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 http://opendissertations.com/


 H. W. Wilson Foundation와 the Congregational Library & Archives in Boston의 지원을 통해서 1933년부터 1955년까지의 미국 박사 학위 논문을 무료로 검색하고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미 상당한 시간이 지난 논문이라서 실효성은 당장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저작권 상의 문제가 해결된 논문에 대한 정보공개는 그 자체로 유의미하다고 생각된다.



국사편찬워원회의 한국사 LOD는 국사편찬위원회의 인물 온톨로지와 시소러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화재청의 유물/유적데이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사극/이미지 데이터 및 한국사 주요 주제별 DB을 통합하는 온톨로지 기법의 한국사 LOD(Linked Open Data)을 제공하고 있다. 


홈페이지 : http://lod.koreanhistory.or.kr/

소개 페이지 : http://lod.koreanhistory.or.kr/lodIntro.do


개인적으로 발상자체에서는 박수를 주고 싶다. 또한 구축된 한국사 LOD가 그 이후 다양한 시각화 작업에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국에 선행 LOD가 전무한 상황에서 자체적으로 한국사에 최적화된 LOD을 설계한 점은 그 노력을 높이 살만하다. 온톨로지 설계의 특성상 해외 LOD 사례와 한국사를 동시에 공부하느라 얼마나 힘들었을지 눈에 그려진다. 다만 개인적으로 세부 LOD 설계에서 국제표준이 되어 있는 DC나 LIDO 혹은 SKOS을 좀 더 이용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RDB 설계와 LOD 설계 간의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 조금 더 주의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러나!!!1 무엇보다 모든 데이터를 공개해놓고 있다는 경악스러울 정도의 완벽한 정부 3.0 대응에는 감격의 눈물이 흐른다. 화이팅!! 국편 잘한다~ 국편 잘한다~~~


미국 정부가 공개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단순한 통계자료는 일반인들에게는 직관적으로 와 닿기 힘든 내용이 많이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시각화를 통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부의 데이터에 가까이 갈 수 있다.





출처 : Visualizing Publicly Available US Government Data Online



다만 개인적으로 시각화는 어디까지나 튼튼한 데이터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시각화 자체도 원래의 사실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는 면에서 조심 또 조심해야된다고 강도 높게 주장해본다.



Text Mechanic은 텍스트 가공도구들의 모음이다. 텍스트을 일괄적으로 가공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툴들이 무료로 공개되어 있다. 영어를 대상으로 제작되었기에 한국어에 그대로 대입하기 곤란한 도구도 존재하지만, 이런 도구들이 얼마나 유용한지는 아실 분들은 아시리라 본다.



홈페이지 : http://textmechanic.com/



어차피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은 해당 홈페이지만 가도 아싸! 라고 하실거고...모르시는 분들에게 일일이 설명하기는...귀찮아서 일단 패스-0-;;; 저 말고 어떤 마음 착한 분이 설명해주시겠...죠?!;;


네이버가 한국 최초의 한글신문 '독립신문'을 온라인으로 공개했다.


568회 한글날을 앞두고 경기도 분당 네이버그린팩토리에서 만난 유승재 네이버 마케팅센터장은 "올해 한글날을 기념해 독립신문 논설을 최초로 디지털로 복원해 온라인에 공개했다"며 "독립신문 전체 공개는 연내에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독립신문이 최초의 한글신문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어도, 거기에 담겨진 내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이전에 조선 왕들이 보낸 친필편지를 디지털로 복원한 것처럼 독립신문 역시 디지털로 제공하는 것은 한글로 된 소중한 자료를 보다 많은 대중들에게 알리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머니투데이 네이버, '최초의 한글신문 독립신문' 온라인 공개


바로 : 이것이 네이버의 힘이다. 본인도 네이버를 그닥 좋아하지는 않지만......당장의 수익은 안되지만, 네이버의 아성을 유지시키는 강력한 토대가 되는 이런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하는데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다. 


I moved from recommending setting aside laptops and phones to requiring it, adding this to the class rules: “Stay focused. (No devices in class, unless the assignment requires it.)” Here’s why I finally switched from ‘allowed unless by request’ to ‘banned unless required’.


-- 출처 : Why I Just Asked My Students To Put Their Laptops Away


"수업시간의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의 활용은 집중력을 저하하고, 학습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렇기에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 디지털 디바이스는 교실에서 금지되어야 한다."


상당히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런 의견에 찬성을 한다. 그러나 본인의 대답은 간단하다. 


"당신의 수업이 얼마나 재미 없었으면 딴짓을 할까요?!"


어차피 인터넷에서 한 번 검색하면 나올 수 있는 지식 주입은 학생들에게 어떠한 흥미도 불러오지 못한다. 그냥 대략적인 내용만 파악해두면 언제든지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체 왜 "쓸데 없고, 재미도 없는 지식"에 자신의 시간을 투자해야되는가?


