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관모에서 신발에 이르기까지 북방민족들의 의복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고구려는 건국 때부터 중국과 접촉했으면서도 의복의 재료에서부터 형제들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고구려가 북방민족이나 중국과는 다른 고유한 문화를 굳게 지키고 있었다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우리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나타나는 이 고유한 복식문화의 요소들을, 단순히 고구려의 문화권이라는 차원을 넘어 고구려가 줄곧 추구하고 실현하고자 했던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의 의식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옷차림문화 -중국 및 북방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선희(숭실대)


1) 처음 보고서 환빠인줄 알았는데, 나름 정식 논문이었다. 최소한 환빠처럼 고구려 대륙경영설을 주장하지는 않는구나. 기뻐해야되나? 

2)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 의식이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기본적으로 고조선의 의복에 대한 고증과 고구려 의복간의 비교가 있어야되는 것이 아닌가? 그것 없이 무조건 고조선으로부터 이어진 한민족 의식이라니....

3) 본인 복식사에 대해서 잘 모른다. 하지만 샤마니즘쪽으로 공부하다 보니 몇 가지는 알고 있는 지식이 있다. 깃털달린 모자(羽帽)와 같은 경우, 너무나 분명한 북방계열의 샤마니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근데 이건 왜 논문에서 고증을 하지 않는가? 유리한 것만 쓰고, 불리한 내용은 무시하는 것인가?


본인 중국에서 공부하다보니 한국의 역사계에 대해서 무지하다. 하지만 박선희씨는 숭실대의 교수라고 알고 있다. 교수님. 사학을 공부하고 있는 사학도로서 솔직히 말합니다. 이건 좀 심하신 것 아니십니까?

그리고 인접해 있는 문화는 서로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서로간에 영향을 받으면서 서로가 점차 변해가는 것이다. 하다못해서 한족중심 사상의 중국에서도 북방민족의 의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당연히 이야기하는데, 대체 박선희씨는 무슨 깡인지 모르겠다. 모르겠다. 본인 의복쪽에 무지 약하고, 별로 관심도 없는지라 더 이상 이야기를 하기는 힘드나...거..참;;;

아래글을 심심풀이로 씹으려고 가지고 왔습니다.

점점 취미가 이상해져가는 것은 저도 느끼고 있습니다.


졸저 『신시본토기』의 378쪽 원문에서 인용.
(원문)
桓公問管子曰, 吾聞海玉幣七莢
可得以問乎, 管子對曰 陰山之유혼一莢也
燕之紫山白金一莢也, 發朝鮮之文皮一莢也

(풀이)
환공(桓公)이 관자(管子)에게 물었다. "나는 천하에 일곱 군데의 보물이 있는 곳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보물을 어디서 구할수 있겠습니까? 그 위치를 자세히 가르쳐 주시기를 바랍니다." 관자가 대답하기를, "첫번째 보물의 위치는 월색(月色)의 보물이 있는 음산산맥(陰山山脈)이요 두번째는 은이 나는 자산산맥입니다. 그리고 발조선에서는 반점(斑點)이 있는 모피를 얻을 수 있으니 이것이 세번째 보물입니다." 라고 하였다.

이러한 문항 외에도 같은 책 속의 경중갑(輕重甲)이라는 항목을 통해서 조선과의 거리가 8천리라느니 조선의 문피를 교역하는 일에 말을 잘 듣지 않으니 많은 돈으로 잘 대접하면 표범가죽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을 덧붙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원문에서 보다시피 호피(虎皮)라는 단어는 찾을 수가 없는데도 호랑이 가죽이란 해설이 등장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말로 호(虎)를 범이라고 하고 표(豹)를 표범이라고 하며 바다에 사는 해표(海豹)를 물범이라고 부른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이 아닌가?

