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전자행정 포털’ 시스템 통한 문화재청·지자체·민간기관 협업체계 시행

(대전=뉴스와이어) 2013년 09월 27일 --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은 전국의 문화재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구축·운영하고 있는 ‘문화재 전자행정 포털’ 시스템을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관에 배포하여 협업행정을 전면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정보를 공유·개방한다.

문화재청과 협업하는 기관은 기초·광역지방자치단체(244), 전문발굴법인(138), 천연기념물치료소(244), 대한수의사회, 중요무형문화재 보유단체(61) 등 700여 개 기관에 달한다. 또 처리되는 업무는 문화재 현상변경, 지표조사, 발굴조사, 문화재 보수정비, 무형문화재 지원, 천연기념물 치료 등 22개 업무로, 처리결과는 전자적으로 기록된다.

이렇게 기록된 것 중에서 문화재 관리대장 정보 약 20만 건은 지난 1월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시범 개방해 왔고, 오는 10월부터 전면 개방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이들 정보를 문화재 보수·정비 시 활용하게 된다. 종이대장을 이용하던 지방자치단체가 별도의 예산투입 없이 일시에 전자대장으로 전환하여 약 200억 원 이상의 예산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전국의 유적지별 출토유물 정보 60만 건을 전국 전문발굴법인에 개방, 소속 연구원들이 학술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훼손이 심하여 알아보기 힘든 문양이 포함된 의복이 출토된 경우, 전국의 유사 유물과 비교하여 더욱 명확한 유물조사가 가능하여 연간 약 40억 원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문화재청은 10월 중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전문발굴법인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전국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중요유물 정보를 12월까지 누리집(www.cha.go.kr)을 통해 국민에게 개방한다. 이를 통해 문화재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국민의 궁금증 해소는 물론 유물이미지 정보를 출판물, 행사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어 문화유산 3.0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협업행정이란 문화재청이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과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문화재 민원행정을 ‘같이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매장문화재 발굴허가 신청 접수 시에 ▲지자체와 문화재청 동시 접수 ▲지자체 검토의견 제출 ▲문화재청 심의·승인 ▲전문발굴법인 발굴조사 수행 ▲건설공사 시행자에게 진행과정 통보 등의 체계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바로 : 인문사회계열에서 문화재청이 가장 친디지털적이고, 성과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쌓아온 것을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슬슬 모색하였으면 하는 것이 유일한 아쉬움이다.





이름 : 불교자료표준DB(佛學規範資料庫, Buddhist Authority Database Project)

기관 : 법고불교학원(法鼓佛教學院)

주소 : http://authority.ddbc.edu.tw/


불교자료에 관한 시간, 지역, 인물에 대한 표준DB을 XML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바로 : 본 자료는 단순히 불교자료의 표준뿐만이 아니라, 표준자료의 시간부분은 CHGIS의 기본시간축DB가 되는 등 다른 영역에서도 표준 자료로서 자리잡고 있다. 당연한듯한 이런 메타데이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 : 타이완디지털 아카이브 확장 프로젝트(拓展台灣數位典藏, Taiwan Digital Archives Expansion Project)

기관 : 타이완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주소 : http://content.teldap.tw/


타이완디지털 아카이브 확장 프로젝트는 정부의 산하(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에서 디지털 인문학 구현을 위하여 타이완의 각 방면의 연구자들에게 기술지원을 함으로서 타이완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바로 : 타이완 정부 산하의 디지털 인문학 지원프로젝트 포털로서 작용을 할 뿐만이 아니라, 타이완 디지털 인문학 포털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서 이미 완성된 데이터들을 모으고 있지만, 디지털 인문학의 성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포털을 제작하면 좋을듯 하다. 그 뿐만이 아니라 전문적으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자문을 할 수 있는 기관의 설립도 필요하다고 본다. 만약 그것이 힘들다면...우리라도?! -0-;;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2013년 9월 25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서울대 데이터과학지식창출연구센터를 통하여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통계 패키지(SRC-STAT)를 무료로 배포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데이터과학지식창출연구센터는 보유한 다양한 다단계일반화모형 등에 기반한 독창적인 통계기법과 계산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또 데이터 분석결과에서 직관적으로 데이터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시각화하는 등 기존 기술과 차별화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센터 등에서 시범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전남·부경·대구한의대학교 등 통계학 교과과정에도 활용하고 있다.


통계 패키지는 데이터과학지식창출연구센터 홈페이지(srcdsc.snu.ac.kr/srcstat/)에서 무상으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바로 : 딸랑 10분 정도만 사용해보았기에 세부공략?!은 추후에 올려야겠지만(특히 빅데이터에 대한 처리속도),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르는 사람들이 데이터에 대한 통계처리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괜찮은 툴로 보인다. 다만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 엑셀(그것도 구버젼의 엑셀파일)이라는 점은 추후 보다 많은 형식의 지원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특히 SQL에서 직접적으로 가지고 올 수 있는 방안이 있었으면 좋겠다. 또한 만들어진 시각화 결과에 대한 다양한 출력포맷에 대한 지원도 있었으면 한다. 자잘한 버그는 베타버젼에서는 너그럽게 넘어가자. ~.~:::


개인적으로 데이터 분석 작업에서 가장 짜증나는 데이터 정리작업을 편하게 해주는 소프트가.........생기기 힘들겠지. 사실...힘들지-_;;;;






