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콘텐츠학계와 전통적인 인문학계가 공동으로 관심으로 가져야 할 과제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가능성에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디지털 인문학이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와 관계된 창조적인 저작 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주제를 계승하면서 연구 방법 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그리고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도할 수 있게 된 새로운 성격의 인문학 연구를 포함한다.


순수 인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돕는 길이고, 인문콘텐츠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문화산업에 응용할 방대한 인문학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일이다. 미국과 유럽, 심지어는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상황을 보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의 육성은 범인문학계(인문학+인문콘텐츠학)의 자연스러운 발전 궤도 상에 있는 과제이다.


인문콘텐츠학이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의 일부를 인문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갖춘 지식 코디네이터로 육성하는 일이다. 이들은 인문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뿐 아니라 그곳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조직화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학마다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정규 교과 과정을 운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학회 차원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한다면, 소수의 교수 인력만 가지고도 다수에게 그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내용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김현 교수의 "디지털 인문학: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의 일부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최저(崔杼)는 자신의 군주인 장공(莊公)을 죽였다. 그러자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태사, 太史)는 "최저가 장공을 시해했다(崔杼弒莊公)"라고 기록하였다. 그러자 당시 최고의 권력자였던 최저는 사관을 죽여버린다.

그러자 사관의 동생이 사관의 직책을 이어 받아서 또 다시 "최저가 장공을 시해했다(崔杼弒莊公)"라고 기록한다. 최저는 다시 사관의 동생까지 죽여버린다. 그러나 3형제의 막내가 사관의 관직을 이어 받아서  "최저가 장공을 시해했다(崔杼弒莊公)"라고 했다. 최저는 결국 사관을 죽이는 것을 포기하고 만다.


그리고 최저가 3형제를 죽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제나라로 오던 다른 나라의 사관도 최저가 막내를 죽이지 않았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돌아간다.


한중일 삼국에 퍼져 있는 유가문화는 그 폐해로 인하여 수 많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가의 기록을 중시하는 문화 덕분에 한중일 삼국은 서양권에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어마어마한 량의 과거 기록을 지금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는 그 기록으로부터 역사를 배울 수 있다[각주:1].


국가기록원(國家記綠院,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은 기록 관련 주요 정책의 수립, 중요 기록물의 체계적 수집·보존과 다양한 기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중앙 기록물 관리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안전행정부 소속기관이다. 국가기록원은 과거의 사관(史官)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잘 아는 조선왕조실록이나 기타 수 많은 기록물들이 군주의 기침소리 조차 기록하는 책임의식의 사관 덕분에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국가기록원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기록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함부로 기록이 사라졌다고 하는 사관으로서는 도저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행동을 저질러 버렸다. (한계례 : 기록원, 암호도 안풀어 놓고 “대화록 없다” )


결국 NLL회의록은 기록을 자신의 목숨과 같이 다루어야 되는 국가기록원에 의해서 어처구니 없는 "실종"상태가 된 것이다. 국가기록원이 기록을 장난으로 취급한 것과 다름이 없다. 



사관 3형제는 절대권력자가 된 최저가 자신들을 죽일지라도 사실을 기록하는 것에 대해서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최저의 악명은 수 천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언급되고 있다. 그것이 역사다! 역사라고!!!


목숨을 걸고 기록을 하지는 못할 망정 멀쩡히 보전되는 기록을 없다고 하다니...분노를 넘어서 진한 슬픔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젠장...ㅠㅠ



  1. 가끔보면 정말 역사로부터 배우고 있는지 궁금하지만......상식적으로 그렇다-_- [본문으로]

