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12일, 교육부는 국정 교과서 전환 확정 발표를 하였다. 고시된 대로 진행될 경우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2017년부터 국정교과서로 전환되게 된다. 


역사학을 공부했던 사람으로 한 마디 안 할 수가 없다. 일단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대학교 역사학 개론만 배웠어도 한국사 국정교과서가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일인지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마디로 현대 역사학의 기본도 모르는 작태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지켜보면서 군생활에서 겪었던 일화가 생각났다. 나이 30에 국방의 의무를 다 하기 위하여 일반 사병으로 입대하였다. "늙은이"여서 간부하고도 자주 이야기를 한 편이였고, 정보과에서 일을 하다보니 기무쪽과도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많았다. 당시 민간인 사찰에 대해서 기무의 간부와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기무의 간부의 주장대로 대북 간첩에 대한 감시에서 현행법을 모두 지키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인은 중국에서 오래 유학한 입장에서 한국이 북한이나 중국 수준으로 언론자유와 사상자유가 억압되기를 원하지 않기에, 현행 법에 어긋나는 순간 가차없이 처벌되어야 된다고 이야기 하였다. 아무리 안보를 위한다는 명분이 있더라도 그것보다 더 우선되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파괴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국을 북한 수준으로 격하시키는 "빨갱이의 농간"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한국의 민주주의가 이 정도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한국의 사상자유가 이정도 밖에 되지 않는가?! 아니다. 결코 그렇지 않다.


개인적으로 국정화 찬성자들의 말 중에서 가장 한심한 말이 "국민들의 이념적 편향성으로 인한 사회적 논쟁을 종식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통합을 이룩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역사학. 아니 민주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조차 없는 한심한 말이다. 


민주주의는 서로 다른 생각이 공존할 수 있는 인류의 역사에서 현재까지 존재했던 정치체계 중에서 가장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대안이다. 다시 말해서 민주주의가 전재하고 있는 것은 인간은 누구나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공동체를 이룸에 있어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생각을 같은 생각으로 통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서로 다른 생각을 "조화"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학문적으로 보았을 때도, 현대 역사학은 사료를 기반으로 한 토대가 분명하다면, 서로 다른 역사관을 긍정할 수 있다고 본다. 근거도 없는 헛소리가 아닌 바에야, 서로 동일한 사실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으며, 마땅히 서로 다른 해석을 해야된다.


그렇기에 역사 교육의 핵심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해석을 설명해주고, 이에 따른 피교육자 스스로가 각각의 해석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제대로 역사를 교육할려면 당연히 서로 다른 해석이 충돌해야되는 것이다. 생각의 충돌은 당연하며 권장되어야 된다. 문제는 충돌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이다.


혹자는 국정화가 진행된다면, 소위 말하는 뉴라이트계열의 역사관으로 통일될 것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사상적인 충돌이 있는 모든 역사적 내용을 축약하거나 없애버리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오히려 그것이 더욱 두렵다. 역사 교육의 의미가 완전히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하아...정말 대학교 수준의 역사학개론만 들어도 이야기할 수 있는 잡담을 굳이 해야되는 현실이니 답답할 뿐이다. 하아...정말 진심으로 한국이 북한 수준으로 추락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대체..하아...한국아. 한국아...힘내자. 


박근혜 대통령이 참가한 가운데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인 문화융성위원회 산하 인문정신문화특별위원회의 제안을 토대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인문정신문화 진흥 7대과제"을 발표하였다.


▲ 초·중등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인문정신 함양 교육 강화 

▲ 인문정신 기반 대학 교양교육 개선 

▲ 인문 분야 학문 육성 

▲ 전국 문화 인프라를 활용한 문화체험 확대 

▲ 인문자산과 디지털 연계 프로젝트 지원 

▲ 은퇴자의 청소년 교육 참여 등 문화 향유 프로그램 다양화 

▲ 국제교류 활성화


또한 인문정신문화특별위원회는 미국의 NEH(국가인문학재단)과 같은 국가차원의 진흥기구 설치도 제안하였다. 


본인의 관심영역인 디지털인문학의 입장에서 이번 "인문정신문화 진흥 7대과제"을 살펴보았다.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은 "인문자산과 디지털 연계 프로젝트 지원"일 것이다. 


 "인문자산과 디지털 연계 프로젝트 지원"은 디지털인문학에서는 기본 중에 기본으로 다루어지는 영역이다. "인문자산과 디짙러 연계 프로젝트 지원"은 "디지털인문학 지원"과 같다고 생각된다. 다만 지난 10년동안의 디지털연계가 실패라고 생각되는 핵심인 인문학자가 배제된 디지털 연계를 답습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인문학자의 인문학자에 의한 인문자산의 디지털 연계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인문학자가 스스로 디지털 연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업체에 디지털 연계를 시키는 것은 돈을 날리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인문학자는 자신의 인문학 지식이 제대로 디지털 연계되기를 원한다면 직접 할 줄 알아야 한다. 직접 하지 않고 업체가 알아서 다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마치 업체가 인문학자만큼의 인문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하등 다를바가 없다. 


