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30세 이전에 돈이 많으면 행복하다.
30세 이후에 돈이 많으면 더욱 행복하다.


30세 이전에 노력하면 힘들다.
30세 이후에 노력하면 더욱 힘들다.



30岁前有钱花,很快乐。30岁后有钱花,更快乐。
30岁前奋斗,很辛苦。30岁后奋斗,更辛苦。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인생은 유한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살아있는 동안 즐거우려 노력하는 것 뿐.


人生是有限的,我们所能做的只不过是,在有生之年让自己过的高兴些罢了。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고통은 혼자 견디는데 쓰는 것이다.
즐거움만이 나누는데 쓰는 것이다.

痛苦是用来独自承受的,快乐才是用来分享的。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인생은 일종의 저항할 수 없는 전진이다.


人生是一种无法抗拒的前进。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거리는 결코 두렵지 않다.
마음이 점차 멀어지는 것이 두려울 뿐이다.

距离并不可怕,可怕的是心越来越远。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만약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하나 쯤 만들지 머...


如果奇迹没有出现,那就去创造一个。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학교의 기능은
너가 하고 싶은 모든 것을 금지하는 것.


学校的职能是:你想干嘛就不让你干嘛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의 원작 저작권은 "구미호 画皮"에게 있으며, 본인은 대륙신혼뎐을 소개한다는 의도에서 해당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한국에 정식으로 출판될 경우 번역판을 비공개로 돌리도록 하겠다. 그러나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번역판은 CCC에 따라서 비상업적인 원칙으로 수정없이 출처(ddokbaro.com)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중국만화/대륙신혼뎐] - [중국만화] 대륙신혼뎐(麻辣鲜妻)은?





현재 중국 인터넷에서 돌아다니고 있는 한국욕 강좌입니다. 원본은 육상효감독의 "방가?방가!"에서 김인권씨가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장면입니다. 개인적으로 실제 생활에서는 분명 욕이 있지만, 한국어 강의 과정에서는 실제로 가르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분명히 욕은 실제로 사용되는 말이기에 고급수준에서는 가르치는게 더 합당하다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 욕은 단순한 비속어가 아니고 한 언어의 정수가 녹아들어가 있는 단어이기에, 욕의 사용을 권장하지만 않는다면 오히려 상당히 괜찮은 "문화 교재"라고 생각합니다. 무슨 소리냐고요? 화냥년이라는 말 속에만 얼마나 많은 내용이 압축되어 있는지 아신다면 분명 놀라리라 생각됩니다.(구체적인 설명은  도아 :: 슬픈 화냥년 을 참조)

개인적으로  Allthat 왕초보 중국어 어플에서 과거 제가 블로그를 통해서도 조금 소개해드렸던 중국욕 강좌의 강화한 것을 넣었지만, 심의에서 걸려서 일단 비공개로 돌려놓았습니다. 외국어에 대해서도 욕을 단순히 비속어니까 절대 알아서는 안될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는 생각이라고 여겨지는군요.

[중국유학/바로 중국어] - [Podcast] 길바닥중국어 001 操
[중국유학/바로 중국어] - [Podcast] 길바닥중국어 002 他妈的


2011년 1월 19일, CNNIC (중국인터넷데이타센타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는 2010년 12월 31일까지의 중국인터넷데이타를 정리한 <제 27차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서 第27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을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네티즌 수는 4.5억명을 돌파하여, 4.57억명에 이르렀다. 휴대폰인터넷사용자가 3.03억명에 달하여 인터넷접속 방식이 다변화 되고 있었다. 기존에 중국인터넷 발전을 이끌던 온라인게임이나 온라인동영상의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인터넷비지니스와 마이크로블로그의 약진이 눈부셨다.

