중국대륙에서의 판세수익을 근거로 상위 25명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작가 이름 옆에 구체적인 판세액수가까지 기입이 되어 있다.



"중국갑부작가순위"는 중국출판계의 흐름을 잘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올해는 특히 "중국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번 작가순위"을 처음부로 발표하였고, 해리포터의 작가 조앤.K.롤링이 총 9550만위엔을 벌어간 것으로 알려져서 화제가 되고 있다.

2010년 1위를 차지한 양홍잉杨红樱은 아동소설작가로서 1위를 차지하는 영애를 누렸다. 꾸워찡밍郭敬明은 80년대생들을 대표하는 작가 중에 하나로 여전한 인기를 누렸으며, 쩡위엔지에郑渊洁는 양홍잉과 같은 아동소설작가였다.

중국 시장으로 한국 출판물을 수출할 생각이 있는 분들은 아동계열을 노려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중국의 저작권문제가 아무리 어지럽다고 하더라도 자식을 위해서라면 좋은 것을 사주려는 마음을 잘 활용하면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듯 싶다.


역대 순위 보기 :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중국어번체 등 5개 언어가 지원되는 아이투어서울(i Tour Seoul)의 ‘온라인 공연·영화 예매서비스'가 지난 4월 발표되었다.

http://www.visitseoul.net/

그러나 지금까지 총 예약건수가 고작 1840건에 불과하였고, 10월에도 고작 1600건 정도였을 뿐이다. 분명히 외국어를 지원하는 공연·영화 예매사이트가 없어서 그 동안 외국인들은 지인이나 구매대행 싸이트를 이용하는 불편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실패에 가까운 성과로 보인다.

한눈에 봐도 화.려.한. 디자인. 그러나 편.안.한. 디자인은 결코 아니다.



1) 다국어를 어디서 지원하나요?
이 싸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다국어 지원이다. 그런데 정작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대체 어디서 다국어로 전환을 해야될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실제로는 오른쪽 상단에 언어를 변환할 수 있는 모드가 있긴 하지만 주변의 디자인과 섞여서 잘 인지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 UI 디자인의 실패라고 할 수 있다.


2) 여전한 IE 짝사랑
이 싸이트는 그 동안 한국의 홈페이지 개발시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 "IE 인터넷익스플로우만을 지원"하는 IE짝사랑에서는 벗어난듯 보인다. 그러나 파이어폭스에서 사용을 해보면 "인증서"를 받지 못하여 보안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제부분은 아예 이야기도 하지 않겠다.


3) 로딩에 한시간을 보내라고?!
해당 싸이트는 한국에서는 빠른 속도로 쾌적하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싸이트를 중국에서 본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너무나 느린 속도 때문에 제대로 서핑을 할 수도 없다.

그 밖의 현지화에 대한 고민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수 많은 부분들이 내재되어 있다. 현재 중국대륙에서는 트위터에 접속하지 못한다. 그런데 회원가입시 당당하게 트위터 주소를 입력하라는 칸을 만들어 놓은 것은 놀리는 건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컨텐츠인데, 단순히 번역한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단순히 번역한 내용은 외국인 여행자들에게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외국인 여행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보다 직접적이고 특화되어 있는 정보인 것이다. 중국관광객을 인사동에 백날 데려가봤자 중국과의 차이를 느끼기는 매우 어렵다. 중국인 관광객들에게는 그에 적합한 관광지를 생각해야 되는데, 이 싸이트에는 그런 고민이 부족해보인다.


4) 실명제는 필요 없는건가?
한국정부정책에 따라서 한국에서는 실명제가 확실하게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실명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가능성이 높을 뿐더러 보안상의 문제가 있기에 해외 국가들은 실명제를 실행하는 것은 사실상 포기하고 있다. 심지어 인터넷 통제국가로 악명이 높은 중국도 꿈만 꾸는 것이 실명제이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실명제야 말로 인터넷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될 일이라면서 실명제를 강력하게 주장해왔다.