예를 들어보자. 어떤 수업에서 본인은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구글 문서를 통해서 공동 수업필기노트를 작성한다. 단순히 교사이 말하는 내용 이상의 내용을 온라인을 통해서 손쉽게 정리한다. 대부분의 경우 교사가 말하는 내용 이상의 내용이 필기노트에 정리된다.(관련 멀티미디어 자료는 물론이고, 관련 논문과 해당 내용까지...) 그러고도 공동작업으로 덕분에 시간은 여유롭게 넘쳐 흐르게 된다. 남는 시간에 딴짓이나 하면서 놀아야지 뭘 하겠는가?! 집중력 저하라고?! 아니. 이미 과거의 노트필기보다 훨씬 더 방대한 작업을 더 빠른 시간에 처리했을 뿐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어떤 수업에서는 교사가 어떤 창작물을 만들라고 주문한다. 그럼 새로운 창작물을 위해서 온라인을 통해서 방법론과 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하고, 모든 창작물이 그렇듯이 만들고 마음에 들지 않아서 재창조하는 과정을 수 없이 거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남는 시간이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물론 자신의 것을 창조하는 작업이니만큼 집중력은 처음부터 끝까지 자연스럽게 높은 강도로 유지된다.


노트북 때문에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다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 노트북은 어디까지나 효율성을 높여주는 도구일 뿐이다. 문제는 당신의 수업이다. 단순한 지식 주입을 하니 당신에게 남은 선택지가 노트북 금지가 될 뿐이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 2001년부터 착수하였으며, 2005년 12월말 현재 구축된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 사전의 용어 개수는 총 5만여 단어, 인명·지명·서명·문화재는 총 1만여 단어입니다. 




홈페이지 : http://thesaurus.history.go.kr/



시소러스는 가장 간단하게 디지털사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시소러스가 구축이 되어야 그 다음 여러분이 상상하는 거의 모든 디지털 작업이 수행 가능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는 현재 시점에서 보면 다양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지만, 디지털 역사 연구의 토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박수를 보낼 만 합니다.


또한 정부 3.0에 의하여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무료로 해당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는 점은 박수에 박수를 보내게 되는 지점입니다. 사랑해요^^::


공공데이터포털 : https://www.data.go.kr/







2014년 9월 30일 MIT의 hyperstudio에서 제작중인 온라인 디지털주석의 ANNOTATION STUDIO 가 2.0 버젼을 제공하였다. ANNOTATION STUDIO는 온라인 기반으로 기존의 텍스트 주석 뿐만이 아니라, 이미지와 동영상등의 멀티미디어 주석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번 2.0 버젼업에서는 부가기능(사이드메뉴)의 성능과 모바일 호환에 중점을 두고 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app.annotationstudio.org/


ANNOTATION STUDIO 2.0 버젼 요약 : 

http://hyperstudio.mit.edu/blog/annotation-studio-2-0-released/



[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네이버(035420)(809,000원 21,000 -2.53%)는 지난 27일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제 6회 ‘아시아-유럽 박물관 네트워크(이하 ASEMUS) 2014’ 총회에서 ‘한국의 문화 예술 콘텐츠 디지타이징과 활용의 실사례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ASEMUS는 아시아와 유럽 46개국105개 박물관이 가입돼있는 박물관 국제협의체다. 네이버는 문화, 예술 컨텐츠의 대중화를 위해 국내 유명 작품들을 디지털화하고 아시아와 유럽의 유명 작품들을 볼 수 있는 VCM 사이트의 개편 작업을 담당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번 ASEMUS총회에 유일한 일반 IT 기업으로 초대 받았다.


네이버 미술서비스를 담당하는 함성민 부장은 이번 총회의 ‘역사와 문화를 통한 배움’ 세션에서 네이버 미술서비스의 구축 과정에 대해 발표했다. 네이버 미술서비스에서는 현재 15만점의 국내외 유명 미술작품 및 문화 유산들을 고화질의 이미지와 전문가 해설이 추가된 상세 설명과 함께 볼 수 있다.


이날 발표에서는 네이버가 미술서비스 구축을 위해 프랑스 박물관 연합(RMN),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 미술관과 협업한 과정을 공개하며 대표적 사례로 네이버 미술서비스의 ‘뮤지엄뷰’와 ‘온라인 전시회’에 대해 발표했다.


뮤지엄뷰는 박물관과 미술관 실내를 온라인에서도 현장에서 직접 보는 것처럼 3D로 구현했다. ‘온라인 전시회’는 오프라인 전시 작품들을 고화질 이미지로 제공하고 전문가들의 작품 설명도 추가해 전시회 감상의 재미를 높이고 있다. 


□용어설명


- VCM(Virtual Collection of Asian Masterpieces)사이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ASEM) 회원국 내 120여개 주요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급 명품 2300여 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박물관.


출처 : 이데일리 네이버, 문화 콘텐츠 대중화 노력..해외서 인정 받아



바로 : 네이버는 인정 받을 만 하다. 물론 기본적으로 자사의 검색기능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외부 누출을 막기 위한 방법이다. 그러나 당장에 효과가 나지 않을 내용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본인도 네이버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 충분히 박수 박을 일을 해왔고, 지금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중앙대학교(총장 이용구)가 콘텐츠 전문가 육성을 위해 구글과 손을 잡았다. 중앙대 링크(LINC)사업단과 구글 유튜브는 중앙대 흑석캠퍼스에서 ‘중앙대(CAU)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설립과 운영을 위한 협력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구글이 콘텐츠 전문가 육성을 위해 국내 대학과 협력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대와 구글 유튜브는 공동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상상력을 콘텐츠로 제작, 창업과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앙대는 학생의 창의력을 계발할 수 있는 문화예술 과목을 개설해 교육한다. 구글은 저작권, IT 실무 등 콘텐츠 사업화에 필요한 과목에 강사진을 파견하고 구글사의 유튜브 관련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를 지원한다. 또 우수 학생에게는 로스앤젤레스와 도쿄에 위치한 유튜브 스페이스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김원용 중앙대 링크 사업단장은 “글로벌 기업인 구글과 함께 콘텐츠 전문가 육성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CAU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가 우리 대학이 문화예술창작 분야의 세계적 교육기관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거텀 아난드 구글 유튜브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은 “중앙대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전했다.