원문주소 : CNNIC发布《第27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



* 아래의 내용은 원래의 보고서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발취하고, 저의 해석을 추가한 내용입니다. 원본 보고서는 아무래도 정부기관이다보니 "중국만세"라고 하거나 은근히 문제점을 숨기는 경우가 있기에 저의 해석을 추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1. 네티즌의 규모와 구조적 특성
1.1. 네티즌
1.1.1. 전체 네티즌규모

2010년 중국네티즌수는 전년도에 비하여 7330만명이 증가하여 총 4.57억명이 되어 연성장율 19.1%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갔다. 이로서 중국의 네티즌 수는 전세계 네티즌 수의 23.2%, 아시아 네티즌 수의 55.4%을 차지하게 되었다.인터넷 보급율도 전년도에 비하여 5.4%가 증가하여 34.4%에 달하였다.

CNNIC는 이러한 성장세를 정책적인 배려와 시설 투자 및 모바일인터넷과 SNS의 발전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중국정부에 등록한 싸이트수의 급감이나 중국정부의 언론통제 정책등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중국정부의 괜찮은 정책은 없었고, 오히려 성장을 방해했다고 보인다. 다만 모바일 인터넷과 SNS의 발전은 분명 눈여겨볼 사항이다.

그림1. 중국네티즌 규모와 인터넷 보급율
파란색=네티즌수(단위 : 만명); 빨간색=인터넷보급율


1.1.2. 초고속인터넷 사용규모

2010년 초고속인터넷 사용자규모는 4.5억명으로서 전체 유선인터넷사용자의 98.3%에 달하였다. 그러나 초고속인터넷은 어디까지나 모뎀보다 빠른 속도의 인터넷회선을 의미하며, 실제 접속 속도는 100.9 KB/s 정도에 머물러서, 전세계 평균 접속속도(230.4 KB/s)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림2. 중국 초고속인터넷 사용규모 (단위 : 만명)


1.1.3.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규모.

2010년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규모는 3.03억명에 달하여서 2009년에 비하여 6930만명이 증가하였다. 모바일로만 인터넷을 사용하는 규모도 4299만명으로 전체 네티즌의 9.4%에 달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규모의 증가세는 2009년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이는 2009년은 중국 3G 시장의 원년으로, 비록 3G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이통사들의 모바일인터넷에 대한 선전효과로 순사용자가 1억명이나 늘어났었다. 

그림3.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규모(단위 : 만명)


1.1.4. 중국 각 지방의 인터넷 보급율

중국의 인터넷보급율은 각 지방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다. 비교적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해안지방에서 보급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내륙지방으로 갈 수록 보급율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보급율이 높은 가장 높은 곳은 69.4%의 베이징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상하이와 광동이 각각 64.5%와 55.3%로 였다.

그림 4. 2010년 중국 각성의 인터넷 보급율
빨간색=보급율이 34.3%이상; 노란색=보급율이 34.3%~28.7%사이; 하얀색=보급율이 28.7%이하

표2. 각 성의 네티즌규모와 보급율



1.2. 접속 방식
1.2.1. 접속 기기
그림5. 인터넷 접속 기기
왼쪽부터 데스크탑; 휴대폰; 노트북


1.2.2. 접속 장소
그림6. 인터넷 접속장소
왼쪽부터 집; PC방; 회사; 학교; 공공장소


1.2.3. 접속시간
매주 평균 접속 시간은 18.3시간이였고, 매일 평균 인터넷 접속시간은 2.6시간이었다.
그림7. 매주 평균 접속시간(단위 : 시간)


1.3. 네티즌 속성
1.3.1. 성별구조
SNS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성 네티즌의 비율이 대푹 감소하였다.
그림 8 : 네티즌 성별구조
왼쪽부터 남성; 여성


1.3.2. 연령구조
10-30세의 전체점유율이 점차 하강하고 있으며, 30세 이상의 네티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10-19세의 네티즌 수의 감소는 해당 연령대의 인구감소 때문으로 보인다.
그림 9. 네티즌 연령 구조
왼쪽부터 10세이하;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이상


