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인문학. 최근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을 몸으로 느끼고 있다. 해외 학술 동향의 영향이든, 한국 대학교 인문학의 붕괴로 인한 탈출구 모색이든, 디지털인문학을 새로운 키워드로 잡고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열기의 상승과 동시에 해외 디지털인문학에서의 화두 중에 하나가 한국에서도 출현하고 있다. 



"누가 들어와야 되고, 누가 나가야 하는가?(참고 "The Digital Humanities Moment")" 



디지털인문학은 "디지털 방법론에 입각한 새로운 인문학 연구"을 말하는가?! 맞다. 본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며, 디지털인문학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디지털인문학은 "디지털 시대에 인간이 살아가는 철학에 대한 연구"을 말하는가?! 맞다. 본인으로서는 별로 관심이 가지 않는 영역이지만, 인문학의 연구주제로써 "디지털"을 상정하는 것도 넓은 범위에서의 디지털인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말하는가?! 맞다. 후속세대를 위한 교육은 언제나 인문학의 핵심 중에 하나였고, 현재는 디지털인문학의 핵심연구분야는 아니지만, 근시일내에 핵심주제로 부상하리라 생각하는 영역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디지털인문학의 정의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다만 한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기술이나 디지털 방법론에 대해서 일자무식이고, 이를 배울 의지조차 없는 이들이 말하는 디지털인문학은 거부한다. 더 쉽게 말해서, 논어 한 번 읽어보지 않고 공자의 사상을 논할 수 없는 것처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조차 한 번 해보지 않고, 기존의 아날로그 시절의 경험에 의거한 디지털 시대의 인간의 삶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생각해도 인정할 수 없다. 본인은 스마트폰조차 제대로 다루지 못하면서, 아이들에게 휴대폰 APP을 만들라는 행위는 교육자로서의 소양마저 의심스럽다.


물론 인문학자에게 정보학자 수준의 디지털 기술이나 디지털 방법론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최소한 정보학자와 "말이 통하는 수준"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실제 융합 프로젝트 수행 경험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인으로서는 최우선적으로 DATA가 무엇이고, DATA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관리해야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사람마다 분석 혹은 시각화 혹은 그 외의 디지털 기술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분야는 그 분야에 특화된 정보학자나 디자이너들에게 맡겨도 된다. 그러나 인문학 DATA의 구축과 운영은 정보학자들이 결코 따라올 수 없는 분야이며, 동시에 분석과 시각화의 토대가 된다는 면에서 최소한의!! 정말!!! 이것만이라도 하자라는 의미에서 DATA을 외치고 싶다. 




-----

타이완에서 돌아와서 그 동안 밀린 일을 처리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

무엇보다....타이완보다 너무 춥습니다....추워요...ㅠㅠ


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인문학 교육


 추진 배경

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을 융성할 수 있는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 디지털인문학은 세계적으로 인문학 위기의 타개책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창조경제의 토대가 되는 인프라 구축 가능

 “초중등SW교육활성화 정책”에 필수불가한 인문학 소질을 갖춘 초중등SW 교육자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자 양성의 필요성


 사업 목적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 도약을 위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 인문학 대중화를 통한 창조경제 인프라를 구축할 능력을 갖춘 디지털인문학자 양성


 사업 방향

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 방학기간을 이용한 1~2주간의 집중 교육

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및 실습

- 디지털인문학 DB 구축 영역(XML, TEI, RDB 등)

- 디지털인문학 분석 영역(말뭉치(Copus), 지리정보시스템(GIS),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등)

- 디지털인문학 시각화 영역(멀티미디어, 파노라마, 3D 모델링 등)

- 디지털인문학 교육방법 영역

 사업 결과물은 정부 3.0에 따라 모든 이들의 접근이 가능해야 함

- 접근성과 확산성을 위하여 필히 온라인으로 공개되어야 함



디지털인문학교육_초안_김바로.pptx





바로 : 심심풀이?! 겸 프로젝트를 위해서 구상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미국 NEH의 디지털인문학자 양성교육 프로그램들을 참고하였습니다. 아직 다듬어야되고 보충해야될 내용이 많지만...그냥 너무 오래동안 글을 안 올려서...~.~;;;


개인적인 생각일수도 있지만, 객관적으로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석박사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이 최고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미국이나 다른 국가의 디지털인문학 교육 과정을 보아도 한중연의 과정과 크게 다른 점이 없다. 대표적인 미국의 2주간의 집중과정이 한중연 한학기 프로그램과 비슷하다. 




다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는 고민이 남는다. 사실 기술 자체는 오히려 대학생들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물론 대상이 되는 인문학 데이터 자체의 수준은 떨어지며,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디지털인문학을 할 수 밖에 없는 절박함이 없이 기술만을 배우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디지털 조선왕조실록은 인문학자에게 훌륭한 디지털인문학의 기본을 보여준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거나...완독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정이상의 전체 문장을 보지 않고, 검색을 통한 단편적인 자료 취득은 인문학의 쇄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다. 물론 이건 디지털인문학의 문제라기 보다는 인문학에서 어떻게 전통 인문학 교육과 디지털인문학 교육을 병행하느냐의 문제에 가까우며, 디지털인문학에 집중하는 본인으로서는 살짝 거리가 있기는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