출처 : 전자신문 중앙대, 구글과 함께 콘텐츠 전문가 키운다



바로 : ...부...부러워!! -0-;;


서울--(뉴스와이어) 2014년 09월 30일 -- 서울 곳곳을 다니다가 잘못된 외국어 안내표지판을 발견하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인터넷을 통해 신고하자! 서울시가 즉시 정비에 나선다. 


서울시는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길을 찾는데 혼란을 주는 외국어 표기가 잘못된 안내표지판을 고쳐 나가기 위해 9월 30일(화)~10월 31일(금)까지 32일간 ‘잘못된 외국어 안내표지판을 바로잡아 주세요’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캠페인 대상 표지판은 서울시가 설치 관리하는 11종 안내표지판(관광안내표지판, 문화재안내표지판, 한양도성안내표지판, 북촌한옥마을 안내표지판, 보행자안내표지판, 도로주소명안내판, 사설안내표지판, 지하철안내도(1~8호선), 버스정류소안내판, 지하도상가안내판, 서울대공원·한강공원 등 공원안내표지판)이다. 


서울거주 외국인과 관광객은 영문·일문·중문 서울 관광홈페이지 (http://www.visitseoul.net)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일반시민들은 WOW서울 홈페이지 공모전(http://wow.seoul.go.kr) PC버전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잘못된 외국어 표기는 서울시 외국어표기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안내표지판을 관리하는 해당부서와 관할 자치구로 통보해 정비하게 된다. 


서울시는 신고내용에 대해 적합한 신고건수를 합산해 많이 신고하거나 중요한 오류를 신고한 사람 그리고 전체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소정의 기념품을 지급한다. 


참여자는 잘못된 외국어 표기를 발견하면, 서울시가 구축한 ‘서울시 외국어 표기사전’ 시스템(dictionary.seoul.go.kr)에 접속하여 외국어 표기가 적합한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강태웅 서울시 관광정책관은 서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안내체계 개선을 위해 “외국인의 눈을 통해 잘못된 외국어 안내표지판을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시민들의 일상적인 참여로 보다 신속하게 서울의 관광불편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



바로 : 좋은 기획이다. 다만 건의나 신고 수준이 아닌 직접 사람들의 수 많은 손에 의해서 안내판을 수정하는 것은 어떨까? 위키를 안내판 시스템에 도입하는 것이다. 사실 그 잘난 "전문가"들보다 일반인이 더 뛰어나다. 어차피 문화유산 기본정보는 웹에 널리 퍼져 있다.  일반인이 일반인을 위한 일반인에 의한 안내판이 될 수 는 없을까?    

서울--(뉴스와이어) 2014년 09월 30일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2015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정보화예산의 정부(안) 규모와 주요 편성내용을 발표했다. 


내년도 문체부 정보화예산 정부(안)은 2014년(413억 원) 대비 42억 원이 증액된 455억 원 규모(전년 대비 10.2% 증)로 최종 확정됐으며, 이는 2015년도 정부 총재정(지출안, 376조 원)의 증가율(5.7%)을 크게 상회한다. 


내년도 문체부 정보화예산은 ▴문화 공간(도서관, 미술관 등) 이용자 맞춤형 정보서비스 확대(129억 원) ▴공공정보 개방 확대를 위한 디지털 정보자원 확충 및 민간 이용 활성화(111억 원) ▴소통기반 융·복합 문화행정 서비스 등 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문화융성’을 위한 정보서비스 확대(102억 원)에 중점적으로 투입된다. 


또한, 문체부는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문화정보 자원 안전관리체계 강화 ▴장애인 대체자료 공동 활용체계 구축 등 정보 보안 및 정보화 역기능 해소, ▴저작권 정보관리 및 서비스 등 저작권 체계구축을 통한 디지털 정보자원 유통 활성화 지원, ▴박물관 종합정보서비스 구축 ▴문체부 소속·공공기관의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술 및 인프라 지원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사업을 실행하고, 재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특히, 신규 예산으로 추진되는 ‘국가유물 온라인 통합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전국 국·공·사립 800여 개 박물관 소장유물(1,200만 점)의 관리 체계를 표준화하여 국가 차원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국가유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고품질의 국가유물정보를 민간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정부3.0 창조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t.go.kr

세부출처 :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3779



□ 2014년도 문화부 정보화 예산(안) 455억, 문화부‘15년 재정대비 0.9%(14년대비 10.2% 증가) 규모

  문화체육관광부 2015년도 문화정보화 예산은 문화산업, 도서관, 문화예술, 문화유산, 관광, 정보화기반조성 등 24개 사업 455억 원 규모로 편성되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 ‘15년 정부 예산(안) 4조 8,752억 원의 0.9%에 해당한다.

