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린 여자에게서 매정스레 떨어져가는 오입쟁이의 작태를 떠올리면서 그는 쓸쓸하다. 지금 이렇게 마주서도 얼글 손을 뻗쳐 빼내고 싶도록 힘쎈 끌심을 가진 책은 없다. 한때는 책장마다 빛무리가 쳐보인 벅차던 책들이면서도. 평생을 거친 계집질 끝에, 사랑한다고 다짐해가며 살을 섞은 여자들을 한 사람 한 사람 떠올려보면서, 막상 다시 한번 안아보고 싶은 상대가 하나도 없는 것을 알게 되는 오입쟁이의 끝장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 최인훈의 "광장" 중에서...

사촌동생이 가지고 온 책을 읽다가 보인 구절이다. 그리고 구절이 나의 마음에 가득 차 버렸다. 아니. 나의 마음을 가장 잘 대변해주면서도 비겁하게 후려파고 있다. 나는 아직도 책을 사랑하는 것 같다. 아직도 그들을 버릴 수 있는 용기가 없다. 아니. 미련을 끊을 용기가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어떤 책이든 한 번 잡으면 마지막 내용이 끝나기 전에는 어떤한 일도 하지도 않았던 나.
이미 과거형이 되어버린 모습을 회상하며 담배를 손에 잡는다.



낭만돼지 데이지 2가 현재 다음에서 연재중입니다. 전편인 데이지 1이 사랑이야기였다면, 이번 2편은 이별뒤의 이야기입니다. 저는 지금 깜찍한 여친님과 매일 투닥투닥 퍽퍽퍽 하면서 살고 있으니 이런 이별이야기에 별로 감흥이 오지 않는 것이 당연할 텐데 이번 16화 우연한 만남을 보고 순간 멍해졌습니다.

제 나이 한국나이로 27. 매번 세계 나이인 25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20대도 이미 꺽인 상태. 이 나이 먹고록 과거가 없었다는 것은 어찌보면 거짓말 중에서 거짓말이겠지요. 뜨거웠던, 이상했던, 묘했던, 차가웠던, 사무쳤던, 슬펐던, 울부짖던, 치를 떨던 모든 기억들이 마음 속에 묻혀있는 것이지요.

요요에게 혼날지도 모르겠지만 이런 말을 하고 싶습니다.


보고 싶군요. 그때 그 순간의 그녀들이...


제가 인용한 페이지는 요기!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왠만하면 데이지 1부터 차근 차근 보실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처음부터 보시는 주소는 요기! 입니다. 시간을 투자해서 보셔도 후회하지 않으실 만화입니다. 개인적으로 만화 왕국 다음이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는 몇몇 작품에만 투자하고, 성향이 비슷하게 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다음은 다채로운 만화를 선보이는군요. 또한 만화를 보는 UI도 다음쪽이 훨씬 좋습니다. 지금까지는 다음이야 말로 웹툰 왕국입니다.




본 글은 데이지2을 보고 홍보하고자 쓴 글입니다. 저 자신은 행복하게 여친님과 하하호호 웃고 있답니다. 오해하지 마셔요 -0-! (...요요야...그냥 홍보글이야 홍보글^^:: )  

과거는 낯선 나라다.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1985)

데이비드 로웬덜 지음
김종원, 한명숙 옮김 
개마고원

출간일 : 2006-06-20 | ISBN : 8957690441
양장본 | 877쪽 | 223*152mm (A5신)

정   가 : 38,000원





역사는 더이상 진실이 아니다. 단지 현재의 해석일 뿐이다. 역사라는 것을 공부하면 공부 할수록 마치 "오언절구"와 같이 일정한 규격속에서 풀어나가는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든다. 과거는 완전하지 못하고, 완전해 질 수도 없다. 마치 지금의 우리 현재도 완전히 구현하고 표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로웬덜은 완벽한 역사를 포기하라고 말한다. 그런것은 환상이며 오만이라고 선언한다. 그리고 되도록 완벽한 역사를 위해서 노력하라는 어정쩡한 결론을 제시한다. 신이 죽고, 더이상 절대적인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 우리의 시대에 영원히 닿지 않을 지평선을 향해서 나아가나는 것이 옮은 것일까?

또한 일반인이 역사를 너무나 쉽게 접할 수 있게 됨으로서, 역사에 대한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인 존재가치를 너무나 귀중하게 생각하는 로웬덜 자신도 말했던 역사학의 치명적인 단점을 어떻게 처리해야 되야 된다는 말인가? 역사가 역사 이상의 것이 되었을 때, 민중을 선동하는 도구가 될 뿐인데 말이다.

어마어마하게 두꺼워서 접근을 금지하고 있는 듯한 책. 그러나 역사학도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또한 역사에 관심이 있는 우리의 애국적인 국민들에게도 권하고 싶다. 환단고기를 즐겨 보는 것을 말릴 생각은 없으나, 역사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이 책을 통해서 이해하고 다시 한번 환단고기를 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런데 진실이라는것은 있긴 있는건가?




책에 밑줄 긋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