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봄이 되면 우리를 괴롭히는 황사는 중국에서는 ‘사천푸(沙塵暴)’라고 부른다. 황사가 몸에 나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황사에 대한 잘못된 상식도 만연해 있다.

우선 ‘황사는 중국의 경제발전으로 생겨났다’는 이론이다.

동 북아지역의 황사는 최근에 생겨난 것이 아니다. 현재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440년인 북위 대평진군원년에 강한 황사가 불어서 건물을 파괴했다는 것이다. 그 이후에도 550년인 북위 경명원년 2월에도 강력한 황사가 몰아 닥쳐서 161명이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서기 174년 신라에서는 ‘흙가루가 비처럼 떨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644년에는 고구려에서 붉은 눈이 내렸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요금시대인 1367년에도 44일간이나 계속 황사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오히려 중국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던 1990년대에는 황사가 적게 나타났다. 이처럼 황사 자체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관계가 없다. 하지만 황사로 인한 위험은 중국 경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황사가 중국의 베이징과 톈진 및 동북부의 산업도시를 거쳐 오면서 대량의 유해물질을 가져온다. 이러한 미세 오염물질로 인해 황사 자체는 자주 발생하지 않게 됐지만 그 위험도는 매우 커졌다.

둘째, ‘사막을 줄이면 황사는 자동으로 줄어든다’는 논리다. 현재까지 황사는 과도한 가축의 방목에 따른 목초지 감소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원지의 사막화가 진전돼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농업대학교의 2008년 7월 연구발표에 의하면 대부분의 황사는 사막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농지에서 온다. 농작물을 수확한 뒤 남은 껍질 등을 지표에 남겨두면 황사를 40%에서 70%까지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황사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면의 흙이 바람에 쓸려나가서 비옥했던 토양이 메말라 버리는 것도 줄일 수 있다. 밀을 재배하게 되면 기존의 방법에 비해 8.6∼9.6% 생산량이 증가한다.

또 장춘제 등의 연구에 따르면 황사의 주요원인은 대기의 흐름이라고 한다. 특히 엘니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반엘니뇨 현상이 있었던 1960, 1970년대에는 황사가 자주 발생했으나 엘니뇨 현상이 있었던 1980, 1990년대에는 황사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고 한다.

현재 계속적으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 40년 동안 계속적으로 황사 일수가 줄어든 것은 동아시아 계절풍의 영향이 크다고 한다.

황 사 피해액은 연간 5조5000억원(2002년 기준)에 달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아직도 황사를 잘 모르고 있다. 황사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며 그뿐만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환경운동연합 등의 한중사막화 방지에도 자발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될 때가 아닌가 싶다.

<베이징(중국)=김바로(베이징대학 역사학과) ddokbaro@gmail.com>

본 글은 전자신문에 기고한 내용입니다.
매일 매일 지하철로 40여분을 가야되는 본인에게 무가지들은 축복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나름 오랜 역사를 간진하고 있는 메트로는 조금만 늦게 나가면 모두 없어져 버리는 신문이다. 그리고 그 안에는 "팅하오 중국어"라는 코너가 있다. 중국에서 몇년씩이나 썩은 인간이 그런것을 왜 보냐고 하겠지만, 언어는 끊임없는 반복이고 어휘는 끊임없이 늘려가야되는 것이다.

그런데 전부터 (메트로 뿐만이 아니라!) 엉터리 중국어들이 눈에 띄이기 시작했는데 그럭저럭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어서 그냥 넘겼었다. 하지만 오늘의 실수는 해도 해도 너무하다고 생각되어 이렇게 키보드를 잡게 되었다.

风沙很厉害!
황사가 심해!

风沙 : 바람에 날리는 모래(황사)

이 부분에서 본인 좌절하고 말았다. 한마디로 기본적인 중국어 지식이 없거나, 사전만을 보고 중국어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의 전통적인 실수이다. 그리고 뒤에 자세히 말씀드리겠지만, 타이완 유학세대 분들이 범하는 실수이다. 한국에서 황사라고 불리는 모래바람은 중국 대륙에서는 风沙 라고 하지 않는다.

처음에 익숙하지 못한 분들은 황사의 한자인 黄沙 그대로 말하기도 하는데, 이것 역시 쓰이는 중국어가 아니다. 이렇게 말하면 몇 명의 중국인이나 알아들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风沙 역시 마찬가지이다.

중국 대륙에서 황사는 沙尘暴[shā chén bào]라고 말해진다. 黄沙나  风沙라고 쓰면 완전히 이해를 못하느냐? 만약 문장 속에 있다면 뜻을 추론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추론일뿐 현재 중국인들의 일반적인 사용은 아니라는 말이다. 예를 들어서 중국어에서 자주 쓰는 표현으로 "没关系 관계 없다"라는 말이 있다. 한국인들이 대충 무슨 말인지는 알겠으나 한국어에서는 쓰지 않는 표현인 것이다. 그래서 조선족들이 이 표현을 쓰면 일반적인 한국인들이 이상하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风沙는 어디서 쓰이는가? 타이완에서 자주 쓰인다. 여기서 문제가 조금 복잡해지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중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중국 대륙의 중국어인가? 아니면 타이완 중국어인가? 대답은 간단하게 나온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배우고자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대륙 중국어이다. 그렇다면 단어들을 대륙 중국어에 맞추는 것이 합당하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일까?