  2015년도 주요 정보화 예산은 ▲급증하는 사이버침해사고 위협으로 안정적인 문화정보화시스템 운영을 위한 문화정보자원 안전관리체계 구축, ▲국가표준식별체계(UCI)를 통하여 선진화된 콘텐츠 유통인프라 조성 및 활성화 ▲지식정보의 구축 및 대국민 지식정보 공유ㆍ확산을 위한 도서관정보화, ▲소외계층의 문화정보 서비스 향유 격차 해소를 위해 장애인 웹접근성 개선,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기술적 조치 이행 ▲사라져가는 우리 전통문화의 영구 보존을 위한 아카이브 사업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아시아문화포털 구축 ▲대국민 및 기업의 문화향유를 극대화하고 창조결제 실현을 위한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등에 투자될 계획이다. 

‘15년 문화정보화 분야별 주요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콘텐츠 유통 및 관리기반 마련으로 문화산업 자생적 경쟁력 확산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고성장, 고부가가치 콘텐츠산업은 창조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전국 영화관 발권정보의 온라인 실시간 집계처리로 투명하고 정확한 영화산업 통계자료 제공을 위한 영화정보시스템운영 15.6억, 국가표준식별체계(UCI)의 보급 확대를 위한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구축 사업에 14억을 편성했다. 저작권 주무부처로써 저작권 등록 저작물의 영구적 보존․활용과 저작권 관련 콘텐츠의 대국민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저작권정보 관리 및 서비스 사업에 15.7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 도서관 지식정보의 향유 기회 확대

  국가의 지적문화 유산의 총체적 보고인 도서관 분야의 정보화는 국내외 생산 유통되는 디지털정보자원의 수집․보존 및 콘텐츠 구축으로 전국 800여 개 공공도서관 및 3,500여 개 작은도서관, 200여 개 소규모 도서관과의 연계․활용 등 도서관정보화를 위해 78억을 투입하여 국민 누구나 도서관을 통하여 양질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식사회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 국가 문화유산 자료의 체계적 보존

  문화유산 정보화 사업은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유물, 국보, 국내․외 민속생활사 등의 문화유산을 DB로 구축하여 체계적·영구 보존 및 인터넷 대국민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박물관종합정보서비스구축 5.6억, 생활민속자료아카이브구축 5.8억,대한민국 근․현대사 자료의 디지털 종합정보서비스 제공에 4.4억을 반영하였다. 또한, 전국 국․공․사립 800여개 박물관 대상 소장유물 1,200만점에 대한 표준화된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과 DB 고품질화 박물관 소장유물 통합DB구축 사업에 8.3억 원을 신규 편성하였다.


바로 : ......화이팅-0-! 돈이 아깝지 않게! 제대로 된 자료를 일반에 공개해주시길....


□ 국악관련 아날로그 자료의 영구적 보존 등

  국가적 차원에서 멸실위기에 처해 있는 국악관련 아날로그 자료의 영구보존을 위해 디지털 국악 아카이브 구축과 온라인 국악교육 환경 조성을 통한 국악 저변 확대 및 사교육 위주의 예술 교육의 공교육화 실현을 위한 국악원정보시스템 환경구축 사업에 9.5억을 편성했다. 기타 문화예술관련 기관 및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관리체계 확립과 대국민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미술관정보화환경개선(7.6억), 국립극장 정보화(3억), 예술종합학교정보화(6.7억), 문화예술위원회 경영(9.2억)에 투자하여 국민의 문화예술 정보 활용을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바로: 디지털화이다. 제대로 된 디지털화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 온라인 정책홍보로 국가 이미지 제고

  외국인에 대한 정부 정책 및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정보를 다국어 포털 코리아넷과 SNS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다국어포털시스템 운영사업에 10.8억, 대국민 정책정보의 접근성 향상과 305개 정부기관 53만여 명이 사용 중인 공직자 통합메일 운영 등을 위한 정책포털시스템 운영 사업에 30.5억을 편성하였다.


□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 운영 및 개인정보보호 등

  국가 미래 성장동력인 문화정보자원의 24시간 365일 감시체제 구축을 위해 ‘10년 11월 개소한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문화정보자원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에 35억을 편성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기술적 조치 이행과 스마트 모바일 업무환경 구축 등을 위한  문화행정공동활용체계 구축 사업에 30억을 편성하였다.  또한 문화체육관광 분야 정보화 여건 마련 및 지원을 위한 사업으로 문화정보센터운영(37억), 언어정보자원통합관리(6억)을 편성했다.


□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정부3.0 구현을 위해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 및 민․관 협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국민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문화정보(체육․관광․미술․공연․영화 등)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개별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문화, 관광, 예술 등 우리 문화가 가진 전통․의미․부가가치가 다양한 산업의 창조적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데이터의 구축 및 제공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기업맞춤형 문화정보 구축 등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개방․활용에(12억 원), 문화데이터 개방서비스 구축에(6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대국민 및 기업의 문화향유를 극대화하고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문화콘텐츠의 제공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문화정보 제공기관간의 칸막이 해소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학지식정보센터 문화콘텐츠편찬실에서는 10월 1일(수)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대강당에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으로 조명한 호남의 디지털 문화"라는 주제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시연회를 개최합니다.


