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바로 어제 중국은 이미 사이드카 운영중 이라는 글을 올렸다. 지적했다 싶이 지금 현재 정부와 한나라당이 중국의 언론통제 정책을 따라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런 의구심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왜냐하면 지금 중국 UCC는 중국 정부와의 힘싸움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 UCC 싸이트에 강력 관리 시작.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었지만,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다시 한번 언급해보도록 하겠다.

중국정부는 3월 20일에 25개 동영상 UCC싸이트을 서비스 중지하였다. 또한 10개 싸이트에 대해서 경고 처분을 내렸다. 이것은 앞으로 중국 정부가 동영상 UCC에 대해서 더욱 강력하게 관리를 할 것이라는 의미이며, 특히 외국계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를 꽁꽁 얼어붙게 하는 처사이다. 또한 티베트 사태와 무관하다고 하면 웃길 소리일 것이다.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요즘들어서 "베이징 올림픽 저작권 문제"을 언급하며 다시 동영상 UCC싸이트에 대한 경고조치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해서 대부분의 중국인들도 이것은 과도한 탄압이라면서 반발을 하고 있다. 실제로 저작권법을 언급하며 UCC 싸이트에 경고를 보내지만, 실질적으로는 영상물로 슬슬 올라오기 시작하는 은근한 반정부영상물에 대한 경계라는 것이 중국쪽에서도 보편적인 인식이다. 그리고 예전에도 언급했지만 : "이런 중국 정부의 방침은 당장에는 언론의 통제용으로 유용하게 쓰일지는 모르나, 거시적으로 오히려 중국 정부의 목을 조이는 것이 아닐까 진심으로 중국 정부에 걱정의 눈빛을 던져본다. "


나는 지금 한국 정부에 진심으로 걱정스러운 눈빛을 던져본다. 왜냐하면 중국 정부의 행동도 겉으로는 "저작권 문제"을 운운하면서 사실은 언론에 대한 통제용이라고 모든 중국인들조차 입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똑같은 행보를 한국에서 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사이드카 사태가 발생하고, 대통령은 아직도 "신뢰없는 인터넷은 약아닌 독될수도"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대체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의 생각이 무엇인지 읽을 수가 없다.

국민들을 바보로 아는 것 같다. 신뢰가 없는 글의 내용으로 네티즌을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네티즌들은 누구보다도 의심병 환자들이다. "인증샷"이라던지 "링크"요구와 같은 것은 신뢰가 없는 내용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의심하고 또 의심한다. 본인 역시 그렇게 의심하면서 인터넷을 본다. 그리고 블로그가 대안이 되는 것이 대부분의 블로거가 자신의 이력을 공개하거나 지속적으로 글을 올림으로 인하여 네티즌에게 신뢰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그분들은 인터넷을 모른다. 후...



이대로 가면 염려가 되는 구체적인 예 :

1) 다음이 어느날 열리지 않을 것이다.

본인 지금 중국에서 자신의 블로그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농담같은가? 개인적으로는 다음보다는 올블로그(allblog.net)이 더 빨리 닫힐듯하다. 국회청문회에서 한나라당의 안티이명박의 결집지라는 위명을 떨쳤으니 말이다. 다음에 비해서 작은 올블로그가 시험케이스가 되기에는 딱일듯하다.


2) 촛불집회 실시간 방송같은 민감한 것은 서비스자에 의해서 차단될 것이다.

농담같은가? 중국은 이미 그러고 있다. 그리고 더 위험한 것은 처벌을 받을까봐 아프리카와 같은 서비스업체가 먼저 삭제신공으로 경고가 들어오기 전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될 것을 "사전검열"해버린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넘의 사전검열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3) 모든 덧글이 관리가 될 것이고, "위험분자"는 소환되어서 조사를 받을 것이다.

한국은 관리하기 더 편하다. 주민등록증이 있으니 추적하기도 쉽다. 그렇게 된다면 이제 사전검열은 이용자 자신부터 스스로 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작년 대선때 인터넷은 조용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체포될 수 있다는 두려움에 떨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블로거들이 선거법위반이라는 명목으로 법정에 서야되었고, 지금도 그 싸움은 계속되고 있다.



중얼중얼 :

아프리카 사태가 단순히 저작권의 문제라고 판단하기에는 1) 시기가 미묘하다는 점. 2) 구속수사까지 하지 않다고 된다는 점. 3) 나우콤의 공지에 따르면 기술적으로 가능한 수단을 충분히 동원했다는 점을 들어서 심히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본인 역시 피디박스나 클럽박스 혹은 아프리카의 저작권상의 문제를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불법행위에 서비스자가 가능한 기술적 처리를 했다면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어느 정도 인정해주는 것이 "상식"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올려주신 모모님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아직도 중국에서는 저의 블로그에 접속이 안되는군요. 후... 현재까지는 프록시로 접속을 해서 덧글을 보는 수준은 할 수 있습니다만, 속도나 안정성문제가 있군요. 그래서 이 글도 덧글에 답글을 달아드리지 못합니다. 죄송합니다. 조금 있으면 한국에 가니 그때는 마음대로 블로그를 할 수 있을듯 합니다.

+ Recent posts