데이터베이스진흥원 홈페이지(www.kodb.or.kr)에서 2013년도 데이터베이스 백서(http://www.kodb.or.kr/info/info_01_03.php)을 발표하였다. DB산업이 발달하고 있다는 내용 이외에는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그 동안 DB 영역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은 읽어보면 기본적인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지리 정보원 : http://www.ngii.go.kr/  --> 왼쪽 중단부의 온맵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이 전문지식이나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사무실이나 또는 가정에서 자신만의 지도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온맵"을 출시하였다. "온맵"은 기존의 포털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와는 다르게 API 기술을 모르더라도 PDF로 관련 지역의 지도를 다운받아서 그 위에 마크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적인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도 자신만의 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상자체는 본인도 관련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생각하고 있었기에 놀라울 정도였다. 물론 본인의 시스템은 인문학 혹은 역사 영역이지만, 만약 괜찮은 시스템이라면 벤치마킹을 할 생각으로 한국국가싸이트 다운 온갖 설치프로그램의 난관을 뚫고 사용을 하였다. 그러나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기본적인 시스템의 개념은 그냥 과거의 지도관리시스템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 뿐이다. 컴퓨터에서는 컴퓨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지금까지의 종이 기반의 지도관리와는 전혀 다른 디지털 기반의 지도관리를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이건 그냥 과거의 종이기반 지도관리시스템일 뿐이다.



그리고 UI에서는 할말 도 없다. 차라리 구글어쓰의 UI을 벤치마킹하지 그랬냐? 아니면 구글어쓰와는 다르게 웹에서 작동하도록 만들었으면 차라리 좋은 박수를 보냈을 것이다. 그런데 이건 솔직히 다시는 사용하지 않을 것 같다. 여기서 제공하는 지도의 수준은 구글어쓰에 비해서 좋지도 않고, 초보자를 위한 UI는 기본적인 UI 설계에 대한 공부가 부족한 모습이다. 



그리고 기왕 민간에 공개를 하려면 그냥 무상으로 공개를 할 것이지. 굳이 회원가입을 무조건 해야만 접속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인가? 솔직히 여기서 제공하는 정보 중에서 식생이나 수계와 같은 경우는 독특한 정보이지만, 대부분의 일반인이 사용할 정보가 아니지 않은가?!



기대가 컸던 만큼 아쉬운 면이 너무 많다. 그리고 몇몇 특별상황에서 식생과 수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이상 이 곳을 이용할 경우는 없을 듯 하다.

Daum 3D지도 Lab : http://map.daum.net/3d/


개인적으로 지도 서비스는 당연히 구글이 전세계 탑이라고 생각한다. 발상이나 실행력 그리고 돈에서 한국기업과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그래도 다음이나 네이버는 세부적인 한국정보 DB을 바탕으로 최소한 한국특화에서는 구글에 앞서도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특화부분에서는 네이버보다 다음이 더 뛰어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다음은 이번에 다음지도의 3D 버젼을 실험용으로 제시하였다. 비록 구글에서 제공하고 있는 3D맵을 생각하면 늦은 경향이 없지 않지만, 이런 지속적인 실험에는 박수를 보내고 싶다. 특히 한국에서 인문콘텐츠의 디지털화에서 가장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문화재청과의 협력을 통한 3D 모델링은 박수를 받을만 하다.


var options = {
    fmUrl : 'http://dmaps.daum.net/apis/3DLab/20130718/DaumMap3DBeta.swf',
    rvUrl : 'http://dmaps.daum.net/apis/roadview2.0/RoadView.swf',
    fmVersion : 20130718,
    rvVersion : 20130709
};


비록 아직은 보여주기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지만, 소스를 통해 보면 조만간 API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어차피 다음 혼자 한국의 모든 건물의 3D 모델을 만들수는 없다. 결국 WIKI와 같은 개방형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 참여를 통해서 3D모델링량을 늘려나가야 한다.(그래. 이미 구글이 그러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필요한 구글의 스케치업과 같은 제작도구의 출현을 기다려본다. 


