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crl.ala.org/dh/2014/04/09/defining-digital-social-sciences/


Defining Digital Social Sciences(디지털 사회 과학의 정의)는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주 관심사가 사회과학 영역이지만, 인문학에서도 적용 가능한 내용들이다. 


저자는 디지털인문학의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적용에 대해서 "디지털 사회과학"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사회과학 영역과 방법론으로 "네트워크", "지리정보시스템", "디지털 문화유산", "인터넷연구"을 거론하고 있다.


제일 좋은 것은 해당 내용을 번역해서 소개하는 것이겠지만......언젠가?! 먼 훗날에?! 긁적...


미래창조과학부는 1일 서울 테헤란로 르네상스 서울호텔에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디지털 헤리티지 포럼' 출범식을 개최했다.


미래부는 올해부터 문화유산과 3차원(3D).가상현실 등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헤리티지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 시장을 창출하고, 문화유산의 홀로그램 관광자원 개발 등을 지원한다.


문화유산은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문화 자원의 보고(寶庫)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문화원형 복원 및 데이터베이스(DB)화 수준에 그치고 있어 산업적 활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미래부는 올해 시범사업으로 약 20억원을 지원해 2~3개 콘텐츠를 개발하고, 중장기적으로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은 물론,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가상현실 석굴암(예시)' 등과 같은 랜드마크형 헤리티지 콘텐츠도 개발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산업 파급효과나 관광 활용도가 높은 유형 문화재의 디지털화를 중점 지원하되 전통예술. 인문사회 등 무형문화재의 디지털화도 지원한다.


이날 출범한 '디지털 헤리티지 포럼'은 미래부와 문화재 전문가, 디지털 콘텐츠기업 등 2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향후 사안별로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개방형으로 운영된다.


hwyang@fnnews.com 양형욱 기자


출처 : 파이낸셜뉴스



바로 : 디지털 문화유산은 구축난이도와 효과 모두가 효율적인 좋은 주제이다 다만 문화재 담당부서인 문화재청은 어디에 있는가? 이미 문화재청에 구축되어 있는 문화유산 데이터(3D포함)은 무시하고 미래부만으로 디지털 문화유산을 만들려고 하는가? 


뉴스가 잘못된 것이기를 바란다. 그렇지 않다면 미래부의 관련 부처와의 협력 부재와 중복예산처리가 비판받을 것이다. 문화재청....발끈했겠는걸-_-;; 문화재청이 배제된 디지털 문화유산이라...허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