그러나 해당 싸이트에서는 정작 실명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서울시의 정부에 대한 반격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정부의 일부분인 서울시가 결국 "정의"에 굴복한 것을 의미하는가? 그 선택은 여러분 스스로 내려야 될 것으로 보인다.


본인도 해외 친구들의 한국표 예약을 몇 번이나 도와준 적이 있어서 이런 싸이트의 탄생은 매우 반기는 편이며, 이런 시도에 대해서는 열광의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한국방식"만을 고집하는 아집으로는 해외의 주목을 받을 수 없다. 지금이라도 제대로 된 "현지화"에 고민을 하였으면 한다.

1. 2009년 중국 인터넷메신져 시장개론
i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 중국의 인터넷메신져 사용자 규모는 2.8억명으로서 동기대비 27.3% 성장하였다. 2.8억명은 전체 네티즌의 74.6%이며, 점차 그 규모와 비율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래서 2012년에는 인터넷 메신져 사용자가 4.7억명에 달할 것이고, 전체 네티즌의 80.3%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2006-2012년 중국네티즌과 인터넷메신져사용자 규모 발전추세. 녹색:중국네티즌수(억명), 노란색:중국인터넷메신져사용자수(억명); 노란색띠:네티즌성장률; 파란색띠:인터넷메신져사용자성장률



2. 2010년 인터넷메신져시장 발전추세
2010년 인터넷 메신져 시장의 발전 키워드는 "모바일"이었다. 3G 기술의 성숙과 함께 사용자들은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타인과 소통하기를 원했다. 또한 기업들이 인터넷메신져을 업무처리에 활용하는 경향성이 증가하였다.


3. 중국인터넷메신져시장 관련데이타

2009년 인터넷메신져 시장점유율


2009년 중국인터넷메신져 점유율은 QQ가 76.2%, MSN이 6.8%, 飞信이 4.5%을 나타내고 있어서, 사실상 QQ의 독점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2010년 3분기에 발생한 텅쉰(QQ)와 360간의 싸움에서 텅쉰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한다는 증거가 포착되었고, 상당히 수준으로 피해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2010년 4분기의 시장 점유율을 기대해본다.



중국 인터넷메신져 업계의 황제 텅쉰의 2009년 수익구조를 보면, 인터넷부과서비스가 95.3억위엔으로 최대이며, 모바일 부과서비스에 19.1억위엔, 인터넷 광고수익으로 9.6위엔을 벌고 있어서 총 수익이 124.4억위엔에 달한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텅쉰 영업 규모와 성장률을 보면 총수입이 꾸준히 안정적으로 증가해온 것을 볼 수 있다.


37살의 그녀는 암말기환자. 42살 그는 암치료비를 위해 전기자전거를 훔치다가 4년형. 2010년 11월 12일 하남성의 한 감옥[각주:1]에서 그들의 결혼식이 열려서 중국네티즌들의 눈시울을 자극하고 있다.



그들의 결혼식은 원래 30여분으로 계획하고 있었으나 신부의 몸이 견디지 못하여 빠르게 끝날 수 밖에 없었다. 중국네티즌들은 이번 일만은 제발 "가짜기사"가 아니기를 빌면서 세상에 아직 살아있는 "사랑"에 눈물을 흘리고 있다. 그리고 권력층의 아들은 사람을 자동차로 치여 죽이고 3년형인데 전기자동차 하나를 훔쳐서 4년형은 너무한 것이 아니냐며 중국의 사법제도의 형평성문제를 비판하고 있다[각주:2].