이름 : 중국인물 데이타베이스 프로젝트(Supporting Documents §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CBDB),  中國歷代人物傳記資料庫(CBDB))

기관 : 하버드-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북경대학교(北京大學)

주소 : http://isites.harvard.edu/icb/icb.do?keyword=k35201


중국역대인물들의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버드 옌칭연구소가 시스템을 지원하고,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데이터 베이스는 인물의 생몰년뿐만이 아니라 지역, 관직, 저작 및 인물관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 역대 인물들의 모든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바로 : 중국 역대인물 데이터베이스이지만, 북경대의 송대 전공인 떵샤오난 교수가 주도적으로 만들고 있어서 송대를 중심으로한 인물 데이터만 제공하고 있다는 점은 큰 약점이다. 그러나 인물간의 관계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가지고, 친족과 사회관계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으며, 인물의 지리적 데이터를 통한 활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미국에서 급성장한 `온라인 공개강좌(MOOC)`가 유럽에서도 인기를 끈다고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이 23일 보도했다.

올해 초 전직 노키아 직원들이 핀란드에서 MOOC 플랫폼인 `엘리아데미`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영국 방송대학은 이달 `퓨처 런` 서비스를 개시한다. 스페인에서도 여러 대학이 힘을 합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할 계획이며, 프랑스에서도 프랑스텔레콤이 MOOC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발표하는 등 유럽 각국이 경쟁적으로 플랫폼 신설에 뛰어든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이번 주 공개 교육 자료 웹사이트를 열 계획이다.

수준 높은 강의를 원하는 학생들이나 자녀를 도우려는 학부모, 전문 지식이 필요한 직장인 등이 주요 수강생이다.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은 더 많은 학생에게 강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학과 교수,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 업체들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MOOC가 인기를 끈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과정을 이수해도 학위를 받을 수 없고 학생을 제대로 평가하기도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부에서는 학비가 싼 유럽에서 온라인 강좌가 미국에서처럼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데니스 애벗 EU 집행위 대변인은 “교육 혁명이 진행 중인데 우리만 뒤처질 수 없다”며 “대학들이 기술 혁신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무료 공개 온라인 강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출처 : 유럽서 온라인 공개강좌 인기…강좌 플랫폼 신설



바로 : 한국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이름 :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

주소 : http://kyujanggak.snu.ac.kr/geo/


서울대학교 규장각이 가지고 있는 지리지을 유형화하여 스캔한 이미지를 쉽게 검색하고 찾아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읍지속의 지도 역시 현재로서는 전라도와 경상도에 국한되지만 현재지명을 기준으로 검색해서 볼 수 있다.


바로 : TEXT 지원을 하지 않아서 정확한 검색이 불가능하며, GIS 정보와 동시에 제공하고 있지 않아서 기초적인 고문헌검색시스템에 불과하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 :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

기관 : 문화재청

주소 : http://gis.cha.go.kr


문화재정보와 지도정보가 결합한 공간정보 활용체계이다. 문화재 위치정보, 속성정보에 대한 공간데이타베이스와 활용시스템을 구축하여 문화재 보존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정보시스템이다. 문화재의 사진 및 도면, 영상, 설명등의 속성정보가 위성기반의 위치정보와 함께 결합되어 HGIS 지도 서비스 제공


바로 : 문화재에 관한 DB을 GIS와 결합하여 집대성한 상당히 뛰어난 시스템이다. 문화재에 대한 거의 모든 DB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 다만 각각의 문화재정보가 사실상 같은 UI임에도 불구하고 통합검색이 아닌 각개 검색만을 지원하고 있어서 통합검색에 대한 아쉬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 :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시스템

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주소 : http://atlaskorea.org


조선시대 문화를 대상으로 하여 전자문화지도를 개발하고, 전자문화지도 개념을 응용하여 조선시 대를 문화를 연구한다. 2년간 조선시대 문화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조선시대의 군현별 행정 구역 을 초ㆍ중ㆍ후기로 나누어 복원하였으며 총 25개 주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바로 : 한국 역사전자지도의 시초이며, 조선시대의 인문정보를 모두 담았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대범위가 조선시대로 한정되어 있고, DB의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API등을 통한 DB 공유도 불가능하다. 이 귀중한 DB가 방치되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아쉽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 : 중국역사GIS(China Historical GIS, 中国历史地理信息系统)

기관 : 하버드-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푸단대학(復旦大學)

주소 : http://www.fas.harvard.edu/~chgis/


중국역사GIS는 하버드 엔칭연구소와 복단대 역사지리연구소가 연합하여 하상주부터 민국시대까지 중국역사에 등장하는 모든 지명을 좌표점과 좌표면으로 시간축상에 표기하는 역사지리토대DB 구축 프로젝트이다.


바로 : 역사전자지도의 모범이자 선구자로서 다른 역사전자지도의 모범이 된다. 특히 중국전체시대의 모든 지명을 시간축에 표기함으로서 토대데이타로서 유용하다. 그러나 지명과 지명 사이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지 않고, 좌표면에 대한 연구가 아직 진행중인 상태이다.




* DH 리뷰는 DH스터디를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입니다. DH스터디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되며 모든 분들의 참가를 환영합니다. DH스터디에 관한 문의 사항은 ddokbaro@gmail.com 으로 언제든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