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어지면 근심하고, 가까워지면 고민이네

중국 고대 몇 천 년의 봉건주의 사회에서 누구나 한번이라도 황제를 뵙기를 소망하였고, 황제가 하사한 성은이 넘치기를 원하였다. 만약 황제의 곁에 있게 된다면 가문의 영광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잠시만 잘 생각해보자. 군주 곁에 있는 것은 호랑이 곁에 있는 것과 같다. 황제의 권력은 분명 강력하여 그 반사이익을 누릴수 있다면 어마어마한 권세와 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황제의 성격이 거지 같기 마련이기에 조금이라도 성격을 건드리면 큰일이 나고 만다.


그래서 황제와 자주 대면을 해야되는 사람들에게 "황제접대학"은 고위험 고수익의 필수과목이었다. 만약 황제를 잘 접대한다면 부귀영화가 굴러들어오게 되지만, 조금의 잘못이라도 있게 되면 목숨이 날아가기 마련이다. 부귀영화와 목숨이 달린 일인데 어찌 열심히 배우지 않을 수 있겠는가?!



보통 황제와 멀어지면 나쁘고, 가까우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도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이는 황제와 멀었을 때는 대접을 받아놓고서는 정작 황제의 곁으로 와서는 화를 당하고는 한다. 정말이냐고? 정말이다. 



예를 들어서 서한(西漢)의 가의(賈誼)는 능력이 출중한 인재였다. 그가 작성한 과진론(過秦論)은 그가 죽은 뒤에도 몇 십년간이나 정치-군사 형세를 좌지우지하였다. 물론 당시의 황제인 한무제(漢武帝)도 매일 매일 가의를 자신의 곁으로 데리고 오고 싶어하였다. 그러나 가의가 매번 황제를 볼 때마다 승진은 고사하고 병신꼴이 되어갔다. 한번은 어렵게 밤의 객잔에서 둘 만의 자리를 가지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황제는 그에게 귀신이야기나 들려달라고 했으니 말이다. 답답해서 미칠 노릇이었을 것이다.



남북조시대의 북제(北齊)인 이덕림(李德林)도 괜찮은 예시가 될 것인다. 그는 문재가 뛰어날 뿐만이 아니라 군사적 재능도 있었다. 처음 북제(北齊)에서 관리를 하고 있을 때 훗날 중국을 통일한 당시 북주(北周)의 대신 양견(楊堅)은 언제나 그를 칭찬하면서 자신의 품으로 오기를 갈망하였다. 결국 이덕림은 양견의 수하로 들어오게 되고 천하를 통일하는데 크게 이바지 하게 된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양견은 천하가 통일이 되면 이덕림을 후대할 것이라고 공언 하여 천하의 부러움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덕림은 양견을 모시는 10년동안 월급은 한푼도 오르지 않았을 뿐만이 아니라, 결국에는 "공무원의 상업금지"이라는 명목으로 쫓겨나게 된다.



사실 그들도 나름 재수가 좋은 편이라고 해야될 것이다.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기 전에 자신은 한비자(韓非子)을 신하로 둘 수 있는 그릇이 아니라고 할 정도였다. 그러나 진시황은 한비자를 발탁하고서는 결국 옥에 가두고 죽여버렸다. 


황제를 제대로 접대하지 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상사를 잘 모시지 못해도 직장을 잃을 뿐이니 다행이라고 해야될까?



황제는 천하제일의 의심광일 뿐만이 아니라 자기만 아는 녀석이다. 무엇보다 천하에서 가장 탐욕스러운 인간이다. 어떤 물건이든 모두 그의 것이어야만 한다. 인재도 결코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가의나 한비자 혹은 이덕림 역시 자신의 품에 있지 않을 때에는 그들을 차지하기를 갈망했다. 그러나 진짜 그들을 가지게 되면 의심병이 발동한다. 우선 "저녀석이 그렇게 잘났으면 난 먼데?"라는 질투심이 생겨난다. 그 다음으로 "저 녀석의 잘난 능력으로 지금은 나를 도와줄 수는 있지만, 결국 나를 해치려는 거 아냐?"라고 하는 두려움이 생겨난다.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된 황제 아래서 아무리 뛰어난 인재든 살아남기 힘들다.