또한 현재 다음이 시범적으로 하고 있는 다음문화유산(http://heritage.daum.net/)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기대해본다. 현재 다음문화유산은 로드뷰 기술을 적용한 공간감을 주는 방식으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2차원의 공간감과 3차원의 공감감을 적당히 절충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적한자출현빈도통계는 강희자전(康熙字典)과 사고전서(四库全书) 그리고 사부총간(四部丛刊)의 디지털화 작업을 하면서 출현하는 한자들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그 외에도 디지털화를 하는 과정에서의 몇 가지 규칙들이 같이 소개되어 있다. 인문정보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 하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은 그것이 아니라!!! "고적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한자가 무엇이냐!?"라는 단순한 궁금증이다. 고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상위 50개 한자를 아래에 첨부하였다. 다른 숫자는 굳이 볼 필요가 없을 것이고, 한자 아래 등장하는 첫항은 해당 한자의 총 출현횟수이고, 그 다음은 만자당 해당 한자가 출현하는 평균횟수이다.



之가 압도적인 1위를 하였다. 그 다음으로 不자가 2등을 하였고, 미세한 차이로 以가 3등을 차지하였다. 이 수치들을 이용하여 해당 내용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면 나름 재미있을 것 같다. 3만자의 한자가 고적에 출현하는 빈도를 보여주는 시각화라.....한가해지면 해볼까나. -0-!



제목 : 《中国语言生活绿皮书-古籍汉字字频统计》

작가 : 北京书同文数字化技术有限公司 编

출판사 : 商务印书馆

출판년도 : 2008-07-01

ISBN : 9787100056076


연세대학교에는 연계전공으로서 "디지털 인문학" 과정이 존재한다. 본 과정은 "디지털 컨텐츠를 기획, 제작,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한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세부 내용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정보처리, 언어처리과정, 멀티미디어, 광고카피 등 언어 혹은 기호와 관련되는 제반 현상에 대해서 탐구"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운영위원들도 대부분이 언어학 혹은 문학계열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에 연세대학교의 디지털 인문학은 "디지털 언어학"이라고 불리는 것이 더 합당하다고 본다.



연세대학교 디지털 인문학 :

http://web.yonsei.ac.kr/yongei/guide/human01.html



물론 디지털 언어학도 디지털 인문학의 분과이며 앞으로 필히 발전해야되는 분야이다. 다만 연세대학교가 디지털 인문학이라고 명명하고서 사실상 디지털 인문학의 일부인 디지털 언어학만을 다루고 있는 점은 아쉽다고 할 수 있다. 연세대정도의 학교라면 충분히 진정한 의미로 인문학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전공을 개설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현재 인문정보학으로 인문학과 IT의 융합학문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지만, 대학교와 석사를 역사학을 전공한 본인의 토대는 어디까지나 인문학이다. 물론 어린 시절부터 마이컴 잡지로 시작하여 기본적인 코드를 접해오고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나 기획의 영역에서 필요한 프로그래밍 수준일 뿐이고, 본격적인 프로그래머와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본인의 눈에 비친 세상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해볼까 한다.


분명히 오독할 몇몇 사람들을 위해서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본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인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이다.




인문학을 토대로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IT에 대한 무지에서 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물론 수 없이 컴퓨터를 고쳐주면서 컴퓨터를 잘 다루는 사람에 대해서 부러워하는 감정을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어떤 인문학자들도 IT를 무시해야된다고 대놓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런 "부러움"의 감정이 "질투"로 전환되어 IT에 관련된 사항들을 단순한 "기술"로 매도하며 억지로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IT에 대한 무지할 수록 프로그래머를 천박한 일을 하는 사람으로 매도한다.


그런데 IT을 토대로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무시나 질투가 아닌 트라우마로서 인문학을 바라보고는 한다. 한국사회에서 인문학의 추락하고 있다고하여도, 한국사회의 토대는 어디까지나 인문학이고, 인문학에 대한 어린 시절부터 세뇌된 존경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기에 본인이 아는 모 프로그래머는 뛰어난 실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위"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다. 또 어떤 프로그래머는 단순한 비판이나 질문에도 피해의식으로 생각될만큼 민감하게 반응한다.


사실 IT는 이름 자체가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이다. 그리고 프로그래머들이 스스로를 비하하면서 "우린 기술자에 불과해"라는 말을 많이 듣고는 하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소리이다. 프로그래머는 기술자 맞다! 하지만 기술자에 불과한 것은 아니다!!!