1.3.3. 학력구조
인터넷의 보급이 증가할 수록 네티즌의 학력수준은 날로 떨어지고 있다. 10-30세의 네티즌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기에 이런 학력수준의 저하는 중국인터넷의 질을 저하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림 10. 네티즌 학력구조
왼쪽부터 초등학교이하;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 대학교이상


1.3.4. 직업구조
학생과 회사원 및 자영업자들이 가장 범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림 11. 네티즌 직업구조
위쪽부터 기타; 무직(실직); 정년; 1차산업; 자영업; 노동자; 농민공; 기술요원; 회사원; 회사관리자; 당기관; 학생



1.3.5. 수입구조
인터넷의 보급화가 진행될 수록 점차 저소득층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 12 : 네티즌 월급 구조
위쪽부터 : 8000위엔이상; 5001-8000; 3001-5000; 2001-3000; 1501-2000; 1001-1500; 501-1000; 500위엔이상; 무수입


1.3.6. 도시-농촌 비교
그림 13 : 도시-농촌 네티즌 규모 비교








2. 인터넷 기초 자원
중국인 인터넷기본자원은 국제연결망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정부의 정책으로 인하여 해외에 싸이트를 개설하는 경우가 대폭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 전문적인 분야이기에 추세를 정리한 자료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8 : 2007-2010 중국인터넷 기초자원 지수와 추세
빨간색=기초자원지수; 노란색=IP주소지수; 녹색=도메인지수; 보라색=싸이트지수; 파란색=국제연결망지수











3. 인터넷 서비스
3.1. 전체 인터넷 서비스 사용율

2010년 중국인터넷 서비스의 3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검색 서비스가 최대의 인터넷서비스가 되었다. 기존에는 온라인 음악서비스가 항상 1위를 하고 있었으나, 중국의 인터넷이 방대해지고, 네티즌들이 인터넷에 익숙해질 수록 점차 검색엔진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2) 비니지스 영역의 사용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쇼핑, 온라인결제, 온라인은행등의 서비스는 현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 잠재력도 아직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3) 오락류의 서비스가 추락하고 있다. 온라인음악이나 온라인게임 및 온라인동영상등의 사용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CNNIC는 이에 대해서 안정기에 들어간 현상으로 풀이했지만, 본인은 비록 안정기에 들어갔지만, 저학력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기에 2011년에는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마이크로블로그와 단체구매 서비스가 돌출되었다. 2009년 중순에 트위터와 중국국산 마이크로블로그 판포우饭否가 막히면서 마이크로블로그의 성장이 둔화되는가 싶었으나, 시나新浪이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출시하면서 2010년 12월 현재 중국 마이크로블로그 사용자수는 6311만명으로 순식간에 사용율 13.8%로 상승하였다. 단체구매도 크게 인기를 얻으면서 1875만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네티즌의 4.1%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단체구매는 한때의 유행으로서 오래 가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3.2. 정보 서비스
3.2.1. 검색서비스

그림 19 : 검색서비스의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검색서비스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2.2. 온라인 뉴스서비스
그림 20. 온라인뉴스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뉴스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3. 인터넷 상거래 서비스

