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출판대국이다. 정확히는 참고서 출판대국이다. 한국에서 출판되고 유통되는 대다수의 서적은 사실 중고등학교 참고서이다. 씁쓸한 현실에 대한 비판은 뒤로 하고, 참고서의 미래를 생각해보자.


맞춤형 교육은 한국 교육의 미래이다. 보편적인 지식의 전달을 넘어서 개개인이 더욱 알고 싶어하는 사항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는 것이야 말로 맞춤형 교육의 미래이다. 역사 시간에 난중일기가 언급이 되었는데, 만약 난중일기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면, 지금으로서는 난중일기를 찾아서 읽는 방법밖에 없다. 그러나 디지털 교육에서는 그 자리에서 곧장 난중일기의 해석된 전문을 읽을 수 있다. 더 관심을 가진다면 한자로 된 원문과 주석을 볼 수도 있다. 반대로 수학시간에 함수에 대해서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함수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내용을 제공하여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보충하게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디지털 교육은 단순히 암기력만을 강조하고 있는 현재의 시스템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다. 단순한 검색으로 알 수 있는 "년도"나 "고유명사"보다 사건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하는 교육으로 이행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수능시험에서도 단순한 계산이나 암기문제보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실전적이고 실천적인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책으로 출판된 교과서와 참고서는 그 매체의 특성상 보편적인 지식을 밀어넣는 것도 힘들어하고 있다. 맞춤형 교육은 망상이며, 무조건적인 암기만을 강요할 수 밖에 없다. 결국 한국교육의 미래를 위해서는 디지털 교과서와 참고서의 등장은 반드시 필요하다.



사실 디지털 교육을 위한 한국의 환경은 상당히 뛰어나다. 한국의 어느 곳에서도 초고속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청소년들도 디지털 매체의 조작을 호흡처럼 생각하고 있다. 다만 제대로 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가 부재할 뿐이다. 이러한 디지털 교육 콘텐츠의 부재는 기존 학교선생들의 나태나 출판계 거대권력 참고서 출판사들의 방해 등 다양한 요인을 거론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교육을 위한 콘텐츠 부재의 본질적인 핵심은 정부의 무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서는 어디까지나 교과서의 부산물일 뿐이다. 만약 정부가 앞장서서 "디지털 교과서 표준안"을 마련하고 디지털 교과서로의 이행을 준비한다면, 디지털 교육으로의 이행에 충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디지털 교과서 표준안은 단순히 과거의 교과서 표준안을 복사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내용의 무한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그에 합당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령 합리적인 디지털 교과서 표준안이 만들어지지 않더라도, 이를 보충하는 다양한 디지털 참고서가 탄생할 것이다. 정부가 해야되는 일의 핵심은 "디지털 교과서 표준안"을 시작하는 것 뿐이다. 잘하면 좋겠지만, 굳이 뛰어나지 않아도 된다. 시작 자체가 중요하다.



-------------------------------------------------


잡상이라서 아직 정리가 안된 글 ~.~

그냥 아이디어를 배출해서 나열할 뿐~~~

언젠가~ 먼 훗날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