이상하게 기술자는 한국사회에서는 하층계급으로서 철저하게 무시된다. 실제로 사회적인 지위도 낮다고 프로그래머 스스로가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자는 학문이 아닌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전문가이다. 학문을 하는 학자도 전문가이고, 어떤 기술에 대한 장인도 전문가이다. 그런데 기술자라는 말을 프로그래머 스스로가 천박하다는 듯이 사용하여 스스로의 가치를 끌어내리고 있다.


인문학자들도 이미 최소한 겉으로는 IT을 인정하고 있으며, 앞으로 젊은 세대가 점차 학계에 등장하면서 IT는 기본적인 소양과 같은 존재로 변할 것이다. 시대가 그렇게 만들 것이다. 그렇기에 인문학에서의 IT에 대한 매도는 점차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워질 것이다. 최소한 인문학에서는 배운 인간들 티를 내기 위해서도 겉으로는 무시하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프로그래머 스스로가 가지는 기술자에 대한 자학이며, 이는 프로그래머 스스로가 "기술자"를 깎아 내리는 한 계속 될 것이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존중해주지 않는데, 대체 누가 존중해 준단 말인가?!


프로그래머여! 당신들은 기술자 맞다! 당신들이 스스로가 기술자임을 부끄러워하면, 타인들이 당신들에게 줄 것은 무시밖에 없다. 스스로가 프로그래머로서 장인의 긍지를 갖어라.





...그리고 저를 좀 도와주셔요. ㅠㅠ 프로그래밍 너무 힘들어요. ㅠㅠ 머리 속으로는 어떤 기술을 써서 어떻게 구현하고 싶은데......단지 그 뿐...ㅠㅠ


통합정보시스템은 정보를 입력받아서 처리하고 가공하여 출력하는 전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안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날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가는 지금의 사회를 생각할 때에는 과도한 욕심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가능하기만 하다면 각각의 기능별로 구분된 정보처리보다는 통합된 통합정보처리시스템이 당연히 좋다.


특히 본인이 공부하고 있는 인문정보학은 IT와는 거리가 먼 인문학자들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모든 시스템 개발에서 필수적인 "사용자들을 바보 컴맹으로 보기"를 굳이 하지 않아도 평균적으로 컴맹인 인문학계를 생각할 때에는 통합정보처리시스템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컴맹들에게 수집, 분류, 분석, 가시화, 전파의 각 단계를 하나하나 교육시키는 것보다는 모든 것을 통합시켜서 "정보를 쉽게 구하여, 자신만의 분류를 만들고, 분류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며, 분석 결과가 가시화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몇 배나 쉽다[각주:1]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수행되어야 될 과제들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데이타를 충분히 확보해야될 것이며, 데이타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마련해야되고, 이를 가시화할 수 있는 툴도 역시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논문이나 다른 형태로 전파할 수 있는 툴도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런것보다 중요한 것은 컴맹들도 사용할 수 있는 좋게 말해서 직관적, 대놓고 말해서 단순무식하면서도 유용한 UI의 설계일 것이다. 아무리 잘 만들어진 시스템도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으면 그냥 쓰레기가 될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고민은 더욱더 깊어진다. 이 영역은 정답이 없어!!! ㅠㅠ


  1. 사실 통합하면 아무래도 디테일에서 전문화된 소프트보다는 능력이 떨어지고...사실상 통합시스템 하나를 배우는 것이나 전문시스템 6개를 배우는 것이나 그게 그것이라고도 생각할수도 있지만...컴맹들의 시선에서는 어마어마한 차이이다. 인정할건 인정한다. 후.. [본문으로]

요즘 "빅데이타"라는 키워드가 뜨면서, 빅데이타를 분석하는 "데이타 마이닝"이라는 키워드도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빅데이타나 데이타 마이닝 모두가 이미 예전부터 존재하고 있었고,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었는데 마치 웹 2.0 처럼 하나의 마케팅 키워드로 떠오르는 것에 대해서 유감스러운 점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빅데이타나 데이타 마이닝 모두가 중요한 개념이고, 이를 통해서 IT의 부흥?!이 이루어진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에 조용히 있다.