  1. 河南省焦南监狱 [본문으로]
  2. 아니..무슨 레미제라블이냐고-_-;;; [본문으로]

대화는 한국 사상계의 큰 별 리영희의 살아온 한국현대사를 대담형식으로 풀어 쓴 책이다. 주변 지인으로부터 너무 짠 것이 아니냐는 말을 들었지만, 본인이 생각하는 이 책에 대한 평가는 "한번 일어볼만 하다"이다. 이런 말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의 삶은 분명 한국 현대사의 한 획을 그었지만, 현재 "우리네들"의 고민과는 이미 괴리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현대사에 대해서 의외로 잘 모르는 사람들은 한 번 읽어볼 만 하다. 다만 아래의 사항을 조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화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사회사상 > 사회사상일반
지은이 리영희 (한길사, 2005년)
상세보기


1) 자뻑과 민족의식은 노인네이기에 감수할 수 있다.
이 글의 요소요소마다 자뻑이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는 발언들이 있다. 지인의 말처럼 "노인네잖아"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노인네 특유의 자신의 일생에 대한 자뻑은 사실 리영희의 삶은 생각한다면 충분히 용납을 할 수 있는 사항일 것이다.

다만 민족에 대한 환상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의 표현대로 "글을 쓰는 나의 유일한 목적인 진실을 추구하는 오직 그것에서 시작하고 그것에서 그친다"라는 말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지 않다. 현재 민족주의는 이미 그가 그토록 싫어하는 "조작된 내용"임이 명명백백하고, 민족주의의 피해에 대해서도 명확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끝까지 민족주의와 민족의 필요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냥 민족을 벗어던지면 될 일이다.

그 외에 현실인식에서 기본적으로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아두면 독서 과정에서 혼선이 적을 것이다. 그 스스로는 은근히 부정을 하는 듯 하지만, 그의 글은 너와 나라는 명확한 이분법 속에서 진행되는 논리가 상당 수 이다.


2) 논리적 모순 - 진실을 숨기는 그의 자세.
그는 스스로 "진실"을 위해서 노력한다고 하지만, 사실 그 자신의 발언자체는 그다지 "진실"과 가깝지 않다. 오히려 자신이 마음에 드는 상대에 대해서는 그 문제점을 아예 발언하지 않음으로서 덮어버린다. 이러한 행동은 그가 "신나게" 이야기한 릴리대사의 논리적문제적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그가 어떤 나쁜점을 숨겼으며 어떤 모순을 드러냈을까? 중국쪽의 내용을 보면 그는 태평천국운동이 민중운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태평천국이 사실상 왕조체계였으며, 민주주의 체계가 아니었기에 기존과 달라진 것이 없는 단순한 반란이었다는 것은 분명히 인식하리라 생각하지만 그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아무리 중국에 대한 정보는 직접적으로 얻지 못했다고 하지만, 문화대혁명은 물론이고 그 이전부터 진행된 대약진 운동등의 피해는 아예 언급조차 없으며, 아직도 도덕적으로 사회주의가 월등이 앞선다고 판단한다. 그러면서 사회주의에서는 자본주의와 같은 도덕적타락이나 부폐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가 증명하듯이 이것은 허망한 헛소리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그는 민주주의라는 대원칙에 그다지 충실하지 않다. 제국주의에 반대한다는 자신의 원칙이 강할 뿐 민주주의에 대한 큰 뜻이 없어 보일 정도이다. 다시 말해서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고 있다고 여겨질 정도이다. 한 예를 보자. "신생 독립국가인 리비아에서 쿠데타로 서구제국주의의 괴로왕조를 전복한 카다피 육군중령은 즉시 서장제국주의 자본이 소유했던 유전의 국유화를 단행했어요. 이것은 아랍세계 인민이 결정적으로 서방 자본주의의 착취를 거부하는 몸부림이었어........국내 현실로 말미암은 질식과 절망의 상태에서 해방되는 것과 같은 기쁨을 느꼇어."

그는 자본주의이든 사회주의이든 민주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쿠데타는 그 원칙을 위반하는 행동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모르고 있는가? 그 자신이 그렇게 쿠데타의 피해를 받은 입장에서? 이런 자신의 주장을 위해서 정작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망각하는 발언이 있기에 그의 책은 매우 조심스럽게 읽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 자신의 말과는 달리 진실을 왜곡하고 있으며, 객관성이 떨어지는 내용들이 있기에 그의 말이 무조건 맞다고 생각해서는 절대 안된다.