소동포(蘇東坡)는 가의가 주발(周勃)이 천평(陳平)과 같은 다른 공신들과 친하지 못해서 권력싸움에서 소외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말은 틀렸다. 만약 황제의 마음에 일말의 틈이 없었다면 어떤 신하가 뭐라고 지껄이든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무엇보다 주발 역시 한무제의 눈 밖에 나서 옥에 갇히기도 하였으니 말이다. 오히려 가의가 주발과 친한 사이였다면 더욱 큰 일이 나고 말았을 것이다. 황제의 입장에서는 "능력 있는 것들끼리 뭔 짓을 하려고 하려고 그렇게 친한데!!!"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 황제접대의 좋은 예인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살펴보자. 사마상여 역시 처음에는 이덕림과 같은 처지였다. 발탁이 되기 전에는 황제가 직접 "왜 나에게는 이런 인재가 없느냐?"라고 해놓고 정작 정식으로 임용이 되자 대접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자 사마상여는 직접 지방관리직을 신청하여 황제와 멀어진 뒤에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고서는 다시 중앙으로 불려와서는 황제에게 태산에 가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큰 일을 건의해서 한무제(漢武帝)의 마음을 뒤 흔들어 놓는다. 그리고서는 빠르게 퇴직신청을 해서 자신의 집에서 떵떵거리고 산다.


이것이 바로 "멀어지면 근심하고, 가까워지면 고민이네"라는 원리이다. 사실 다 쓸데 없는 소리일수도 있다. 어떻게 황제의 의심을 받지 않느냐가 처세의 핵심이다!


본 글에 관련된 내용은 역사에서 처세술을 배운다 : 황제접대학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맞춤법과 번역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환영합니다. 
본 글은 한국인에 적합하도록 의역하였습니다.(퇴....고...따위...훗_-)
본 글은 출판을 위한 번역이 아니며, 오직 여러분들의 덧글로 힘을 받습니다. ^^



2012년 1월 14일  ResearchInChina의 “중국의 와인 업계 리포트(China Grape Wine Industry Report, 2012-2014)” 에 따르면 중국의 와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2011년간 연평균 16.5%의 성장을 지속했고, 2011년 생산량은 11억 5,690만 리터에 달했다.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 증가하면서 중국 와인 업계의 영업이익은 비약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2006-2011년 5년간의 영업이익은 연간 24.3% 성장해 2011년에는 384억 6,000만 위안에 달했다.  특히 2011년 중국의 와인 소비량은 1인당 1.06리터를 기록했고, 도시화 가속, 가처분소득 증가, 새로운 가구의 소비 기대 때문에 앞으로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중국의 와인 시장의 경우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되는 와인이 명성에서는 아직 프랑스나 미국에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지만, 그 질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에 해외산 와인을 이용한 중국와인시장 진출은 큰 시장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초고급 와인 시장은 해외업체가 도전해볼만하다고 생각된다.


2013년 1월 15일, CNNIC (중국인터넷데이타센타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는 2012년 12월 31일까지의 중국인터넷데이타를 정리한 <제 31차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서 第31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을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12월 31일까지 중국네티즌 수는 5.64억으로 사용자숫자 증가속도가 느려지고 있으며, 인터넷 보급율도 42.1%에 머물렀다.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의 대다수가 컴맹이거나 나이가 많은 이유로 인터넷에 대한 접근 자체를 거부하고 있기에 중국의 인터넷 보급율은 이제 느린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하여 휴대폰네티즌은 4.20억으로 휴대폰 사용자 중 인터넷 사용자가 작년의 69.3%에 비하여 74.5%로 급등하였다. 하지만 본 보고서가 말하는 휴대폰네티즌은 피쳐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에 스마트폰 사용자는 1억명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네티즌들은 아직까지 70.6%가 데스트탑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지만, 점차 노트북을 통한 접속이 늘어나고 있으며, PC방이 아닌 집에서의 접속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마이크로블로그 사용자수가 3.09억명으로 전체 네티즌의 54.7%가 사용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휴대폰을 통한 마이크로 블로그 사용자 수가 2.02억명으로 전체의 65.6%을 차지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몇몇 파워블로거를 제외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점차 블로그를 이탈하는 추세이다. 