1.행사명: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시연회

2.행사주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으로 조명한 호남의 디지털 문화

3.일 시: 2014년 10월 1일(수)

4.장 소 :국립광주박물관(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소재

5.문 의 : 문화콘텐츠편찬실(내선:615, 직통: 031-781-2158)







모든 학문은 선현들의 수 많은 성과를 바탕으로 발전한다. 그렇기에 기본적으로 어떤 논문에도 선행연구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학문성과의 축적은 모든 학문의 기본 중에 기본이다. 


그러나 한국의 학문성과축적은 상당히 방대하며 빈약하다. 방대하다고 하는 이유는 한국연구재단 등의 국가기관이나 각 대학들이나 연구소등의 사립기관들이 예산을 투여해가면서 수 많은 학문성과를 축적해왔다. 빈약하다는 이유는 축적된 데이터는 데이터허깅으로 인하여 어디까지나 해당 기관이나 개인이 소장하고 있을 뿐 다른 이와 공유되지 못한다. 또한 길어봐야 10년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3년도 되지 않는 프로젝트 수행기간은 지엽적인 주제의 데이터의 축적을 할 수 밖에 없게 한다.


디지털인문학은 축적된 학문성과의 공유문제와 짦은 수행기간으로 인한 지엽적인 주제의 데이터생산문제의 탈출구로 온톨로지를 제안한다. 


데이터 공유 문제에서는 이미 정부 3.0으로 인하여 데이터 보유 기관들이 현실적인 압박을 받고 있기에 5년내로는 공유되는 데이터의 양 자체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리되지 않고, 타인이 알아볼 수 없는 데이터는 자원낭비이자 쓰레기일 뿐이다. 온톨로지를 통하여 초기 프로젝트 단계부터 데이터를 정비하여야 한다. 인문학자 자신이 데이터를 만들면서 데이터를 정비해야 한다는 말이다. 어떤 컴퓨터 공학자가가 해줄 수 있으리라는 것은 착각이며, 오해이다. 컴퓨터 공학자는 어디까지나 컴퓨터 공학쪽으로 잘 알 뿐이고, 인문학자들이 생산하는 인문학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자무식에 가깝다. 못한다. 해도 엉터리다[각주:1]


짦은 수행기간으로 인한 지엽적인 주제의 데이터 생산 문제 역시 온톨로지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단일 프로젝트는 짦은 수행기간과 적은 인력으로 인하여 지엽적인 주제에 한정될 수 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온톨로지를 통해서 다른 프로젝트의 성과와 연결될 수 있다면 별 문제가 없다. 오히려 단일 프로젝트의 전문성을 확장하고,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인문학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물론 짦은 수행기간 자체와 적은 예산으로 인한 인력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수정이 있으면 좋겠지만......


이미 2012년부터 한국연구재단에서도 토대 사업을 대상으로 적합한 XML이나 RDB 형식의 데이터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XML이나 RDB 설계 모두가 넓은 범위에서 온톨로지의 일부분이라도 할 수 있다. 이제 인문학 프로젝트를 하려고 해도 온톨로지를 해야되는 세상인 것이다. 그런데 온톨로지는 인문학에서 태어난 개념이기에 인문학자들이 오히려 컴퓨터 공학자들보다 손쉽게 배우고 자유롭게 활용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다시 말해서 온톨로지라는 기술에 밑도 끝도 없는 두려움만 가지지 않는다면 인문학자들이 온톨로지를 다루는데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바로 : .....생각나는대로 쓰윽쓰윽~~ 카테고리가 잡담잡상~~ 우훗~ 머....몰라몰라~~ ^^::: (요즘 살짝 미쳐가고 있는듯 함.)


  1. 조금 다른 예이지만, "고구려왕조실록"으로 인물네트워크 분석을 한다면 어떻게 생각되는가?! [본문으로]

한국의 대학교육은 패망했다. 서울대학교 출신은 서울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수학능력이 있었기에 인정받는다. 결코 서울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졸업하였기에 얻어지는 칭호가 아니다. 모두가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를 추구한다고 말을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대학교수가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하고 있을 뿐이다. 


이제는 물고기를 잡아서 주는 것이 아니라, 물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야 될 때가 아닐까?


디지털인문학의 교육방법론은 지식을 주입하려고 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지식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준다. 교수의 역할은 해당 전문 분야의 기본적인 방법론에 대해서 알려줄 뿐이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주입하려고 하지 않는다. 학생들이 요청하는 지식의 탐색 방법을 자문해 줄 뿐이다.


예를 들어서 온톨로지를 활용한 교육에서는 해당 분야의 기본적인 틀(연구방법)을 제시하고, 그 외의 세부적인 정보들은 학생들 스스로가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분석이나 지리정보시스템 분석도 방법론을 알려주는 지식의 전달이 있을 뿐이며, 분석대상은 학생들 스스로가 선정해서 스스로 데이터를 구축하고, 스스로 시각화를 진행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교수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학생들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창조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겠다. 서원에 대한 온톨로지 수업을 한다고 하자. 최초에는 교수에 의해 서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온톨로지에 대한 사용방법을 주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다음부터는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맞추어서 서원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분류-분석-시각화를 하게 된다. 어떤 학생은 서원의 역사에 대해서 흥미가 있을 것이고, 어떤 학생은 서원 주변의 관광자원에 대해서 관심이 있을 것이고, 어떤 학생은 서원을 찍은 사진에 관심이 있을 것이다. 이 전과정에서 교수는 학생들의 관심사에 따라 들어오는 정보 획득 방법이나 정보 구조에 대한 의문만을 해결할 뿐이다. 