사실 그는 이런 스스로의 논리적 모순에 대해서 변명 아닌 변명을 하고 있다. 그는 "반면교사적 효용과 의의를 중요시"하기 위해서 상대방의 장점만을 부곽시켰다고 은유적으로 밝히고 있다. 여기서 그에게 반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신이 생각하는 진실이라는 것은 자기가 말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 "일부분을 고의적으로 숨기는 행위"도 충분히 용남기 가능한 진실인 것인가? 그렇다면 당신이 과격우익들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 있는가? 그네들이나 당신이나 똑같이 진실을 왜곡시켰다.


3) 불쌍하기까지 한 "지금 사람들은 "
그의 발언에서 상당히 많이 나오는 것이 바로 "지금 사람들은"이라는 말이다. 단순히 지나갈 수도 있는 말이지만, 본인은 이곳에서 리영희씨의 한계가 있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그가 태어나고 자란 시대는 지금과는 다른 시기였다. 그리고 지금 세대들은 그와는 분명 다른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라왔기에 그 시대와는 다른 고민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쉽게 말하면 그는 분명 과거에 대댄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그의 생각은 이미 옛 것이 되었다. 그의 삶과 삶의 태도에는 존경을 보내지만 그의 삶으로 지금 이 시대에 행동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불필요한 일이다. 사실 이런 태도는 그 뿐만이 아니라 386세대 이상에게 만연해 있는 망상이다.

본인은 현재 "어르신"들에게 가장 큰 비판을 받으며 희망 자체가 없는 사람들로 매도가 되는 "80년대"이다. 어르신들은 자신들의 투쟁을 미화하면서 "요즘 아이들"을 힘껏 비판하고는 한다. 80년대생들은 당신들과는 전혀 다른 성장배경을 가지고 있다. 물론 그대들이 만들어 준 물질적인 바탕에는 감사의 표시를 한다. 그러나 당신들 스스로가 망쳐놓은 정신적인 공백의 책임을 우리에게 전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이가 없을 정도이다.

예를 들면, 그 당시에는 분명한 "적"이 존재하였다. 민주화라는 명확한 목표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그대들은 학업을 포기하고 적에 대항하여 목표로 나아갔다. 그 결과 한국은 지금의 민주화를 이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분명 감사를 보낸다.

그런데 현재는 적 자체가 모호해졌으며, 이런 상황을 만든 것이 다름이 아닌 당신네 들이라는 것은 인식하고 있는가? 무슨 소리냐고? 현재 이명박 대통령의 오른팔로 불리는 이재오 의원이 학생운동가였다는 것을 우리 세대가 모를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그 외의 수 많은 소위 "민주투사"들이 지금 어느 당에서 어느 주장을 하고 있는지 우리 세대가 모를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스스로가 벌려놓은 난장판과 사상적 혼란의 책임을 우리 세대에 돌리면 어쩌란 것인가? 우리가 보고 배우고 혼란에 빠져들게 한 책임은 과연 누구에게 있는가? 그대들은 화려했다. 그러나 그 화려함에 따라오는 책임을 방기하지 말아주었으면 한다. 그대들은 아름다웠다. 그러나 그대들의 시대는 이제 저물고 있다.


4) 그 외.
리영희와 대담을 한 임헌영씨는 대담자로서의 중립성에 대해서 조금 더 생각해주셨으면 한다. 그 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이미 글이 많이 길어졌기에 그만 쓰도록 하겠다. 여친님이 사달라고 해서 읽게 되었는데....머..그래도 읽은 시간이 아깝지는 않은 책이었다.

아! 추가 사항 한가지만...혹시 리영희씨는 논문에 주석(각주)을 다는 것을 원래 내용에 대해서 소화가 덜 되었다거나 관례라고 생각하는가 보다. 그 시대의 논문은 주석따위는 무시였지만, 현재는 왜 주석이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보셨으면 한다. 자기 것으로 이해라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이해가 덜 되서 주석을 단다는 뉘앙스는-_-....



2010년 10월 12일 로열 핑덤(Royal Pingdom)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인터넷 속도는 최고 속도나 보급율 모두 세계 최고로 나타났다.