인터넷상거래는 지속적인 급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12년 12월까지 2.42억명이 사용하여서 전체 네티즌의 42.9%가 인터넷상거래를 사용하였고, 이 수치는 2011년에 비하여 24.8%나 증가한 수치이다. 

인터넷게임의 사용자수는 3.36억명으로 작년에 비하여 1142만명이 줄어들었고, 하루 평균 사용시간도 12분 20초에서 8분 38초로 격감추세이다. 비록 휴대폰게임과 웹페이지 게임이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비슷한 컨텐츠에 질린 사용자들의 이탈 현상으로 보여지고 있다.  

* 과연 제가 전문을 번역할 것인가?!....너무 많아...귀찮아......할까? 말까? 얼마나 많은 분이 원하는지 보고 번역여부를 결정하겠습니다. 그냥 제가 스윽 보면 10분이면 되는데...번역을 하면.....양이 양인지라 2~3시간이 소요될 번역입니다. 그리고 중국어를 모르시는 분들은 위의 요약 정도로 충분하리라 생각하기에 굳이 전문을 번역해야될 필요성은 느껴지지 않는군요....무엇보다 핵심은 귀...귀찮음....


황제접대학은 어떻게 상사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것인가에 관한 학문이다. 중국은 몇 천 년동안 절대적인 황제의 지배를 받아왔고, 그 속에서 상사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예술적이라고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쌓여 있다.

어떻게 이익을 취하고 해악을 피할 것인가?
어떤 시기에 주동적으로 나설 것이고 어떤 시기에 수동적으로 피할 것인가?
어떤 때에 현명할 것이고 어떤 때에 멍청한 척 할 것인가?
어떤 것을 쟁취하고 어떤 것을 양보할 것인가?

그런데 중국 역사는 일반인들이 직접적으로 소화하기에는 규모와 깊이에 질릴 수 밖에 없다. 그런 현대인들을 위해서 황제접대학에서는 일반인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어서 이 자리를 빌어 여러분들에게 소개해볼까 한다.





목차 :
1. 들어가는 말
2. 황제접대학을 시작하며
3. 멀면 근심하고 가까우면 고민이네
4. 어떤 때는 손해가 곧 행복이다.
5. 要学会眼睛里揉沙子
6. 真的"胜棋"就麻烦了
7. 给皇帝一个偷懒的机会
8. 谁是"自己人"
9. 得给自己的脑袋找顶钢盔
10.别把皇靴供起来
11.有时候高官厚禄也能硬讨
12. 顶嘴未必就吃亏
13. 混蛋就得一直混蛋下去
14. 羊有时比狼更可怕
15. 有时候该"贪"就得"贪"
16. 泥菩萨有时砸不得
17. 有时候方术也得信
18. 没事别当偷窥狂
19. 树也不是小问题
20. 顶嘴是需要技巧的 
21. 天下有事再生事
22.  帽子太大戴着累 
23. 扯来虎皮做大旗
24. 要弄清皇帝为啥不用您
25. 应聘CEO 您可想清楚了
26. 撒娇前先照照镜子
27. 舍得孩子也未必套得住狼



작가소개 : 타오두안팡(陶短房)

본명은 타오용(陶勇)이며, 캐나다에 거주하는 대중작가이다. 과거 장기간 아프리카에 거주한 경험을 살려서 현재 종헝주간(縱橫周刊)의 아프리카 문제 연구원으로 있으며, 취미생활인 태평천국사 연구로 이름을 알렸다. 소설, 수필, 문화평론등 다양한 글을 출판하고 있다. 그는 분명 전문적인 역사 연구가는 아니다. 그렇기에 대중을 대상으로 한 간략하면서도 유익한 글을 쓰고 있다.