대부분의 인문학자들은 디지털 연계를 못한다고?! 그럼 배워라. 대체 인문학자들은 무슨 용가리 통뼈라고 새로운 것을 피하려고만 하는가?! 개인적으로 그런 사람들을 볼 때마다 그렇게 디지털이 그리도 싫으면 워드(한글)을 쓰지 말고 원고지에 논문을 쓰라고 말해주고 싶다. 무엇보다 워드를 배울 수 있으면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배우는데 그다지 어려움이 없다. 본인 주변에는 70에 가까운 나이에 디지털인문학을 공부하시는 분도 있으시다. 그러니 온갖 핑계를 대며 두려움을 포장하지 마라. 디지털인문학은 쉽다!


물론 국가차원에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연계를 위한 교육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교육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씨앗을 뿌리는 작업이다. 그렇기에 효과가 비교적 즉각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씨앗이 자라서 꽃이 되고, 다시 또 다른 씨앗을 낳으며 인문학이 꽃 피울 것이다. 무슨 말이 필요 있는가?! 교육은 백년대계이다.


그 외에 "인문 분야 학문 육성"은 너무나 추상적인 내용이라서 무엇이라고 말하기가 애매한 사항으로 보인다. 인문 분야에 돈을 더 지원해줄 모양인가 보다?! 국제교류 활성화 부분에서는 두가지만 말하고 싶다. 해외의 소위 선진국의 학계의 대세는 "디지털인문학"이다. 아니! 국제교류에 디지털이 어떻게 빠지겠는가?! 요즘 누가 사전이나 강좌를 찾아다니는가?! 인터넷으로 모든 자료가 공개되는 세상이다.(...곁다리로 게임팬으로서 게임문화의 국제교류 활성화도 쫌......대체 음악, 드라마를 싹다 합친 것보다 2배 이상의 돈을 벌고, 전세계 게이머들에게 한국짱! 이라는 소리를 당연히 듣는 게임문화 영역이 어째서 이렇게나 천대를 받아야되는 것인지...)


"은퇴자의 청소년 교육 참여 등 문화 향유 프로그램 다양화"의 경우 개인적으로 전통적인 방법에서 탈피해서 온라인으로 옮겨왔으면 한다. 어차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그런 강의가 있으면 그냥 잔다. 어떤 청소년이 노인네가 주저리주저리 하는 것을 열심히 듣고 있겠는가?! 그냥 TED와 같은 모델을 활용해서 온라인을 통해서 강의를 완전히 오픈해버려라. 그럼 학생들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강의를 들을 수 있고, 강사들은 자신의 실력을 적나라하게 평가받게 될 것이다. 실제로 소요 예산자체도 훨씬 더 저렴하게 든다. 또한 명강의는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자막까지 입혀서 해외에 전파할 것이다. 이것이 창조경제이고, 정부 3.0인것이다. 



다만 개인적으로 이상한 것은 "미국 NEH와 같은 국가 차원의 진흥기구 설치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국에는 미국 NEH와 같은 인문학진흥기관은 이미 존재한다. 한국연구재단이다. 그런데 뭔 미국 NEH와 같은 인문학진흥기관을 또 만든다는 말인지 모르겠다. 한국연구재단에 대한 견제인가? 아니면 또 다른 밥그릇 만들기인가? 도통 뭔지 모르겠다. 뭐지?? 굳이 미국 NEH을 따라할려면 현재 NEH의 핵심 사업인 디지털인문학 정책이나 따라해줬으면 좋겠다. 괜히 Post-HK라고 해서 눈먼 돈 뿌리는 일이 될 가능성이 농후한 소규모 인문랩에 1억~1억5천만원씩 지원하는 사업 대신에 말이다.

 

구글은 구글 문서편집도구와 드라이브를 활용한 교육지원플랫폼 구글 클래스룸(oogle Classroom)을 발표하였다. 이미 구글의 문서편집도구와 드라이브는 교육, 회의 등의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아직도 접근이 힘든 면이 있다. 그렇기에 특정 목적에 가장 효율적인 플랫폼 제공은 필연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도 기존의 교육부 나이스(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나이스 시스템을 단순한 관리시스템이 아닌 EBS의 교육콘텐츠와의 적극적인 연계를 통한 종합교육시스템으로서의 전환은 한국의 교육경쟁력을 강화시키리라 의심치 않는다. 


https://www.google.com/intl/ko/edu/classro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