바로의 중얼중얼 :
1)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고 IT 강국이 아니라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인터넷 속도는 어디까지나 유용한 도구일뿐이다.

2) 미국의 인터넷 속도는 한국의 1/4에 불과하다. 하지만 세계 인터넷 시장은 사실상 미국이 잡고 있다. 아직도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는 어설픈 이유로 한국IT 만세를 부르고 싶은가?

3) 본인이 중국에서 인터넷이 느리다고 하면 한국에만 있었던 사람들은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런데 이 통계를 보라. 중국의 속도는 0.86으로 한국의 16.63에 비하여 거의 20배나 속도 차이가 나고 있다. 나...난....중국에서 힘들었어.ㅠ.ㅠ

씨아먼에서 창춘으로 가는 비행기가 이륙을 하고 비행기 기장이 안내방송을 했어. 그런데 안내방송을 한 뒤에 잊어버리고 스피커를 계속 켜 놓은 거다. 그리고는 부기장에게 큰 소리로 말했어.

"비행기가 착륙하면 새로 온 스튜어디스을 좀 꼬셔보려고."

그 스튜어디스는 이야기를 듣고 허둥지둥 복도를 뛰어가다가 넘어져 버렸어. 그러니까 옆에 있던 할머니가 조용히 그녀한테 이야기하는 거 아니겠어?!

"뭐가 그리 급하누. 착륙하면 꼬신다잖아."

厦门至长春飞机起飞后,机长向乘客讲话,讲完后忘了将话筒关上。他对副驾驶说:“等飞机降落后我想泡那个新来的空姐。”那空姐听到了,急忙从走道跑过去, 想告诉他话筒忘了关,但跑的时候不小心摔倒在走道上,旁边的一位老太太低头对她说:“不用着急,他说等飞机降落后才泡的。”

저는 이런 유니크한 경험은 없습니다. 다만 비행기 기장이 전체 마이크로 어떤 스튜어디스를 부르는 것은 들은 적이 있습니다...아! 그러고 보니 기장들의 영어발음을 들을 때마다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영어 발음따위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말이죠^^:::

남방주말[각주:1] : 중국 최대 인터넷메신져 서비스상이자 중국 최대의 게임 퍼블리셔인 텅쉰에는 수 많은 서비스가 있는데, 그 기능들은 해외의 많은 서비스와 유사합니다. 지적재산을 침범하는 문제가 없는 건가요?


텅쉰 회장 마화텅
马化腾 : 예를 들어서 MSN에는 채팅하고 있는 상대방이 채팅창에 글을 쓰면 "상대방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라고 표시를 해줍니다. 그리고 MS는 이 기능을 특허신청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할 때에는 "펜이 돌아가는 모습이 출력"되게 변화시켰습니다. 특허가 있다는 것은 그것을 만들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다른 방식으로 그것을 실현시켜야 된다는 말입니다.


南方周末:腾讯的很多产品,看到的功能都跟前行者的差不多,说没有侵犯知识产权,为什么?

马化腾:比如MSN有一个功能,聊天对象在打字时,对方会看到一个提示说你在输入,这个功能微软申请了专利。但我们做的时候,就变成了一个笔在动。有专利,并不代表你不能做这个,而是你得用另外一种方式去实现。”

출처 : 南方周末 “杀人的网络,互联网的大是大非问题”
참고 : [중국이야기/중국 IT 대해부] - 텅쉰(tencent 腾讯) 대해부

텅쉰은 중국에서도 짝퉁의 왕국으로 유명합니다. 중국네티즌들도 마화텅의 발언에 유구무언이라고 하면서, 후안무치한 것도 정도가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건 정말 탐구할 가치가 있을듯 하군요. 또한 중국의 IT는 어디까지나 중국정부의 가두리양식 덕분에 성공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시 말해서 중국정부가 무너지거나 중국IT 시장이 개방되면 버티기 어려운 곳 중에 하나가 다름이 아닌 텅쉰일 겁니다.

