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15일, 남창(南昌)에서 졸업한지 한달도 되지 않아서 "거지"가 중국 명문대학교 생이 발견되었다.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 12일 션젼의 한 경찰서에서는 거지가 인도에 쓰러져서 위험해 보인다는 신고를 받고 병원으로 후송하였다. 그런데 신원조사 결과 그는 중국 베이징의 한 명문대 졸업생이었다.

"거지"는 6월말에 중국정법대학교(中国政法大学 중국 법조계의 실무인사들은 대다수가 이 학교 출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임)을 졸업하고 고향인 푸찌엔(福建)으로 돌아가서 직장을 찾을 생각이었다. 그런데 너무나 허둥대는 바람에 휴대폰을 놔두고 왔고, 기차표도 잘못 사서 엉뚱한 곳에 내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수중에는 몇 십위엔(한국돈 몇 천원)밖에 없는 상태였다. 그리고 "거지"는 워낙에 내성적인 인물이라서 살아남기 위하여 아르바이트를 찾는 것은 고사하고, 휴대폰을 잠시 빌려달라는 부탁조차 하지 못했다고 한다.

명문대 졸업생이라는 녀석이 참 잘하는 짓이다. 대학교 4년은 왜 다녔니?....에휴......에이구...(....심심하다고 "그냥" 돈 안가지고 일부러 베이징을 유랑?!했던 나는 머냐구....평소에 이런 짓들을 해두란 말이다.........다시 하라면 본인도 감히 못하겠지만....)

요즘 "공부의 신"이라는 드라마가 뜨겁다. 그러나 해당 드라마의 원작의 이름은 어디까지나 드레곤사쿠라(ドラゴン桜)이며 감히 "공부의 신"이라는 조금만 생각해보면 문제가 되는 제목을 붙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해당 드라마는 공부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명문대 입학 테크닉"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부의 뜻을 너무나 왜곡시키고 뭉개 버렸다.


공부는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힌다는 뜻이다. 그런데 같은 한자문화권임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중국 그리고 한국에서의 공부하다는 뜻의 한자가 완전히 다르다. 일본에서 공부를 한다는 말은 한자로 勉彊라고 적는다. 힘이 모자라는데 억지로 노력한다는 의미이다. 일본인에게 공부란 바로 힘들고 부족하지만 억지로 노력해야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보통 学习라는 말을 쓴다. 이론적으로 배우고 다시 그것을 실습한다라는 뜻이다. 중국인에게 공부는 배우고 또 배워야되는 것이다.

그럼 한국어의 공부는 어떤 한자를 쓰고 그 의미는 무엇일까? 한국의 공부는 한자로 工夫[각주:1]라고 쓴다. 그 고대한어에서의 뜻은 "어떤 일을 하는데 소모되는 힘[각주:2]"이나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서 익힌 능력[각주:3]"을 말한다. 우리가 "공부가 부족하다"라고 할 때의 공부는 바로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서 익힌 능력이나 어떤일을 해낼 힘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과연 어떤 일을 위해서 공부하는 것일까? 그냥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일까?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일까? 공부(工夫)을 한자 한자 뜯어보면 그 해답이 나온다.

공부의 공(工)은 잘하는 다는 뜻이며 사람이 규칙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만약 어떤 일을 잘하려면 우선 규칙과 법도를 지켜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잘할 뿐이며 이는 매우 경계해야된다고 생각했다[각주:4]. 단지 기술이 뛰어나다는 것은 공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뛰어나다(巧)라고 할 뿐이다. 공을 이루려면 인간의 도리와 규칙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것이다. 부(夫)는 고대에 인간적으로 성숙한 사람을 말한다. 정리하자면 : 공부는 인간의 도리를 기본으로 어떤 일을 잘하는 성인을 의미한다. 단순히 어떤 일을 잘한다고 공부라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쯤에서 요즘 인기가 있다는 "공부의 신"이라는 드라마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공부의 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명문대에 어떻게 입학을 하느냐일뿐이다. 공부를 해서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생각도 없다. 인간에 대한 성찰도 없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수 천년전의 사람들이 걱정했던 바로 그 폐단과 문제를 충실히 실현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공부(工夫)와 중국의 무술 쿵푸(功夫)는 비록 한자가 조금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쿵푸는 자기 수련을 위한 육체단련이라는 의미를 잊어버리고, 화려함만을 추구하고 있다. 마치 한국에서 공부가 명문대입학테크닉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말이다.


