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신흥학문을 공부하다보면 재미있는 "의견"을 들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반감만으로 나오는 이런 "의견"에 대답할 필요가 있는지 자체가 의심스럽지만 간단하게나마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각주:1].



1. 디지털 인문학 없어도 지금까지 잘 해왔다?

이런 말은 마치 "지금까지 "한글"이나 "워드"없이 "원고지"에 "펜"으로 논문 잘 써왔다." 라고 말하는것과 다를바가 없다. 요즘 세상에 "한글"이나 "워드"를 사용하지 못해서 "원고지"에 글을 쓰는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학문은 끊임없이 발전해왔고, 디지털 인문학은 분명히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신이 못한다는 이유만으로 유용한 도구를 무시하는 것은 바보짓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디지털 인문학을 한다는 것은 기존의 방법론을 모두 버리는 것이 결코 아니다. 지금까지의 방법론을 컴퓨터와 융합하여 더욱 발전 시키자는 것이다. 이제 단순무식한 반복 작업은 컴퓨터에게 맡기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인문학자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자는 것이다. 




2. 자료를 찾는 것이야말로 인문학의 정수다?

두꺼운 사료를 한글자 한글자 정독하다가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발견했을 때의 희열이야 말로 인문학의 희열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료를 찾아낸 희열? 어떤 것에서 재미를 느끼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다.


다만 10년동안 조선왕조실록과 관련 자료를 독파하면서 원하는 자료를 찾을 것인가? 아니면 단 한번의 검색으로 1초만에 모든 관련 자료를 찾아낼 것인가?




3. 디지털 자료는 부정확하다. 

디지털 자료는 부정확한 자료가 많기 때문에 믿을 수 없으며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그런데 출판된 서적에 얼마나 많은 오탈자가 존재하는지 알고 있는가? 오탈자는 많은 사람들의 퇴고작업으로 줄어든다는 상식도 알고 있는가? 어려운가? 간단히 말해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비교해서 인터넷 위키백과사전은 사실상 오탈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디지털 자료 자체의 정확도에 대해서도 문제시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인터넷에 올라온 정보들은 믿지 못할 내용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공신력이 있는 디지털 자료는 이미 넘쳐 흐른다. 한국의 역사통합검색시스템에서는 대부분 원문과 번역문 뿐만이 아니라 원문 이미지까지 공개해주고 있다.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이 오탈자뿐만이 아니라 번역상의 문제도 피드백을 해주고 있기에 끊임없이 정확도 100%을 향하고 있다[각주:2]


물론 아직도 많은 자료들이 디지털화되어 있지 못하다. 공신력이 있는 기관에서 지속적인 데이터 구축작업을 진행해야하는 것도 맞다. 그러나 이것은 디지털 자료의 축적량이 아직 부족한 것이지 디지털 자료의 시스템 자체가 부정확한 것은 아니다. 백번 양보해서 설령 지금 당장은 디지털 자료가 부정확하더라도 10년 이내에 기존의 그 어떤 자료보다 정확해질 것이다.


아직도 디지털 자료가 부정확하다고 생각한다면 DBPIA나 KISS 혹은 RISS같은 논문정보제공 싸이트에서 논문을 찾지 말고 직접 국회도서관이나 국립중앙도서관에 가서 하나하나 종이로 인쇄된 논문을 찾기를 바란다. 그게 정확하지 않은가? 




4. 디지털 인문학을 쓰레기라고 해라.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자신이 스스로 디지털 인문학을 할 역량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으로 판단될 때가 많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인문학의 가치나 역할에 대해서 분명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밥그릇을 지키기 위하여 열심히 투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신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한다고 하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이 인문학의 가능성이며 대세라는 것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기에 디지털 인문학을 쓰레기라고 하든 말든 필자는 솔직히 관심이 없다. 다만 스스로도 디지털 인문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했음에도 스스로 못한다는 이유로 후학들의 길까지 막아버리는 것이 과연 학자의 태도인지 묻고 싶을 뿐이다.



  1. 이럼 "품위"가 없지만...분명히 비꼬는 투로 쓰겠지.....-_- [본문으로]
  2. 영인본이 완벽하다고 말하는 바보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영인본도 사료비판을 통해서 오탈자가 수정되어야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다. 디지털 자료는 이런 부분들을 빠르게 받아들여서 수정할 수 있다.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