번역에 대한 이야기

본 글은 원문에 충실한 직역번역은 분명히 아닙니다. 제 마음대로 문장을 늘리거나 요약해놓았습니다. 하지만 그 원문의 뜻은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어디까지나 한국인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제가 생각하는 허용한도 안에서 최대한의 의역을 했습니다


중국어를 하실 수 있는 분은 从历史掌故说相处的艺术:皇帝公关学로 가셔서 원문으로 즐기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본 글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번역을 한 것이 아닙니다. 그냥 재미있는 글을 여러분들과 나누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덧글로 힘을 주지 않으시면 귀차니즘으로 번역 때려칠지 모릅니다. 자랑은 아니지만 반응 없어서 때려친 것이 좀 있습니다.(먼산)


본 내용은 원저작권은 타오두안팡에게 있으며, 상업적인 목적으로 번역할 생각이 없기에 따로 번역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추후 본 서적이 정식으로 출판이 되면 이 시리즈를 비공개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단, 번역물에 대한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 당 번역물을 가지고 가시려면 명확한 출처표기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선악은 너무나 모호한 개념이며, 자연적이지도 않다. 우리가 말하는 선악이 "인문"의 개념이며, "자연"의 선악개념과는 모순되기 때문이다.

선악을 "자연"에 기대어 생각해보자. 자연에서 선한 행위란 자연의 흐름에 따르는 것이고, 악한 행위란 자연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생명을 죽이는 것은 자연의 흐름을 역행하는 행위이므로, 선한 행위가 아닌 악한 행위라고 쉽게 착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정반대이다.

자연에서 생명을 죽이는 행위는 스스로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먹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타인에 대한 살해도 선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이 바로 그렇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자연의 입장에서의 선악은 타인에 대한 살해라는 가장 기본적인 선악에 대한 기존관념조차 붕괴시킨다. 우리는 오직 인간이 만든 "인문"의 입장에서만 반박을 할 수 있을 뿐이다. 인문학에서는 인간에 대한 살해는 악이라고 규정한다. 하지만 인간을 제외한 생물에 대한 살해는 자연스러운 행위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인문학은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인간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지점에서 인문은 자연에게 있어서 가장 자연스러운 "선'을 부정하고 자연의 흐름을 역행하는 "악"이 된다. 

문제는 인간도 자연에 포함되어있다는 점이다. 자연의 규칙이 부정되고 파괴되면 인간도 같이 파괴된다. 인간은 인간을 인간이 만든 "인문"으로 파괴하고 있는 모양이 되어버린다. 인문학은 인간에게 모든 생물의 제왕이 될 수 있는 힘을 주었다. 그러나 그 힘이 커질 수록 인간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우리는 날로 커지는 인문과 파괴되는 자연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할 것이다. 그 사이에서 조화를 찾는다는 말은 인문과 자연사이의 본질적인 모순을 보지 못한 보기 좋은 포장일 뿐이다.




니 하오!



중국사진(촬영세계) 시리즈의 사진과 글은 중국의 유명 사진잡지 촬영세계(摄影世界)의 마이크로블로그(http://weibo.com/photoworld)에 올라오는 사진들을 중국어를 모르고 중국사진계에 접근이 어려운 분들을 위하여 소개하는 차원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한중간의 저작권법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추후 본 시리즈의 어떠한 사진도 저작권상의 문제가 있다면 ddokbaro@gmail.com 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확인 후 해당 사진을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상처가 크면 클 수록 더 많은 행복을 담을 수 있다.