3.3.1. 인터넷 쇼핑
지금까지 중국인 인터넷쇼핑은 C2C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현재 점차 B2C로 옮겨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반대로 한국 대기업들이 온라인쇼핑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하지만, 소규모 업체에게는 큰 장벽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21. 온라인쇼핑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쇼핑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3.2. 단체구매 서비스
2010년 12월까지 중국의 단체구매 사용자수는 1875만명으로 현재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2010년의 단체구매 서비스의 폭발을 신랑, 소후, 텅쉰과 같은 거대 IT 기업들이 돌파구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단체구매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촉발되었다.  CNNIC는 단체구매서비스의 미래를 밝게 보고 있으나, 본인은 단체구매서비스의 폭발력은 길게 지속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3.3.3. 온라인 결제
말이 온라인결제시장이지..사실상 알리바바阿里巴巴의 즐푸바오支付宝의 천하.
그림 22. 온라인결제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결제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3.4. 인터넷 여행예약
이미 몇 년 전부터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말해지던 인터넷 여행예약 서비스는 아직도 10% 밑의 성장세를 보이면서 조용하기만 하다. 아직까지도 인터넷 여행예약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앞으로 한번의 폭발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3. 온라인 여행예약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 여행예약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4. SNS
3.4.1. 메신져
메신져 시장이라고 하지만 중국의 메신져 시장은 사실상 텅쉰腾讯의 QQ가 장악하고 있다. 현재 새로운 메신져 시장으로 입지를 넓혀가던 Skype가 중국정부의 인터넷통화 규제정책으로 인하여 주춤하고 있기에 이러한 경향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24. 메신져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메신져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4.2. 블로그
블로그는 메신져와 SNS 및 마이크로블로그의 발전에 힘입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팸블로그나 저작권보호문제가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림 25. 블로그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블로그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4.3. 마이크로블로그

2009년 중순에 트위터와 중국국산 마이크로블로그 판포우饭否가 막히면서 마이크로블로그의 성장이 둔화되는가 싶었으나, 시나新浪이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출시하면서 2010년 12월 현재 중국 마이크로블로그 사용자수는 6311만명으로 순식간에 사용율 13.8%로 상승하였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의 15.5%가 마이크로블로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마이크로블로그는 신랑新浪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언론통제 정책에 따라서 철저히 검열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검열이 강화될 전망이어서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할 수 있다.



3.4.4. SNS
SNS 서비스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해피농장(开心农场)의 대성공이후 이렇다할 킬링서비스를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SNS 서비스의 대부분의 수익이 광고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26. SNS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SNS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5. 인터넷 오락
3.5.1. 온라인게임

중국의 온라인게임은 현재 폭발기를 지나서 안정기로 접어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이는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기 보다는 중국 온라인게임의 문제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고 보인다. 온리안게임은 그 동안 아이템 구매방식의 비니지스모델을 사용하며, 단순한 반복노동식 게임을 강요해왔다. 그렇기에 네티즌의 온라인게임에 대한 열의가 식어가고 있는 것이다.

2009년 말부터 시작된 웹게임 열풍이나 WOW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감안한다면 온라인게임 업체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중국의 거대 온라인게임 업체들은 영상사업에 손을 대고 있었으니 온라인게임이 하락세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림 27. 온라인게임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게임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5.2. 온라인 문학

중국의 온라인 문학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등의 기기의 등장하고, 유명작들이 영화등으로 제작되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질적인 저작권 문제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그림 28. 온라인 문학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 문학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5.3. 온라인 동영상

온라인 동영상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기에 들어섰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4G가 보급되기 전에는 지금과 같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 온라인 광고가 지나치게 저렴한 점을 생각하면 온라인 동영상의 비지니스 성공 가능성은 분명히 높다. 그러나 동영상 서비스의 과도한 트래픽 비용 문제와 저작권 구매 문제는 여전히 걸림돌로 남아 있다. 다만 현재 저작권자와 다양한 방식으로의 저작권을 구매하고 있기에 해결기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림 29. 온라인 동영상 사용자수와 사용율
파란색=온라인 동영상 사용자수(단위 : 만명); 빨간색=사용율



3.6.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모비일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메신져서비스가 가장 큰 영역을 계속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뉴스와 검색서비스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폰이 더욱 보급됨에 따라서 SNS 계열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30.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위부터 : 메신져; 뉴스; 검색; 음악; 문학; SNS; 글쓰기; 게임; E-mail; 동영상; 마이크로블로그; 결제; 은행; 쇼핑; 예약


3.7. 인터넷 서비스 추세

그림 31. 2007-2010 인터넷 서비스 지수 변화추세
빨간색=인터넷서비스지수; 노란색=정보형지수; 녹색=오락형지수; 보라색=SNS지수; 파란색;비지니스지수