이런 일에 대해서 책임을 지라는 의미로 팅하오 중국어를 제공하는 곳을 밝히겠다. "YBM/시사닷컴"측이 이번 막가라 중국어 코너를 제공하였다. 조그마한 실수일 수도 있으나 명확한 대응을 부탁드리며 추후에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중국 북경에서 어언 6년. 08년 북경 올림픽을 위하여, 중국 정부의 피나는 노력으로 2002년때와 같은 말도 안되는 황사는 그 뒤로 불어오지 않는다. 중국인이든 외국인이든 황사가 불어올 때면 내리는 비를 자연스럽게 인공비로 여기고 있는 현실이다.

좋다! 인간의 기술이 발달하고, 예전에는 꿈꾸지 못했던 날씨를 바꾸고, 환경을 바꾸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말이다. 이건 해도 해도 너무 하지 않은가!!


위의 영상은 오늘 오후 1시경의 북경 모습이다. 아침부터 스모그와 황사와 뜨거운 열기로 찌푸리던 북경의 날씨가 갑자기 온통 검게 변하였다. 위의 동영상에서 보이는 것 처럼, 마치 밤처럼 주위가 어두워졌다. 그리고 이런 괴기한 현상에 여친님은 동영상을 찍으셨지만, 아쉽게도 지금 따리엔으로 가시는 비행기 편에 있으실터이다.

빗방울이 날리기 시작하고, 하늘은 순식간에 검게 물들어가고, 번개는 치는데....날리는 모래들은 대체 무엇이란 말이냐!!! 요 근래 2~3일동안 스모그가 짙게 드리워졌는데, 때마침 비가 내리는 이유는 무엇이란 말이냐?! 인공비인거 만천하에 공개 좀 해라. 이거 아무리 봐도 인공비다.


그리고 말이다. 이런 일 다시는 벌이지 좀 말아라. 2002년의 황사에는 못 미치지만, 그에 거의 버금가는 인류명망 시나리오를 보는 듯 했단 말이다! 무...무서웠단 말이다. 흐흑..ㅠㅠ

User inserted image



중국에 살면서 가장 두려운 계절은 언제일까? 건조함에 죽어버릴거 같은 겨울일까? 라이에이터가 꺼지지만 아직은 추운 3월달일까? 아니면 햇볓에 타 죽어 버릴 것 같은 여름일까? 혹은 날씨는 급격하게 추워지는데 라이에티터는 아직 켜지지 않는 10월일까?

User inserted image

나 개인적으로는 황사가 불어오는 4월이 제일 싫다. 두렵다. 물론 02년도 이후로 제대로 된 황사는 아직 맞이해 보지 못했다. 세상이 붉게 물들어 있고, 밖으로 나가는 순간 모래가 내 온 몸을 후들겨 갈긴다. 집에 돌아와보면 머리 카락속과 위에는 수 많은 모래들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얼굴에는 모래로 인한 조그마한 상처들이 있다.
User inserted image


그 때 북경대 석박사형들과 이야기 했던 것이 있다. 이런 곳이 어떻게 하면 그토록 오랜 기간동안 한 나라의 수도일 수 있었냐는 것이다. 겨울이면 건조해서 죽지. 봄이면 황사가 날리지. 여름에 그늘이 아닌 밖으로 나가는 것은 타 죽겠다는 소리지. 그나마 가을에는 낙옆이 예쁘기는 하구먼...

User inserted image


간단 중국어 시간 : 황사 = 沙尘暴(sha chen bao 샤천빠오)
한국에서는 황사라고 하지만, 중국에서 한국식 한자 그대로 黄沙 라고 하면 중국 사람들은 먼 소리인가라면서 당신을 쳐다 볼 것이다. 중국에서는 황사라고 안한다. 샤천빠오닷-0-


User inserted image


그나저나 오늘 새벽에 분명히 붉디 붉은 창밖 풍경은 보았는데, 갑자기 비가 내렸다. 비가 온다는 예고도 없었는데, 정확하게 황사가 몰아치려고 하니 내리는 비는 무엇일까? 인공비라고 생각하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녹색 올림픽이니 머니 하는 중국의 입장에서 북경에 황사가 자욱하면 문제가 많겠지. 하지만 이건 너무 눈속임 아닌가?
(북경사람들도 다들 인공강우라고 생각하고 있다. 아니라고 하기에는...몇 년 동안 너무 우연히 겹치는 것 아니겠는가?!)



'중국이야기 > 북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절을 끝맺음하며....  (2) 2007.05.07
북경 지하철 5호선 실험 운행 시작.  (12) 2007.04.30
새해 첫 날부터…  (2) 2007.01.01
중국 속에서의 된장녀.  (4) 2006.08.17
북경속에 붕어빵있다.  (5) 2006.08.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