중국사진(촬영세계) 시리즈의 사진과 글은 중국의 유명 사진잡지 촬영세계(摄影世界)의 마이크로블로그(http://weibo.com/photoworld)에 올라오는 사진들을 중국어를 모르고 중국사진계에 접근이 어려운 분들을 위하여 소개하는 차원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한중간의 저작권법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추후 본 시리즈의 어떠한 사진도 저작권상의 문제가 있다면 ddokbaro@gmail.com 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확인 후 해당 사진을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길을 걷는 사람들과 같이 한다. 그들은 일종의 본능과 습관적인 의식으로 길을 걷는 것이 도착만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사진(촬영세계) 시리즈의 사진과 글은 중국의 유명 사진잡지 촬영세계(摄影世界)의 마이크로블로그(http://weibo.com/photoworld)에 올라오는 사진들을 중국어를 모르고 중국사진계에 접근이 어려운 분들을 위하여 소개하는 차원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한중간의 저작권법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추후 본 시리즈의 어떠한 사진도 저작권상의 문제가 있다면 ddokbaro@gmail.com 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확인 후 해당 사진을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태양만 있고 그림자는 없다면? 만약 즐거움만 있고 고통은 없다면? 그것은 인생이 아니다. 최고로 행복한 사람의 생활은 모든 것이 뒤엉킨 옷감이다.



중국사진(촬영세계) 시리즈의 사진과 글은 중국의 유명 사진잡지 촬영세계(摄影世界)의 마이크로블로그(http://weibo.com/photoworld)에 올라오는 사진들을 중국어를 모르고 중국사진계에 접근이 어려운 분들을 위하여 소개하는 차원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한중간의 저작권법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추후 본 시리즈의 어떠한 사진도 저작권상의 문제가 있다면 ddokbaro@gmail.com 로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확인 후 해당 사진을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시행되었다. 시호를 받는 대상은 황제, 제후, 임금 등의 군주와 그 조상 및 부인, 공신, 고급 관료, 기타 국가적으로 명망을 쌓은 저명한 인물이다. 

비록 대한민국은 이미 민주화가 되었고 과거와 같은 군주는 존재하지 않지만, 만약 이명박 대통령에게 시호를 올린다면 무엇으로 할 지 잠시 고민해보았다. 

이명박 대통령에게 한황왕(韓荒王)이라는 시호을 올리도록 하겠다.

한(韓)은 한국(韓國)의 한(韓)으로서 한국을 명시해주었다. 대통령은 과거로 따지면 왕(王)과 같은 존재이기에 왕의 칭호를 주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운데 있는 거칠 황(荒)이다.  

거칠 황(荒)은 시법(諡法)에 의하면 사람들이 굶어죽으며, 내외가 혼란하고, 정치에 태만하고 법도를 혼란하게 하며서 자신의 즐거움만 찾는다는 의미이다.(凶年無谷曰荒;外內從亂曰荒;好樂怠政曰荒;昏亂紀度曰荒;從樂不反曰荒;狎侮五常曰荒)

이명박 정부는 빈부격차를 더욱 벌렸을 뿐더러 물가를 크게 상승시켜 먹고 사는 문제까지 걱정하게 만들었다. 또한 대외로는 미국편향적인 정책으로 인하여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를 소원하게 하였고, 대내적으로는 국민분열을 이끌어내었다.

정치에 태만하여 이명박 정부 내내 최대의 화두는 "소통"이었으며, 아직도 의심이 다 풀리지 않은 BBK사건 및 친인척비리가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지고 있다. 이명박 정부에게는 거칠 황(荒)이 가장 어울릴 수 밖에 없다고 본다.


벌써부터 이명박 정부를 평가하는 것은 너무 조급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 현재 본인이 아무리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를 하여도 그에게 올릴 "좋은 시호"는 도무지 떠오르지 않는다.

차기 박근혜 정부는 어떤 시호를 올릴 정부가 될까?
다음 번 시호로 좋은 시호를 올릴 수 있기를 기원할 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