이번 보고서에는 "중소기업의 인터넷사용"과 "인터넷 안전"을 확대보고서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나 전문적인 분야이기에 굳이 번역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간략하게 요약을 하면 중소기업의 인터넷사용은 아직 저조한 실정이며, 인터넷 안전에도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 군대 가기 전에 종합보고서가 나와주었군요. 평소라면 15일쯤에 나왔는데 말이죠. 조만간 핵심분야 보고서들도 나오겠지만, 아마 그것가지는 번역하지 못할듯 합니다. 다른 보고서가 필요한 분은 相来님이 맡기로 하셨으니 알아서 시앙라이님을 협박-회유 하시면 될것입니다. 그럼 전 군대 갔다 오겠습니다. ~.~

수입분유을 판매하는 인터넷 대리점의 광고문구를 보고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었어.

"아이가 당신의 친자식입니까?"

进口奶粉代购网店最佳广告金句:孩子是你亲生的吗?

한국에서 중국산 식품의 문제가 연일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가장 많은 중국산 식품을 먹는 중국인들은 더욱 더 큰 불안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족계획으로 자녀가 한 명 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 자식이 가장 자주 먹는 식품인 분유에 문제가 몇 번이나 일어나자 현재 중국부모들은 중국산 분유를 먹이는 것은 바보짓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이것은 우리가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 때 那是我们再也回不去的从前"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중국 80년대생들의 어린시절입니다. 그러나 사실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의 80년대생과 그다지 큰 차이는 없습니다. 정확하게는 한국의 80년대 초반과 그다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한국은 80년대생 중반을 기점으로 "과거"가 사실상 점차 소멸되었으니 말이지요.


즐거운 곤충채집입니다. 따로 설명이 필요할까요? 요즘은 여름방학 숙제에 곤충채집이 없어졌다죠? 어린시절을 강릉에서 자라서 메뚜기와 개구리를 튀겨 먹던 저로서는 그 맛을 모른다니 상당히 아쉽군요. 잠자리를 잡아서 꼬리에 실을 묶어서 노는 맛도...




과학놀이입니다. 어린이 과학장난감 어쩌고 해서 이런저런 장난감들이 있었지요?



눈이 오면 마냥 신나는 것은 전세계 모든 어린이들의 특권일 겁니다. 다만 중국 특유의 겨울 잠바가 눈에 띄는군요.



여름이면 모기에 물려서 장난이 아니었죠. 그 때는 침만 바르면 되었는데, 지금은 무슨 전염병에 걸릴까 전전긍긍해야되니....



몇 명이서 자전거를 같이 타고 놀고는 했죠. 참고로 "이 짓"을 전 20살이 넘어서도 했군요. 최고 기록은 아쉽게도 5명-_-



강릉에서는 논밭과 산 그리고 바다로 잘도 놀러다녔는데, 초등학교 고학년시절 서울로 올라오고 나서 개천이 똥물인 것을 알고는 엄두도 내지 않았군요. 중국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오! 패미콤!!! 분명 당시의 작품들이 명작이긴 합니다. 다시 해도 재미있으니 말이지요. 그래픽은 지금 생각하면 엉터리이긴 하지만 말이지요.




오락실이면 중국도 스트리트파이트가 대유행이었습니다. 그리고 4명이서 하는 삼국지?!도 말이지요. 저 개인적으로는 던젼앤파이터였던가요? 그것이 가장 좋았답니다. 오랜만에 구반포에 가보니 과거 세화고 앞의 오락실은 이미 없어졌더군요.



풍선불기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콘돔불기지요. 중국에서는 1가구 1자녀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거의 무료로 콘돔을 나누어주었기에 집안에서 콘돔이 쉽게 눈에 띄였다고 합니다.