학생들은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면서 암기가 아닌 창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창조에서 열정을 얻어서 보다 많은 지식을 자연스럽게 추구하게 된다. 학생들이 못할 것이라고?! 당신은 누가 강요해서 역사책을 읽었던가? 당신은 누가 강요해서 문학작품을 읽었는가? 스스로가 즐겁고 재미있었기 때문이 아니던가?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 


물론 기존의 학문 교육 방법론으로도 지식창조 방법을 전달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디지털인문학은 다양한 디지털 툴들과 온라인에 산재된 지식을 즉각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지식창조 방법을 가르칠 수 있기에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진정한 교육은 지식이 전달이 아니라, 지식을 만드는 법의 전달에 있음을 다시 한번 생각하자. 이제부터라도 지식이 아닌 지식창조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그것이 원래 대학이 마땅히 해야될 역할인 것이다. 학문의 위기는 교수들이 지식만을 전달하는 이상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다. 




바로 : 음......구체적인 디지털인문학 교육방법론에 대해서........언젠가~ 논문으로 써야겠다. 실제 예시를 몇 개 언급해서 "지식"이 아닌 "지식창조방법"이라고 했는지 확연하게 알 수 있도록.....흐음....






○ 주 제: 인문학 정보란 무엇인가? - 기록관리의 가치에 대한 음미와 함께

○ 발표자: 김현(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일 시 : 2014년 09월 26일 금요일 오후 7시 

○ 장 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교수회관 강연실




바로 : 기록학은 지금까지 기록의 이름으로 수 많은 정보를 다루어왔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기록관리학의 대부분의 논문은 실무지향보다는 개념지향으로 가는 경향이 보인다. 또한 실무에 관련된 논문도 현대 기록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김현 교수님은 아마도 기록학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확장시킬 수 있는 개념과 방법론에 대해서 이야기하시지 않을까 싶다. 





출처 : http://www.cytoscape.org/



Cytoscape은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지원하는 데이터포맷은  SIF (Simple Interaction Format), GML, XGMML, BioPAX, PSI-MI, GraphML, KGML (KEGG XML), SBML, OBO, Gene Association 이며, 다국어를 지원한다. 



바로 : 이미 사용하는 네트워크 분석툴이 많아서--;;; 아직 직접 테스트는 해보지 않았다. 나중에 심심하면 할듯도...사용해보신 분이 있으면 처리 속도 쪽 이야기 좀 해주셨으면 좋겠다. 





주소 : http://www.illustratedfirstworldwar.com/


London News와 Great Eight Illustrated Magazine collection archives을 활용하여 1차세계대전 기간의 예술 자료의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연구와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시각화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바로: 공유 방식에서 OpenAPI와 같은 기계적 공유방식이 명확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그다지 좋아하는 방식은 아니다. 그러나 특히 교육 영역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을것으로 예상되어 소개한다. 

김바로,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 인문콘텐츠 제33호, 2014.6, 229-254 (26 pages)



김바로_해외 디지털 인문학 동향.docx


김바로_해외 디지털 인문학 동향.pdf


김바로_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hwp


바로 : ......네. 제 글입니다. 나중에 저자판?! 개념으로 잡담?!을 추가해볼까요? ^^::



Kalev Leetaru은 1500년부터 1922년 사이에 출판된 모든 서적 내부의 이미지들을 OCR을 이용하여 자동 추출하여 문맥요소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태깅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추출한 14만장의 이미지를 Internet Archive’s public domain ebooks에 저장하고, 그 중에서 2.6만장을 세계적인 사진공유 온라인 서비스 플리커(Flickr)을 통해서 서비스하고 있다. (Internet Archive Book Images)



주소 : Internet Archive Book Images



바로 : 아직 태깅이 부정확한 면이 있지만, 그것은 사용자들이 알아서 하나하나 수정해주는 대중지성이 해결해주리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디지털인문학/DH_DB] - [DH리뷰] 포토그래머(Photogrammar) - 이미지와 지도의 만남나 이번 프로젝트 같이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이미지의 공개가 한국에서도 빨리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포토그래머(Photogrammar)는 예일대학(Yale)이 미국기관(the United States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and Office of War Information, FSA-OWI)이 보유하고 있는 1935년부터 1945년 사이의 사진 170,000장을 웹기반 지도 서비스에서 검색과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한 프로젝트이다.




주소 : http://photogrammar.yale.edu/


바로 : 개인적으로 현재 산재해 있는 한국 근대의 사진도 저작권 오픈으로 서비스를 한다면 학술연구는 물론 사업적으로도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Where to Start? On Research Questions in The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인문학이 가지는 특징은 프로젝트 수행이다. 기존의 맥스웰 접근법에서는 목표, 개념, 연구질문, 방법, 유효성에 따라서 연구 디자인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서 프로젝트 제안서를 작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인문학은 그 태생 자체가 프로젝트(자체적인 프로젝트이든 외부 펀딩이든)을 수행하게 되어 있고, 프로젝트 수행 기획에서의 목표, 개념, 방법, 유효성의 범위와 제약으로 인하여 연구 질문이 자연적으로 형성되고 투영된다. 그렇기에 최초의 연구 질문에 대한 대답을 충실히 탐구하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게 된다. 기존의 연구 목표와 새로운 관심을 혼동하게 되면 연구나 프로젝트 모두가 미궁으로 빠질 수 있다. 


