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국가는 물건 생산량이 적기에 물건이 중요하고 인간은 비천해. 자본주의에서는 물건의 생산이 많기에 인간이 귀하고 물건이 비천해. 만약 비천한 인간이 되고자 한다면 사회주의를 선택하면 되고, 귀한 인간이 되고자 한다면 자본주의를 선택하면 돼.

社会主义东西生产得少,所以物贵人贱,资本主义东西生产得多,所以人贵物贱。想要当贱人,就搞社会主义。想要当贵人,就搞资本主义。(via:@towcold
)

글쎄....위의 사항은 자본주의에서 발생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으로 인하여 "일부 사람들만 귀한 사람이 된다"라는 내용을 빼놓고 있다....현재 과거와 같은 순수자본주의나 순수사회주의 주장은 이미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적당히 섞은 칵테일이 존재한다. 물론 비율에 따라서 수 많은 칵테일이 존재하긴 하지만...

환생모드를 Hard 모드로 했더니 중국에서 태어나버렸다. 그래도 Very Hard를 선택하지 않아서 다행이겠지? 아님 북한에서 태어났을 테니까 말이야.

当年投胎选了hard模式,结果生在中国,还好没选very hard,不然生在朝鲜了...

근데 한국은 무슨 모드야?

2010년 11월 28일 신찡빠오(新京报)에 따르면 베이징의 한 젊은이가 10여종의 폭탄제조방법을 재미있다고 여겨서 바이두Doc에 업데이트하였다. 이 문서는 바이두Doc의 심의를 통과하였고, 2000여회의 열람횟수를 기록하였는데, 업데이트한 젊은이는 "범죄방법전파죄"로 고소를 당하여 차오양(朝阳)법원으로부터 6개월 구류형을 언도받았다.


바이두DOC(百度文库)는 중국 최대 검색싸이트 바이두(Baidu 百度)에서 제공하는 온라인문서공유프로그램이다. 그런데 바이두DOC은 과거에도 쎵따盛大나 출판기구 혹은 작가등으로부터 여러차례 저작권위반으로 소송을 받아왔다. 그러나 바이두는 "네티즌이 자율적으로 업데이트를 한다"라는 이유로 그 동안 소송을 회피하면서, 네티즌들이 올리는 글의 선정성과 위법내용만을 검사하였지 판권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였다.

바이두의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 관계자들은 "바이두 DOC가 죽지 않으면 중국의 창작문학은 죽을 것이다.百度文库不死,中国原创文学必亡"라며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있지만 해결은 요원해보인다.

이번 사건의 또 다른 문제점은 바이두는 스스로 심사행위를 함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심사행위를 통과한 문장이 법적으로 걸렸을 경우에도 그 책임은 어디까지나 사용자에게 돌리고 있다. 이번 사건에서도 "범죄방법유포죄"는 어디까지나 업데이트를 한 네티즌이 짊어져야 했으며, 바이두는 "네티즌 스스로가 한 행위"라며 발뺌을 하였다.

바이두DOC는 공유정신을 부르지으면서 정작 스스로는 공유에 따라오는 책임에 대한 부분은 완전히 방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책임을 이에 무지한 네티즌의 몫으로 돌리고 있다. 이번 사건은 인터넷기업의 저작권과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인듯 하다.

2010년 11월 27일, iResearch의 2010년 제 3분기 중국온라인영상시장조사(모바일제외) 데이타에 따르면, 2010년 제 3분기 업계 시장규모는 13.9억위엔으로 동기대비 32.4% 성장하여서 2013년에는 시장규모가 169.9억위엔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010년 1분기부터 4분기까지의 중국온라인영상시장


2006-2013년 중국온라인영상시장규모



중국창샤의 한 15층 호텔을 6일만에 완성한 동영상이 Youtube에 올라와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단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팀을 여러 개로 나눈 뒤에 3교대정도로 인력을 교체해가며 실질적으로 휴식 없이 건축해나간다면 그리 놀라운 것도 아니다. 그러나 중국의 부실공사도 한국만큼이나 악명이 높기에 본인은 저 호텔에 들어가고 싶지 않다.

공신부(工业和信息化部)의 2010년 10월 "통신업운행상황"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 전신업 총누적액은 25438.5억위엔으로서 작년동기대비 20.7% 상승하였다. 차이나텔레폰의 주영업수익누적은 7448.0억위엔으로서 작년동기대비 6.6% 성장하였다.

사용자면에서 2010년 10월까지 전국 전화사용자는 755.2만호가 순증가하였고, 총수는 114212.2만호에 달하였다. 그 중에서 고정전화사용자누계는 1365.3만호 감소하여서 30007.8만호가 되었다. 고정전화사용자중에서 무선시내전화사용자는 1434.4만호로서 3165.1만호가 되었서 고정전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말의 14.7%에서 10.5%로 하락하였다.

중국모바일사용자누계는 9483.0만호 순증가를 하여, 84204.4만호가 되었다. 인터넷사용자쪽에서 2010년 1월부터 10월까지 케이블 사용자수는 1918.7만호가 증가하여 12316.4만호가 되었다. 모뎀사용자는 129.0만호 감소하였다. 
2010년 11월 19일 발표된 차이나유니콤의 10월 운영보고서에 따르면, 차이나유니콤은 10월달에 110.2만명의 3G사용자가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16.75만명이 3G 무선인터넷카드 사용자였다. 이로서 10월 31일까지 차이나유니콤의 3G 사용자 뉴계는 1165.6만호가 되었다.