특히 최근에 360와 전쟁을 하면서, 상대방의 도덕성에 대해서 비판을 한 텅쉰의 회장이 이런 아름다운 정신을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할말이 없을 정도입니다. 무슨 생각으로 저런 발언을 공개적으로 저렇게도 당당하게 할까요[각주:2]?

"벤치마킹"과 "짝퉁"은 아주 조그마한 마음가짐의 차이라 생각됩니다.


텅쉰과 360와의 전쟁 :
중국정부 드디어! - 텅쉰 vs 360 7차전
어부지리의 MSN - 텅쉰 vs 360 외전
QQ을 대신할 PPMEET? - 텅쉰 vs 360 6차전
화해? 시간벌기일뿐! - 텅쉰 vs 360 5차전
치킨게임을 그만하자! - 텅쉰 vs 360 4차전
QQ을 사용하려면 360를 없애! - 텅쉰 vs 360 3차전
중국IT는 프라이버시 전쟁중! - 텅쉰vs360 2차전
QQ의 불법해킹 - 텅쉰vs360 1차전

  1. 남방주말은 중국 최대의 주간잡지로서 중국정부에 비판적인 몇 안되는 신문 중에 하나이다. [본문으로]
  2. 참고로 처음 본 것은 텅쉰회장 마화텅의 말 뿐이어서 거짓내용이 아닐까 의심했습니다. 특히 요즘 360와의 싸움으로 텅쉰 이미지가 안 좋으니까 말이지요. 그런데 출처를 찾아보니 다른 곳도 아니고 남방주말이라는 이름 있는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더군요....허허허....허허허.... [본문으로]
오바마를 바보로 만들고 한국의 국격을 떨어트린 한국기자을 고발한다. 중국기자의 자만은 분명히 비판하여야할 부분이지만, 한국기자들의 문제는 분명히 집고 넘어가야 한다.

오바마

루이청깡芮成钢


11월 12일 오바마 대통령은 G20 수뇌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리고 마지막 문제는 주최측인 한국기자에게 넘겨주려고 했다. 그 때 중국CCTV의 루이청깡芮成钢이 일어나서 "저는 중국에서 왔습니다. 제가 전 아시아를 대표해서 질문하겠습니다"라고 말한다.

오바마는 "마지막 질문은 한국 기자에게 주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히지만, 루이청깡은 끝까지 "그럼 여기 있는 한국 친구들이 저에게 그들을 대표해서 질문하게 한다면 어떻겠습니까?"라고 밝힌다. 이러한 행동은 상대방을 무시하는 행동이며 기자로서의 예의에도 어긋나는 행동이다. 그렇기에 현재 중국네티즌들은 중국의 국격을 손상시킨 루이청깡을 강도높게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오바마는 직접적으로 거부하기 어려워졌기에 한국기자들에게 질문을 할 것이 없냐고 물어본다. 이는 완곡하게 거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단 한명의 한국 기자라도 질문을 한다면 루이청깡의 입장은 매우 곤란했을 것이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단 한명의 한국기자도 질문을 하지 않는다. 오바마는 또 다시 한국기자들을 불러보지만 대답없는 메아리일 뿐이었다.대체 한국기자들은 그 순간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인가? 오바마의 의도가 명확했음에도 어찌하여 단 하나의 질문도 없단 말인가?! 한국기자들은 무슨 생각으로 오바마의 요청에 두 번이나 침묵을 지켰는가? 그 결과 중국기자가 한국기자를 대표하여 질문을 하게 되었다.

대체 어떤 대단한 기자분들이 G20이라는 중요한 회의에 참가를 해서 한국의 국격을 떨어트리는 것인지 진심으로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기자의 예의를 망각한 추행도 강력하게 비판을 해야될 일이지만, 그것 이상으로 침묵을 지킨 한국기자들에 대한 한심함에 몸을 떨 수 밖에 없다.

본인이 알지 못하는 타당한 이유가 있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전체 동영상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40초부터 위에서 말한 상황이 시작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