글쎄...본인이 해석을 이상하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다만 위의 질문은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의 연구질문의 확장을 거부하는 실제적인 이야기이지만, 연구 기획단계에서의 연구 질문에 대해서는 괜찮은 해답이 될 수는 없다고 본다. 사실 연구 기획 단계에서의 연구 질문의 형성은 다양한 방법이 있기에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들고 그다지 큰 의미도 없겠지만...결국 "재미"가 아닐까 싶다.




Ocular Historical Document Recognition System



미국 버클리(Berkeley) NLP 그룹에서 공개한 OCR 시스템을 활용한 고문헌 폰트 자동 추출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는 영어에 대한 폰트 추출을 지원하고 있는데, 기본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한자에 대한 폰트 추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역시 그다지 관심 영역은 아니라서....관심 있는 분들은 보시기를~~~





Faster and Cheaper: Can a Digital-Centric Workflow Transform the Book Review?

http://www.sr.ithaka.org/sites/default/files/files/SR_BriefingPaper_FasterCheaper_20140827.pdf


인문사회분야의 학술논문의 초본부터 출판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미국 인류학 협회(AAA)의 출판감독인 온나 슈미트(Oona Schmid)는 출판시일이 걸리는 이유가 아직 인쇄 중심의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그녀는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빠르고 저렴한" 도서 출판 시스템을 검토하였다. 


온라인 출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존 종이 출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결국은 종이 출판은 일부 사람들의 고급 취미로 남게 될 것이고, 모든 것이 디지털로 변환될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그다지 와 닿는 내용은 아니다. 다만 과도기에서의 방법론으로 받아들일 생각이다. 





세계 디지털인문학 대회 2015의 참가 제안이 시작되었습니다. 2015년 6월 29일부터 7월 3일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세계 디지털인문학 대회(DH 2015)가 개최됩니다. 세계 디지털인문학 최대 포럼인 만큼 디지털인문학의 현주소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기회이자, 자신의 성과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마감이 2014년 11월 3일인만큼 한국에서도 많은 참가자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정작 저는 어떻게 할런지...돈...돈이...쿨럭 -0-;;;



세계 디지털인문학 대회(DH2015) 홈페이지

http://dh2015.org/


세계 디지털인문학 대회(DH2015) 논문 공모

http://dh2015.org/cfp/





On Latour's Notion of the Digital


세계디지털인문학대회 2014의 기조연설을 한 라투르(Latour)의 디지털 개념에 대한 논의이다. 라투르는 디지털의 특이성을 부정한다. 그는 디지털은 표현 형식의 변환일 뿐 아날로그와의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고 주장한다. 본인도 결국 인간의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연구가 인문학이기에 디지털로 변환되었다고 그 본질이 변화하지는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만 그 방법은 분명히 달라지게 된다. 돌에 글을 기록하는 것과 종이에 글을 기록하는 것은 당연히 다르지 아니한가?


그 외의 논의사항은 그다지 본인의 관심사항이 아니다. 디지털의 개념에 대한 디지털인문학자의 관심이 궁금하다면 한번 글을 살펴보기 바란다. 다만 한가지만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본 논의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이들은 실제 디지털인문학 실무를 경험하였다. 디지털인문학 실무를 경험하지도 않고 이론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당구에 대해서 말하려면 300이상은 무리라도 최소한 150은 쳐야 되지 않겠는가?! 야구에 대해서 논평할려면 최소한의 규칙을 습득하고 캐치볼 정도는 해봐야하지 않겠는가?!


본 내용은 項潔 編,《數位人文研究與技藝》,國立台灣大學出版中心, 2014年의 王汎森,數位人文學之可能性及限制 – 一個歷史學者的觀察을 읽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정리한 내용이며, 왕판션 논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도 있다.

 

왕판션은 디지털인문학의 장점을 디지털화와 데이터 처리 효율성, 교류와 교육 방법의 혁신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가능성으로 1) 데이터의 정량화를 통한 “무의 역사” 연구방법론의 확대 2) 인문 빅데이터 활용 3) GIS(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한 공간 사고력 향상을 거론하였다.


1. “무의 역사” 연구방법론은 방대한 사료의 공백을 통한 연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곽말약(郭沫若)는 고문헌 진위 판별법에서 금문에 해당 고문헌 내용 출현하지 않는다면 위서로 판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문제는 방대한 금문을 모두 살펴보고 해당 내용이 없다고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디지털인문학에서는 간단하게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소수라고 분명히 말할 수 있다.


2. 인문 빅데이터는 방대한 사료와 빠른 데이터 처리를 기반으로 기존에 연구가 힘들었던 다점접 연구방법을 손쉽게 활용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서 유럽의 Mapping the Republic of Letters는 유럽 개몽시기의 문인들 간의 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GIS 기술을 활용하여 프랑스의 사상이 영국으로 유입되었다고 단정할 수 있었다.