2G에서는 10월달동안 63.2만호가 증가하여서 2G 사용자누계는 1.52억호가 되었다. 고정인터넷엄무에서는 10월 한달동안 65만명이 케이블인터넷서비스에 가입을 하여서 누계사용자 4663.2만호가 되었다. 전화사용자는 41.9만호가 줄어들어서 누계 9928.2만호가 되었다.

Royal Pingdom의 보고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 사용량의 가장 높은 지역은 선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의해야될 것은 해당 수치는 어디까지나 평균치로서 국가간의 차이가 크다. 그러나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이 북미와 유럽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한발 늦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은 재미있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차드는 29%에 육박하며, 나이지리아는 25%가 넘었고, 수단도 22%가 넘었다. 케냐와 같은 경우도 20%에 살짝 못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국가들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률은 매우 분귱형하여서 몇몇 국가는 10%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투르크메니스탄와 방글라데시의 모바일 사용률은 15%정도였는데, 재미있는 것은 해당 지역의 주류 휴대폰은 노키아로서 Symbian 시스템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이 곳에서는 Symbian 시스템을 통한 인터넷사용량이 90%을 넘어가기도 한다. 다른 나타들도 60%~80%에 이르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만이 블랙베리가 모바일 사용량의 31%을 차지하여서 Symbian을 앞지르고 있다.

이에 비하여 일본의 경우 모바일인터넷사용량이 전체 인터넷의 2.17%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유선인터넷망이 얼마나 잘 구축되어있느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유선을 뛰어넘어서 곧장 무선으로 가는 경향성이 보이고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중국최대의 검색엔진 바이두(Baidu)의 자료을 바탕으로 2010년 3분기 중국모바일시장을 분석검토해보도록 하겠다. 검색엔진은 직접적인 판매액과 연결되지는 않지만, 잠재적인 관심을 표출하는 것이기에 미래시장을 대비하는 면에서는 오히려 더욱 중요하다.


1) 모바일 관련 전체 검색량
바이두(Baidu)에 따르면 2010년 3분기 휴대폰관련 검색은 연계지수대비 14% 성장하였다. 7월 하순에 최고검색량을 보였으며, 3분기 평균 방문량은 하루 1400만회로서 연계지수 대비 14%증가하여서 모바일시장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

2) 휴대폰 브랜드 순위
2001년 3분기의 휴대폰 브랜드 검색은 여전이 안정적이었다. 노키아가 46%에 이르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며 제왕의 자리를 지켰고, 삼성이 10.09%로 그 뒤를 따라가고 있다. 소니-애릭슨이 6.13%로 3위을 기록하였다. iPhone의 4세대 기기가 큰 사랑은 받음으로 인하여 4.77%로 2분기의 9위에서 5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3) 휴대폰 상품 검색
3.1. 휴대폰 모델
노키아가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iPhone만이 홀로 순위권에 안착하였다.

3.2. 휴대폰 외형
일체형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폴딩형이 조금 점유율을 늘였고, 폴더형도 범위를 늘리고 있다. 회전형도 전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위에서부터 회전형, 폴더형, 롤링형, 일체형)

3.3. 휴대폰 색상
백색과 흑색위주에서 점차 점차 다양한 색상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특히 분홍색에 대한 관심이 대폭 상승하였다.  (위에서부터, 은색, 파란색, 자주색, 빨강색, 금색, 분홍색, 흑색, 백색)

3.4. 휴대폰 주변기기
(위에서부터 기타, 저장카드, 사진기, 케이스, 보호케이스, 충전기, 데이타선, 키보드, 이어폰, 화면보호기, 건전지)


4) 휴대폰 소프트 검색
4.1. 휴대폰 소프트웨어
중국 최대의 IM QQ가 더욱 크기를 늘렸고, 그 뒤를 차이나모바일의 IM 페이신(飞信)이 따랐다. 위에서부터 UCWEB, 360호위기사, Anyview, 소우고우 중국어입력기, 라이띠엔통, 매일매일음악, OVI, 91모바일, 페이신, QQ

4.2. 휴대폰 서비스
위에서부터 문자, E북, 동영상, 사진, 전화벨, 게임, 테마.

4.3. 휴대폰 부과 서비스
위에서부터 발신번호, 모바일신문, 멀티미디어문자, 모바일결제, 모바일메일, 멀티미디어벨


5) 3G 모바일 관련
5.1. 3G 모바일 방식
한국형이라고 불리는 WCDMA방식이 가장 뛰어난 성능으로 압도적인 관심을 받았다.

5.2. 3G 휴대폰 브랜드

5.3. 3G 휴대폰 기기

5.4. 3G 휴대폰 사용자
5.4.1. 성별
왼쪽은 3G 사용자층, 오른쪽은 전체네티즌. 연한파란색은 여성, 짙은 파란색은 남성.

5.4.2. 나이
짙은파란색은 3G사용자, 연한 파란색은 일반네티즌. 아래 수치는 나이.


여성이 입을 옷이 없다고 말하는 것의 의미는 "새로운" 옷을 입지 못한다는 소리이다. 그에 비하여 남자가 입을 없이 없다고 말 하는 것은 "깨끗한" 옷을 입지 못한다는 소리이다.

当一个女人说没衣服穿的时候,她的意思是没有“新”的衣服可穿; 当一个男人说没衣服穿的时候,他的意思是没有“干净”的衣服可穿。。(via:@cnly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