원문에서 볼 수가 있는 "문피(文皮)"라는 단어의 뜻은 무늬있는 가죽을 통틀어서 한 말이므로 확실히 구분이 되지 않지만 경중갑에는 "豹之皮容金而金也"라는 말이 등장하므로 문피는 표범가죽을 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여기서의 豹는 海豹, 즉 물범을 가르키는 말이라는 것이 정답이었다. 호랑이 가죽이란 말을 써서는 안 되는 이유는 우선 가죽과 털옷이라면 추운 지방을 생각하게 되는 것은 우리의 상식이기 때문이다. 백두산을 위시한 만주대륙을 연상하게 되고 따라서 고구려의 수렵도를 상상하게 되면 물범 생각은 아예 달아나고 만다.
그러나 호피를 주요한 수출품으로 다룰만큼 많은 양이 생산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이 호랑이를 산신으로 모시는 풍속이 있어 두려워하며 당시의 사냥술로는 포획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 물범이라는 짐승이 우리 조상들의 귀중한 옷감이 되고 또 수출품으로서 외화를 흭득하는 효자였다는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뒷날 발해국에서 일본으로 수출된 품목 중에는 약간의 호피도 있었다는 것을 참고할 수도 있다.
본래 이 물범이라는 짐승은 북위 42도 이상의 추운 지방인 추코트해나 베링해협에서나 볼 수 있는데 북위 38도 근방인 발해연안에 둥지를 마련하고 서식하는 것은 풀리지 않는 수수깨끼였다고 한다. 같은 물범 중에도 이곳 발해연안 묘도군도에서 서식하는 종류는 얼룩무늬 물범으로써 베링해의 물범과는 차원이 다르다. 큰놈은 크기가 1.3m 정도이며 몸무게는 160kg으로써 근래에는 백령도 근해까지 활동 범위를 넓혔다. 대략 3,000마리 정도가 묘도군도를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다.
그러니까 물범 이야기만 가지고도 고조선은 발해해협의 묘도군도라는 것이 증명이 되는 것이다. 물범이라는 짐승이 평양이나 갈석산 근처에서는 살 수 없지 않은가? 물범의 활동한계는 요동만에서 백령도까지라고 KBS는 밝힌 바 있다.

출처 : 누르시면 날라갑니다~



토론 준비 때문에 글을 찾아보다가 우연히 접하게 된 문장이다. 얼핏 들어보면 말이 되는듯 하지만 솔직히 원문부터 엉터리로 해석한 부분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 원문에 유혼은 礝碈이며 옥과 비슷한 류의 보석이다. 월색의 보물은 대체 어디서 튀어나온건지 모르겠다. 본인이 미숙한 탓인지 출처를 모르겠다. 그외의 해석도....왠 산맥이 튀어나오는건지 모르겠다. 어차피 반쯤 기분풀이로 하는것이니 패스--


일단 표豹를 물범으로 해석한것. 그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실제로 표범이 당시 아시아에 특히 동북지방에 많이 생존했었다는 것은 사료에서도 증명되는 것이다. 표가 호랑이 가죽이 아니라 표범 가죽일 가능성은 배제한 점이 마음에 걸린다. 그리고 물범의 가죽보다는 표범의 가죽이 반점이 있는 가죽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바다표범도 가죽에 줄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반점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지 않은가?


또한 열심히 발해만에서만 나는 물범으로 고증을 했지만, 가장 간단하게 명대에 쓰여진 <朝鲜国治>을 보면 "鴨綠江爲大產, 金銀銅鐵水晶鹽細苧布細花布龍文簾席白硾紙狼尾筆紫花硯果下馬長尾雞貂豽海豹皮八稍魚昆布秔黍麻榛松人參茯苓薏苡,其餘不能殫載云." (표점 무시. 알아서 찍으시길--) 물범가죽을 이씨조선의 특산으로 소개해놓고 있다. 고대 전국시대야 정확하게 고증이 안된다고 하더라도, 이씨조선시대에는 분명히 한국의 영역이 발해만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물범가죽이 특산품이 될 수 있을까? 분명히 한반도 내, 당시 이씨조선왕조 범위안에서 물범이 잡혔다는 말이 된다.


이로서 위의 주장은 대충 깨진듯 하다.

아....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이런 쓸데 없는 글이나 적고 있으니...후..이제 즐거운?! 자치통감의 세계로 출발-_-! 이제 슬슬 前秦전진의 천하통일이구나! 전진! 전진하라!!! (...차라리 한국에서 이주일에 한단락 나가고 싶어.ㅠㅠ 무서븐 중국애들 속도로 읽어내려가야되다니.....가능할리가 없잖아!!!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