이걸 무슨 게임이라고 하던가요? 참 재미있게 했었는데 말이지요. 중국은 한국과 조금 방식이 다르답니다. 뭐..한국에서도 지역마다 규칙이 조금씩 다르더군요. 큐브도 있군요. 방법도 모르면서 어떻게든 맞추어보려고 하다가 3층에서 완전히 좌절하고 말았던 기억이 나는군요. 지금은 3층도 여유~ -0-



어린시절 받아쓰기 시험입니다. 다만 중국은 조금 다른 것이 한자 받아쓰기 말고도 핀인(중국한자발음) 받아쓰기 시험도 있다고 하더군요.



과거에는 물 가지고 뿌려대면서 잘도 놀았습니다. 지금 이렇게 하면 물낭비한다고 욕만 먹겠죠? 무엇보다 옷이 젖는 것 자체를 싫어하게 되어버렸군요.



뻥이야~ 입니다. 중국에도 뻥이야가 있었답니다.



어린시절 중국아이들은 마오저동 주석이 격찬을 한 레이펑이라는 사람의 봉사정신을 배우라고 반복적으로 익혀왔습니다. 물론 국가에 대한 충성도 철저히 배웠고 말이지요. 한국도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성을 세뇌하는 면에서는 결코 중국에 뒤지지 않았다고 생각되는군요. "난 콩사탕이 싫어요~!" 안윤복 어린이였던가요? 이제는 구라로 밝혀진 그 이야기.... [각주:1]



뭐든 일단 재미있어 보이면 우르르르~~~



아이스크림이죠. 제 어린 시절에 밀크아이스크림?!(서울빙과?) 을 맛있게 먹었는데, 요즘 다시 나오더군요. 하지만 과거의 그 맛은 솔직히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줄넘기~~~~~~


의외로 한중간에 비슷한 면이 많죠? 그 동안 언론의 조작으로 인하여 서로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셨을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언론과 실제는 다른 경우가 의외로 많이 있다는 점을 잊지 마셨으면 합니다.
  1. 대법원의 판결을 곡해하기 쉬운데, 대법원은 조선일보가 직접 취재를 했다고 판결했을 뿐, 해당 이야기가 사실인지의 여부는 판결하지 않았습니다.... [본문으로]
젠(歼)-20 (J-20)은 레이다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기능이 있다는거 알아? 그런데 그 원리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내가 알려줄게. 젠-20이 레이다에 나타나게 되면 말야. 레이다에 다음과 같이 표시가 되는 스텔스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거야. 레이다에 뭐라고 나타나냐고?

"관련 법률과 법규 및 정책에 따라서 부분적인 검색결과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歼20為何能隱身你知道嗎?據說如果用雷達搜索歼20隱形飛機時,雷達顯示屏幕上會出現﹕「根據相關法律法規和政策,部分搜索結果未予顯示」

중국의 인터넷통제정책을 중국 차세대 전투기에 비유하는 재미있는 시사풍자이다. 2011년 중국정부가 언론통제를 강화한다는 소식이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는 가운데 더욱 의미있는 풍자가 아닐 수 없다.

젠20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하고 싶은 한마디가 있다. "원래 짖는 개는 안 무섭다."

2011년 1월 5일 크레딧스위스(Credit Suisse 瑞士信贷)는 중국 IT 업계에 대한 최신 보고서를 내놓았다.  크레딧 스위스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중국을 선도할 업종은 전자비지니스, 유수한 기업채권, 보험업, 재정관리, PC판매로 내다보았다. 특히 그 중에서 전자비지니스는 400% 이상의 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 보았다.

앞으로 5년간의 중국에서 성장할 산업



전자비지니스

중국 전자비니지니 시장 교역액

중국 전자비지니스 시장 규모(소규모상품시장에서의 비율)