3. GIS(지리정보시스템)는 기존의 인문학자들이 사료에 매몰되어서 쉽게 간과하던 공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렇다면 왕판션이 생각하는 디지털인문학의 한계는 무엇인가?

1) 사료의 단편화로 시야가 좁아진다.

디지털인문학으로 인하여 그 동안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읽어야 되는 사료를 간단한 검색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4사에 대한 내용을 검색해서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은 결코 24사를 통독하는 것을 대체할 수 없다. 수 많은 사료 데이터에 대해서 단순한 검색어로 접근할 경우, 사료들의 특성을 간과하거나 선후관계에 대한 고찰이 부족해질 염려가 높다.


가장 좋은 것은 해당 사료들에 대해서 통독도 하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을 통해서 얻는 것이다. 그러나 방대한 사료를 모두 통독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역사적 시야를 좁히는 것은 더더욱 있어서는 안될 일이다. 양자를 어떻게 “적당히” 활용하느냐는 지속적인 문제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2) 발산과 수렴의 본질적 차이

인문학은 보통 특정 사건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해당 문제의식에 대한 외연을 넓혀간다. 그런데 디지털인문학은 수 많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한다. 이 둘은 서로 상생할 수도 있지만, 상극이 될 가능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왕판션은 이기론(理氣論)을 거론하며, 인문학은 이(理)로서 사물의 본질이고, 디지털인문학은 기(氣)로써 사물을 담는 그릇으로 비유한다. 이와 기는 서로 다르면서 서로 같은 존재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바로 : 왕판션이 지적한 디지털인문학의 한계를 매우 재미있게 보았다. 그런데 디지털인문학을 주장하는 본인도 원래 역사학도였고, 대충이나마 춘추삼전과 자치통감을 통독하였다. 이건 당연히 전통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시켜야되는 영역이며, 넓은 역사적 시각을 갖는 것은 역사 교육의 핵심 중에 핵심이다. 그런데 반대로 생각하면 결국 방대한 사료의 바다에서 25사도 조그마한 일부분일 뿐이다. 결국 모든 사료를 읽는 것은 인간에게는 불가능하다. 


가장 재미있는 것은 인문학과 디지털인문학을 이기론과 비유한 부분이다. 정말 수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내용이 아닐 수 없다. 정반합...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본 데이터는 조선후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2002년도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에서 편찬한 한국역제사의 역로를 기초자료로 사용하였습니다. 입력된 대로는 의주대로, 함경대로, 영남대로, 호남대로입니다. 




20140824_조선대로_김바로.kmz



역참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고증되지 않은 곳이 있기에 100% 정확한 고증은 아닙니다. 다만 최대 범위 10KM 내에는 무조건 해당 역참이 존재하였을 것이며, 사실상 남한은 반경 3KM내, 북한은 5KM내에 실제 해당 역참이 존재합니다. 


실록사전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자료 검토 및 활용가능성 타진용으로 꽉찬 하루동안 만들어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에서는 사용하지 않을듯 해서 공개합니다. 오류가 있을시 언제든지 신고 부탁드립니다.



구글어스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구글 어스 홈페이지 : http://earth.google.com/intl/ko/

구글 어스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소프트웨어입니다. 그 중에서 구글어스를 통해서 좌표나 선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지도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들은 KML으로 저장됩니다. 구글어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KML 파일을 클릭만 하여도 자동으로 위의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인문학과 디지털인문학의 관계는 이기론(理氣論)의 이기(理氣)간의 관계와 유사하다. 디지털인문학은 기(氣)로서 사물을 담는 그릇이고, 인문학은 이(理)로서 사물의 이치 자체를 말한다. 물론 디지털인문학은 어디까지나 인문학 연구를 위한 그릇일 뿐이며, 더 뛰어난 연구방법론이 발견된다면 언제든지 없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소한 100년내로는 디지털인문학의 방법론을 뛰어넘는 인문학 연구 방법론이 나올 수 없다고 생각된다.


이기론 때처럼 극단으로 서로 나누어지려는가?! 결국 이기론도 이와 기 모두가 중요하다로 회귀하였다. 인문학과 디지털인문학과 다르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서로 나누어지는 기간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서 최대한 단축될 수 있기를 소망할 뿐이다.




미국 NEH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에 대한 리뷰를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 직접 올려둔 링크로 가서 경험을 해보고, 본인의 인문학 연구에 어떻게 응용이 가능할지 고민해보았으면 한다. 


단! 포럼에서도 강조하였지만!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의 인문학에 의한 인문학을 위한 방법론이며 학문분과이다. 자신이 할 자신이 없어서 무시를 하든 도태가 되든 상관이 없다. 그러나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철학의 온톨로지를 "기술"로 치부하는 등의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는 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설령 기술적인 내용이 나와도 쫄지마라. 누가 프로그래밍 수준까지 다 하라고 했는가?! 그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설계까지 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오히려 프로그래밍까지 다 하겠다고 하는 것은 축구선수가 갑자기 야구선수를 하겠다는 것과 다를바가 없는 바보짓이다. 물론 둘 다 하는 극소수의 사람도 있지만, 그건 극소수일 뿐이다. 



20140819_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_김바로.ppt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