한국의 공부는 한중일 3국의 공부에 대한 말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단어이다. 그리고 그 만큼 다양한 함의가 농축되어 있는 단어이다. 그러나 수 천년전의 사람들조차 걱정했던 기술로만 빠져드는 실수를 범하는 이상 한국의 공부에는 희망이 없다.



* 정말 이 글은 몇 번을 날려먹는지. 처음 쓴 것..정말 느낌 제대로 받고 잘 나왔었는데....ㅠㅠ 모르겠다. 기왕 쓴 글이니 아래부분을 다시 써서 올리긴 하지만............크어어어!!! 솔직히 새로 쓴 문장들이 심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

* 차라리 공부의 신의 원작인 드레곤사쿠라는 철저하게 현실적인 이야기를 한다. 자신의 출신학교라고 망하지 않게 한다는 어이없는 설정은 없다. 어디까지나 학교를 살려서 대박이 나려고 하는 것 뿐이다. 그 외에도 거의 모든 면에서 공부의 신은 위선덩어리다.


  1. 한중일 삼국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한자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럼 그 정신의 좋은 쪽을 잘 이어 받아야 되는데 오히려 고대인들이 걱정한 일을 그대로 행하고 있다. [본문으로]
  2. 逢人便请送杯盏,著尽功夫人不知(元稹 《琵琶歌》); 艺文不贵,徒消工夫(葛洪《抱朴子·遐览》); 重行整理,又须费一番新工夫(鲁迅《书信集》) [본문으로]
  3. 艺文不贵,徒消工夫(葛洪《抱朴子·遐览》); 重行整理,又须费一番新工夫(鲁迅《书信集》) [본문으로]
  4. 설문해자 원문을 넣으면 계속 아래부분이 저장이 안된다. 알아서 찾아보시도록...머지..젠장-_- [본문으로]
User inserted image


중국의 대학생들은 지금 현재 한국과 같은, 아니 오히려 심한 구직난입니다. 물론 북경대학교나 청화대학교와 같은 일류 명문대학교 녀석들은 봉급이 적다고 튕기는 센스를 발휘해 주고 있지만(....제 친구란 것들인데 가끔은 패주고 싶습니다.) 중국의 드럽게 많은 인구를 생각하면 이들 인류 명문대학교의 학생은 매우 소수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 재미있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더군요. 각자 전혀 새로운 도시로 가서 스스로만의 힘으로 직장을 찾는 것입니다. 소지 금액은 100원(한국돈 만오천원가량)만 가지고 가야됩니다. 한마디로 직장 찾기 서바이벌인데, 문제는 이게 방송 프로그램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7월 16일에는 21원으로 6일동안 생존뒤에 처음 5명중에 한명만이 결국 취직에 성공했다는 놀라운 이야기가 올라왔는데, 얼마전에는 다시 다른 한 무더기의 학생들이 다른 도시로 가서 10일동안 50원으로 버티고 있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이거 방송 프로가 아니라는게 더 신기하군요. 나름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직장 문제를 알려주는 예시입니다. 문제는 왜 저에게는 이것이 놀이처럼 보이는 것이죠? 타도시보다 자신이 더 잘알 고 있는 도시에서 직장을 구하는게 훨씬 유리하지 않나요? 흐음...


그리고 갑자기 떠오른 것이지만, 무한도전도...이거 해보면...재미있을.......
중국땅에 딸랑 100원씩 주고 알아서 살아남으라?!....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