중국 B2C 사용자상정과 보급율

중국 B2C 시장 교역액


온라인 결제의 전자비지니스 시장에서의 성장추세


온라인결제 지원 서드파티



PC 판매

2009년 전세계 PC 판매량 중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율은 18%


중국 PC 시장 분할도





스마트폰 시장

2009년 전세계 휴대폰 시장에서의 중국의 비율은 19%

중국휴대폰 시장 판매상들의 시장지배

중국 스마트폰 시장 판매상들의 시장지배

이관구워지(易观国际 Analysys International) 에 따르면 2010년 중국 SNS 사용자규모는 2.16억명에 달하여 연계대비 22.7% 상승하였다. 중국의 SNS 시장규모도 13.28억위엔이 되어서 연계대비 71% 상승하였다. 이관구워지는 2013년에는 사용자규모가 4.25억명에 달하고, 시장규모도 52.98억위엔이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2006-2013년 중국SNS 사용자규모
파란색-중국SNS사용자규모(억명); 주황색-성장률



2006-2013년 중국SNS시장규모
파란색-중국SNS시장규모(억위엔); 주황색-성장률


 “日 태평양 암초 접안 공사 본격화… 중국과 갈등 불가피”

"중국은 남중국해 등에서 해양권익 강화를 위해 올해부터 36척의 해양감시선을 새로 건조키로 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7일 보도"는 결국 이번 일을 위한 명분이었다는 것인데....그럼 이러한 공사의 명목은 무엇일까? 개인적으로 대중국포위작전의 냄새가 너무 심각하게 난다. 그 경우 한국정부가 할 일은? 조용히 구경하기를 했으면 좋겠지만...그러지 않겠지.

 

페덱스, 中-印 직항노선 확충

별 것 아닌 뉴스 같지만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본인 자신이 지중파이기에 한국-중국간이 더 돈독해지면 좋겠지만...사실 한국이 나가야 될 길은 다양화이며, 중국 외의 동남아와...특히! 인도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흡연천국' 중국, 공공장소 금연하고 효과 봤다

중국에 있지 않아서 어떻게 말하기 힘들지만...직감적으로는 "웃기시네"라고 할 수 있겠다. 일단 대중교통에서의 금연은 이미 오래전부터 실시한 것이고 이건 나름 잘 진행되어 왔다(최소한 도시는) 그리고 병원은 그 특수성으로 원래부터 금연분위기에 가깝지만...그 외는...푸훗-_- 잘도.....아직은 아니다.

 

내 애플계정, 중국서 팔린다?

이제야 보도되는건가?? 이거 이미 몇 년이나 지난 이슈인데 말이다. 그리고 사실 제 때 비밀번호만 바꾸어도 큰 문제가 일어나기 힘든 이슈이다. 사실 애플계정보다 더 큰 문제는 아이튠 다운로드 상품권이라고 할 수 있는 기프트카드를 해킹해서 판매하는 행위이다. 이것도 역시 몇 년전부터 시작되어 있다. 이쪽이 더 문제라고 생각하는 본인이 잘못 된 것일까?

 

北 반중감정 악화…"중국,우방아니고 전시엔 敵"

재미있는 내용이지만, 믿을 근거가 없다. 거의 "~카더라" 통신이라고 볼 수 있다. 하다못해서 기자의 이름조차 없는 것은 어떻게 판단해야된단 말인가?!!!!!!!

 

양대기업 합병으로 중국시장 90% 점유 예상

기업? 양쪽 모두 국영기업이지만...따지자면 기업이겠지. 다만 중국의 철도시스템은 나름 상당한 수준이라는 점은 인정해야한다. 다만 기사에서도 밝혔지만 핵심기술부분에서 상당히 부족하지만 말이다.

 

大肆出售假冒伪劣产品 家乐福遭遇信任危机

까르푸의 전세계적인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에서도 베이징올림픽 성화봉송에서 벌어진 일로 시작된 반까르프 운동 캉쓸푸와의 라면판매문제등으로 문제가 있었는데, 최근에는 불량 의복류를 고의적으로 판매한 문제가 불거져 나와서 큰 위기라는 기사이다.