문제는 인문학에 대한 데이타 마이닝까지 일부 거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문학과 IT의 융합학문인 인문정보학으로 박사과정을 전공하는 입장에서 누구보다 인문학 분야에 대한 데이타 마이닝을 적용을 실현시키고 싶다. 그러나 인문학에 대한 데이타 마이닝은 데이타 마이닝의 역사와 조건을 간과한 몽상적인 이야기일 뿐이다.


데이타 마이닝은 요즘 빅데이타라고 불리우는 어마어마한 데이타에 대해서 효과적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탄생하였고, 지금까지 발전을 이어오고 있다. 그런데 인문학은 빅데이타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더 정확하게 말해서 데이타 마이닝을 적용할 수 있는 빅데이타가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럼 혹자는 지금까지 인문학에서 축적한 빅데이타가 많다고 반박할지도 모른다. 조선왕조실록은 원문과 번역본 모두가 번역되었고,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 외의 수 많은 역사서들이 디지털화되어서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 뿐인가?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인문학 프로젝트들은 사실상 모두가 DB화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DB들은 그냥 덩치만 큰 공룡들이다.


데이타 마이닝을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유값의 존재가 사실상 필수적이다. 특히 시간, 인물, 지리에 대한 고유값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지금 현재 기업에서 활용되는 데이타 마이닝이 효과적인 이유는 고객에 대한 각각의 고유값(ID)을 가지고 있기에 기준으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현재까지 구축된 인문학 DB의 거의 대부분이 시간, 인물, 지리에 대한 공통적인 고유값은 고사하고, 자체적인 고유값조차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 인물, 지리가 고유값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면, 문헌에 출현하는 갑신년이 984년인지, 1044년인지 혹은 그 외의 다른 년도인지 도무지 알 방법이 없다. 또한 문헌에 출현하는 태조가 고려태조인지, 조선태조인지 혹은 중국이나 일본의 어느 태조인지 알 방법이 없다. 물론 인문학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들은 문맥으로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으나, 컴퓨터에게 그런 경험적인 추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은 지금의 기술로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각주:1].


그렇기에 인문학의 데이타 마이닝을 위해서는 우선 현재 우후죽순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DB들의 가장 기본적인 공통규칙을 마련하고, 시간, 인물, 지리를 위한 한국표준고유값을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각주:2].이를 이루지 못하면 데이타 마이닝을 고사하고, 그냥 크기만 큰 조잡하고 쓸데 없는 빅데이타가 되어서 공룡처럼 멸망해버리고 말리라. 




----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그 동안 이래저래 정신이 없었습니다. 당분간은 전공공부에 집중하기 위해서 좀 재미가 없을지는 몰라도 전공에 관한 내용이 많이 올라올 겁니다. 이런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아직 극소수이겠지만, 그래도 공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서 조금이나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아! 다만 인문정보학 연구사 정리를 위해서 지금까지의 인문정보학 연구 및 성과물을 간략하게 리뷰해서 올릴 내용은 인문학이나 IT 쪽에 속한 분들은 한 번쯤 봐도 괜찮을 내용일겁니다. 인문학계열 분들은 이런 DB가 있다는 것을 알고 활용하시면 좋을것이고, IT쪽 분들은 인문학의 측면에서 바라본 IT기술과 활용이 어떤 것인지 살펴볼 수 있을 겁니다.


  1. 물론 복잡한 법칙을 억지로 적용시키면 어떻게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건 마치 토대공사를 잘못한 집을 어떻게든 고쳐보겠다는 행동에 불과하다. 아직 공사가 많이 진척되지 않았으면, 지금이라도 토대공사를 다시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수백미터의 고층빌딩을 올릴 것 아닌가! [본문으로]
  2. 사실 인물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역대인물종합DB을 기반으로 발전하면 될 것이다. 다만 시간과 장소에 대한 고유값은......현재 열심히 이것저것 고민하며 직접 구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덕분에 쓸데 없이 바쁘다..ㅠㅠ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