 

广州市长称工作20年还没买房 仍租住宿舍

광조우 시장이 자신은 20년동안 일했지만 집을 구하지 못해서 여전히 숙사생활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기사를 잘 보면, 그는 150평방미터의 집을 월세 600위엔(12만원)에 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네티즌들은 150평방미터의 집에서 월세 600위엔에 살 수 있다면 나라도 집을 사지 않는다라던가 아니면 아예 이딴 이야기를 어떻게 믿냐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拍客】大学生成红薯哥 月赚1万5 为梦想打拼赢得尊敬

한 대학생이 고구마장사를 하면서 한달에 1만5천위엔(한국돈으로 300만원)을 버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한다는 이야기이다. 많은 80년대생이 취직난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명색이 대학생이 이런일을 한다는 것에 화를 내는 분위기이다. 알아두어야 할 것이 중국은 결코 한국처럼 모든 사람이 대학교에 가는 것이 아니고, 한국의 70~80년대까지 처럼 선택받은 30%정도의 고등학생만 대학교에 진학한다.


 

바로의 중얼중얼: 내일은 동생 녀석과 스키장에 가기로 해서 아마 중국비평이 올라오지 않을 듯 합니다. 많은 분들이 저의 밖에 나가기 귀찮아하고 싫어하는 히키코모리 기질로 인하여 운동신경이 별로라고 생각하는데....저...운동 신경 엄청 좋습니다. 다만 10년간의 제대로 운동을 안해서 체력이 거지같아 진 것뿐....ㅠㅠ 

군대 가서 훈련 받으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 터이니 괜찮습니다. 음하하하~~~

 


人大女生做裸模维持学业 校内展出照片(图)

인민대학교 여학생이 누드모델로 학비를 대면서 살다가 교내에서 전시회를 연다는 소식이다. 네티즌의 전체적인 반응은 상당히 호의적이며, 인민대학교라는 명문대 학생이 누드모델을 하는 지금 사회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一线城市去年房价升幅超两成 北京居首涨42%

원쟈바오의 방값을 잡겠다는 말은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중국의 부동산은 계속 뛰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중국의 내부적 안정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중국의 부동산거품이 멀지 않았다는 예감도 든다.

 

北京77元廉租户主郭春平现身驳网络谣言(图)

베이징에 울세 77위엔짜리 집이 있다는 CCTV의 보도가 나가고, 네티즌들이 절대 그럴 수 없으며, 방송에 출연한 인물은 소개된 내용과 다르며 방값도 77위엔이 아니라고 하자, 다시 나온 반박기사. 어느쪽이 사실이든 명색이 국영방송 CCTV의 위신은 이 꼬라지다. 그 "사실" 하나만으로 게임 끝.

 

바로의 중얼중얼 :

많은 분들이 내기까지 하면서 궁금해하시는 저의 입대날자가 나왔습니다[각주:1]. 입대는 1월 25일 의정부 306보충대입니다. 일단 쌓아두었던 만화를 예약해놓았습니다. 하나는 10월초에 끝나고, 다른 하나는 내년 2월초에 끝나는군요. 정말 많이도 쌓아놓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작년 9월달 이후 입국한 "고령"은 미리 신청을 해도 빨리 못 가더군요. 제가 병무청에 전화를 했을 때 한창 입대배치를 하고 있었답니다. 다만...상담원분들은 매우 친철하셨지만...다만....몇 번씩이나 반복되는 "고령" 발언은 왠지 조금 슬프더군요. 그럼 위험한 시기이지만, 병역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충! 성!

  1. 사실 눈치 빠르신 분들은 제가 잘못 예약을 해서 먼저 올라와버린 단 한편의 "토끼스키"을 가지고 추론을 마치시더군요-_- [본문으로]
토끼스키의 원작 저작권은 MOMO에게 있으며, 번역판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다. 그러나 원본저작권과 마찬가지로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자유롭게 수정-편집을 할 수 있으나 출처를 분명히 표히하여 한다. 출처 표기는 구체적인 주소도 가능하며 ddokbaro.com 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토키스키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만화 토끼스키(투쓰지 兔斯基 TUZKI)란?




기회의 대부분은 스스로 놓아준 것.

机会多半都是自己放走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